• Title/Summary/Keyword: 류

Search Result 26,386, Processing Time 0.056 seconds

Experimental Study on Analysis of Debris-Flow Runoff Characterization (토석류 유출특성 분석을 위한 실험적 연구)

  • Jang, Chang-Deok;Jun, Kye-Won;Jun, Byong-Hee;Oh, Chae-Yeon;Park, Hwan-Se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172-172
    • /
    • 2012
  • 기후변화에 따른 집중호우가 증가하면서 호우에 따른 피해의 양상이 달라지고 있다. 특히 사회적 경제적으로 발달하면서 도시가 확장되고 산지가 개발됨에 따라 산지와 인접한 지역에 대한 토사재해가 최근 자주 발생하고 있다. 2011년 7월 27일 서울시 우면산에서 발생한 토석류는 집중호우에 따른 사면재해의 새로운 경향을 잘 나타내었던 재해이다. 본 연구에서는 집중호우 발생 시 발생한 토석류의 유출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토석류발생 모형실험을 수행하여 공급유량과 하상조건에 따른 유출특성을 분석하였다. 토석류 실험장치의 총 수조길이는 6m이며 상 중 하단부의 경사조절이 가능하다. 유량과 하도조건에 따른 유출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토석류 발생지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여 국내에서 발생한 대표적인 토석류를 재현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토석류 유출은 하상재료와 공급유량에 대해 상관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하상재료에 대한 추가적인 분석과 하도조건에 대한 더욱 다양한 실험이 수행된다면 토석류 재해지도의 작성이나 토석류 해석모형의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도가 높을 것이다.

  • PDF

Fluid-Structure Interaction in the Axisymmetric Abdominal Aortic Aneurysm By Pulsatile Flow (맥동유동에 의한 축대칭 복부대동맥류의 유체-고체 상호작용)

  • 권치호;김영호
    •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22 no.1
    • /
    • pp.59-68
    • /
    • 2001
  • 유체-고체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다양한 복부대동맥류 모델에 대해서 맥동유동 및 구조를 동시에 해석하였다. 동맥류의 확장부 크기와 혈관벽 두께에 따라서 총 여덟 개의 축대칭 동맥류 모델을 선정하였다. 유한체적법 및 압력기반의 유한차분법을 이용하여 유동을 해석하였으며,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구조해석을 수행하였다. 동맥류의 확장부위가 클수록 최대응력은 최대확장부위와 변곡점에 해당하는 동맥류의 입구 및 출구 부분에 집중되었으며, Von Mises 응력은 최대확장부위 뿐만 아니라 동맥류의 근위부와 원위부($\pm$1D)에서도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더욱 확장된 모델일수록 혈관벽은 직경방향의 변위보다 축방향의 변위가 지배적이었으며, 동맥류 원위부보다 근위부에서 큰 축방향 변위를 나타냈다. 동맥류 입구부의 미약한 와류는 한 주기동안 그 크기와 강도를 더해가며 동맥류 원외부로 이동하였고, 동맥류의 내부 유동은 압력차이가 감소하는 기간동안 더 큰 영향을 받았다. 확장정도가 심할수록 동맥류 내부에 더 크고 강한 와류가 관찰되었다. 압력차이가 최소가 된 직후 동맥류의 근위부와 원위부동맥 벽 근처에서의 역방향 유동이 관찰되었다. 대체로 혈관벽 두께가 감소한 모델과 더욱 확장된 모델일수록 벽전달률은 감소하였다. 혈관벽의 탄성에 의하여 압력차이와 벽전달률 사이에 위상차가 존재함이 확인되었다. 유체-고체의 상호작용을 고려한 연구는 다른 심혈관계를 이해하는데도 매우 유익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A Study on Use of Drone to Analyze the Damaged Field by Debris Flow Disaster (토석류 피해지역 분석을 위한 드론 활용에 관한 연구)

  • Yoon, Byung Ha;Jun, Kye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341-341
    • /
    • 2017
  • 토석류는 기본적으로 강우에 기인하는 산지재해이다. 따라서 국토의 64%가 산지인 동시에 여름철 강우가 집중되는 우리나라의 특성상 토석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상당히 크다. 또한 최근 높은 인구밀도로 인하여 불가피하게 토석류 발생 시 큰 인명피해마저 우려되고 있는 실정이다. 토석류저감을 위해서 FLO-2D, RAMMS, DEBRIS-2D 등의 다양한 수치해석 프로그램들이 개발되어왔다. 이러한 프로그램들을 통해 토석류를 해석하려면 조사하려는 지역의 지형자료를 습득하는 것이 선행되어져야 한다. 하지만 토석류 재해지역의 접근성 및 위험성을 감안할 때 해당 지역으로의 접근이 곤란하여 지형자료를 직접 얻는 것은 어려운 경우가 대부분이다. 본 연구에서는 토석류 재해 위험지역에서 드론촬영을 실시하여 후처리 프로그램을 통해 해당 지역의 DEM을 생성하였다. 생성한 DEM이 효용가치를 지니려면 실제 지형과의 차이를 최소한으로 가져야 한다. 따라서 드론촬영으로 생성한 DEM을 수치지도를 통해 생성한 DEM과 비교하여 좌표의 편차, 고도의 편차 등을 계산하였다. 또한 각각의 DEM 자료에 FLO-2D를 적용하여 토석류 재해 위험지역에 설치된 사방시설의 저감능력을 확인해보았다. 두 DEM의 비교분석을 통해 드론촬영으로 생성한 DEM이 충분한 실용성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또한 해당 지점에 설치된 사방시설의 저감능력을 다방면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 현재 급부상하고 있는 드론을 통해 사방사업을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토석류 저감 부문에서 큰 효과를 발휘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Hydraulic Experiment for Effect Analysis of Debris Flow Reduction Facilities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효과분석을 위한 기초 수리실험)

  • Jun, Kye won;Jung, Wook kyo;Yoon, Young 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367-367
    • /
    • 2015
  • 토석류는 바위, 자갈, 토사 등이 물과 혼합하여 흐르는 재해 현상이다. 근래에 이슈가 되었던 우면산 토석류사태, 춘천시 펜션 토석류재해로 인한 피해로 토석류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아지게 되었다. 토석류의 피해를 저감하기 위한 대표적 시설로는 사방댐, 링네트, 브레이커시스템 등의 다양한 저감시설이 있다. 2000년 이후 국내에는 사방댐 형태의 토석류 유출저감시설의 설치가 매년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방시설은 표준화된 설계기준에 의해 시공되기 보다는 단순한 검토만을 통해 시공되고 있어 관리적인 측면에서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대부분 구조적인 안정성 검토는 이루어지고 있으나 수리적인 특성을 고려한 검토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리 실험 연구를 진행하기 위한 실험계획을 수립하고, 수리실험에 사용할 토석류 유출 저감시설 축소모형을 제작하였다. 모형의 제작 방법으로는 최근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며, 널리 보급 되고 있는 3D프린터를 이용하였다. 3D프린터는 레이어를 한 장씩 쌓는 과정으로 제작되어 정밀하고 세밀한 모형물을 제작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을 활용하여 기존에 단순화 시켜 제작되던 모형을 실제와 거의 동일한 형태로 제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3D 프린터로 제작된 실험용 모형을 이용하여 토석류 유출저감시설의 토석류 저감효과 분석을 위한 기초 수리실험을 수행하였다.

  • PDF

Analysis of Debris Flow Damaged Areas Considering Drainage Facilities (배수시설을 고려한 토석류 피해지 분석)

  • Bae Dong Kang;Kye Won Jun;Chang Deok Jang;Hang Il J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140-140
    • /
    • 2023
  • 전 세계적인 기후변화로 인해 태풍과 집중호우의 발생빈도와 규모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태풍과 집중호우는 국토의 64%가 산지로 이루어져 있는 우리나라에서 토석류 재해를 발생시켜 하류부에 많은 피해를 입힌다. 토석류는 계곡을 따라 흐르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콘크리트 사방댐, 슬릿트형 사방댐과 같은 횡단구조물과 기슭막이와 같은 종단구조물의 설치는 토석류피해 저감에 매우 유효하게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토석류 재해의 발생 위험이 높은 유역에서의 토사유출량의 예측과 재해저감시설의 규모와 형상, 위치 설정은 토석류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2019년 10월 토석류 재해가 발생한 지역의 피해를 분석하기 위해 2차원 수치모형인 Hyper KANAKO 모형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지역의 수치지형도를 이용하여 수치표고모델(DEM)과 토석류 피해를 저감하기 위한 배수시설을 고려한 지형자료를 제작하였다. 그리고 모형의 주요 입력변수인 첨두유량은 토석류 피해가 발생하였을 때의 강우 자료와 현장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산정하였다. Hyper KANAKO 모형의 결과로 나타나는 확산범위, 퇴적량 등을 분석하여 배수시설의 유무에 따른 토석류 피해 저감효과를 분석하였다.

  • PDF

Flow Changes by Stent Insertion in Fusiform Aneurysm Models (스텐트 삽입에 의한 방추형 동맥류 내부 유동의 변화)

  • 이계한;서남현
    •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22 no.6
    • /
    • pp.535-542
    • /
    • 2001
  • Endovascular embolization technique using a steno is currently used to treat the wide neck aneurysm. Since intraaneurysmal flow characteristics affect thrombus formation and embolisation process. flow visualization technique incorporating photochromic dye was used to elucidate hemodynamic changes by stenting Inside the fusiform aneurysm models. Qualitative observation of flow field and measurement of wall shear rates were Performed at five aneurysm wall locations under pulsatile flow. Intraaneurysmal flow motion was reduced and sluggish vortical motion was maintained during late deceleration phase by stenting. Also wall shear rates were reduced and OSI's were increased in the stented model. These flow characteristics Provide hemodynamic environment favorable for thrombus formation and intimal hyperplasia.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hemodynamic changes by stenting Promote thrombus formation and aneurysm embolisation.

  • PDF

Characteristics of Runout Distance of Debris Flows in Korea (한국 토석류의 이동거리 특성)

  • Choi, Dooyoung;Paik, Joongcheol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2 no.3B
    • /
    • pp.193-201
    • /
    • 2012
  • In the last decade, heavy rainfall induced debris flow events have been remarkably occurred in Korea. Consequently, debris flow is becoming one of the most dangerous natural phenomena in mountainous area. Understanding and correct predicting of the runout distance of debris flow is an essential prerequisite for developing debris flow hazard map and prevention technology. Based on the simple and widely used sled model, in this study, we analyse the net efficiency of debris flows which is a dimensionless constant (=1/R) and defined by the ratio of the horizontal runout distance L from the debris flow source to deposit and the vertical elevation H of the source above the deposit. The analysis of field data observed in total 238 debris flow events occurred from 2002 to 2011 reveals that the representative value of the net efficiency of debris flows in Korea is 4.3. The data observed in Gangwon province where is the most debris flow-prone area in Korea shows that debris flows in Inje area have the runout distance longer than those in Pyongchang and Gangneung. Overall features of the net efficiency of debris flows observed in the central Korea are similar to those in the southern Korea. The estimation based on aerial photographs and available depositional conditions appears to overestimate the net efficiency compared to estimation based on the field observations, which indicates that appropriate depositional conditions need to be developed for debris flows in Korea.

The Dietary Habits and Perception of Vegetable Intake of Elementary Students in Gwangju and Jeonnam (광주·전남 일부지역 초등학생의 채소류 섭취에 대한 인식)

  • Go, Young-Sook;Jeon, Eun-Raye;Jung, Lan-H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42 no.2
    • /
    • pp.223-233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ietary habits and perception of vegetable intake of elementary students in Gwangju and Jeonnam Gokseong county.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5th and 6th 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s in Gwangju and Jeonnam Gokseong county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survey. The SPSS program was used for statistics processing and data analysis. The chi-square test was also conducted. In terms of dietary intake habits, female students consumed their meals slower than male students. Information on dietary habits and nutrition was commonly obtained from family, including the mother or father who commonly prepared meals at home. Snacks were commonly consumed less than twice daily, with the Gwangju area having a higher frequency of snacks than the Jeonnam area. Elementary students indicated that vegetables were their least favorite food, with female students having a higher interest in vegetables than male students. The pattern and perception of vegetable intake came when the students (that did not eat vegetables) were lectured by their parents on the nutritive value of vegetables. Most students understood the important nutritional ingredients of vegetables. In the case of an interest in vegetables, the Gwangju area showed significantly more comprehension than the Jeonnam area on the definition and role of dietary fiber, the dental benefits of dietary fiber, and the identification of the environment-friendly certification mark.

Species Identification of Wooden Elements Used for Daewungjeon Hall in the Bukjijangsa Temple, Daegu, Korea (대구 북지장사 대웅전 목부재의 수종 식별)

  • Yeon, Jung-A;Park, Won-Kyu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41 no.3
    • /
    • pp.201-210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pecies of 117 wooden elements which were used in the Daewungjeon Hall (National Treasure No. 805, constructed in A. D. 1659) of Bukjijangsa Temple, Daegu, Korea. Pillars were identified as 5 red pines (hard pines; most likely, Pinus densiflora S. et Z.), 2 Cerris section of subgenus Lepidobalanus (deciduous oaks) and 3 Tsuga spp. Hwalju columns were 3 Abies spp. and 1 red pine. Head-penetrating ties were 8 red pines and 1 Cerris sp.; Pyeongbang, 3 red pines and 6 Cerris spp. Purlins were identified as 17 red pines, 16 Cerris spp. and 1 Tsuga sp. Angle rafters were 3 red pines and 1 Cerris sp., and end angle rafters, 2 red pines, 1 Zelkova serrata and 1 exotic hard pine. All of brackets (31 woods), jangyeo (4) and deot-chunyeo (2) were identified as red pines. As a whole, red pines (70.1%) and Cerris (22.2%) were major species used in the Daewungjeon Hall of Bukjijangsa Temple. Tsuga, Abies and exotic hard pines seem imported woods used for recent repairs.

정책정보 - 빙과류 HACCP 관리

  • 한국식품공업협회
    • Food Industry
    • /
    • s.221
    • /
    • pp.20-44
    • /
    • 2011
  • 식품의약풍안전청은 HACCP 적용을 원하는 소규모 식품업체의 눈높이에 맞춰 쉽고, 빠른 시간내에 적은 비용으로 HACCP 지정을 받을 수 있도록 "소규모 업소용 HACCP 표준기술서"를 보급하고 있으며 이번 표준기술서는 어유가공품 중 어묵류, 냉동수산식품 중 어류 연체류 조미가공품, 냉동식품 중 피자류, 만두류, 면류, 빙과류, 비가열음료, 레토르트식품, 김치류 중 배추김치에 대해 기술되어 있어 관련 자료를 요약 연재하고자 함.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