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로즈 벤갈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5초

벤잘피롤린온의 광증감적 이성질화 반응 (Sensitized Photoisomerization of Benzalpyrrolinones)

  • 박용태
    • 대한화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417-422
    • /
    • 1978
  • 벤잘피롤린은 (Z-2, Z-4)을 직접 조사하거나 광증감제를 넣어 조사하니 광산소화되지 않고 광이성화 되었다. 단색광 (557nm)을 사용하여 광증감제인 로즈벤갈 (rose bengal)만을 들뜨게하여서 일어나는 벤잘피롤린은 (Z-2, Z-4 및 E-2)들의 이성화에서는 삼중상태의 벤잘피롤린온이 관여하였다.

  • PDF

화학발광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법에 대한 표준물질인 포스파티딜콜린 하이드로퍼옥사이드의 조제 (Preparation of Standard Phosphatidylcholine Hydroperoxide for Chemiluminescence-HPLC Assay)

  • 송진향;최홍엽;박동기
    • 분석과학
    • /
    • 제11권6호
    • /
    • pp.474-477
    • /
    • 1998
  • 화학발광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chemiluminescence-HPLC, CL-HPLC)법을 이용하여 생체지질과산화물의 측정에 있어서 표준물질인 포스파티딜콜린 하이드로퍼옥사이드(phosphatidylcholine hydroperoxide, PCOOH)의 조제법을 개발하였다. 미산화의 포스파티딜콜린(PC)에 로즈벤갈(rose bengal)을 첨가하여 형광분광광도계에서 1시간 조사시킴으로써 광 산화 시켰다. 얻어진 PCOOH의 농도는 FOX(ferrous oxidation-xylenol orange)법으로 측정하여 계산한 후, 일정 농도로 희석하여 CL-HPLC계에서 분석하였다.

  • PDF

마이크로 에멀젼 계면을 통과하는 광유발전자의 양자수득률 (Quantum Yield of Photoinduced Electron Transfer Across Microemulsion Interfaces)

  • 박용태
    • 대한화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13-217
    • /
    • 1983
  • 태양에너지의 한 저장방법으로 녹색식물의 광합성을 모방한 계, 마이크로 에멀젼(microemulsion)을 고안하였으며, 이때 광에 의해서 유발된 전자가 계면을 통하는 능력을 측정하였다. 광증감제로 류테니늄비피리딘 착물$[Ru(bipy)_3]^{2+}$을 사용, 전자공여체 EDTA와 함께 물층에, 전자수용체 $HV^{2+}$(Hexadecyl violagan)이 계면에 각각 존재할 때 광에 의한 전자전이에 따르는 $HV^+$ 형성수득률은 0.12이였다. 또 계면에 $BNA^+$(Benzyl nicotinamide)를 넣고 유층에 아조(azo) 화합물을 넣었을 때는 azobenzene이 환원되었는데, 이때 양자수득률이 줄었다. (${\Phi}$ = 0.0016) 양이온 마이크로 에멀젼과 음이온 마이크로에멀젼의 광유발 전자전이 능력을 비교하였다. 광증감제로 유기염료인 로즈벤갈(Rose bengal)을 시험하였는데, 류테니늄착물보다 낮지 않았지만 광유발 전자가 계면에 전이되는 것을 알았다.

  • PDF

상이동 촉매 기법(phase transfer catalyst)을 이용한 rose bengal 시약의 최적 조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ptimum Composition of Rose Bengal Reagent using Phase Transfer Catalyst)

  • 오수진;차원진;최다운;홍성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245-252
    • /
    • 2018
  • 상이동 촉매기법을 기반으로 한 rose bengal 시약은 중성이나 염기성 용액에서 녹지 않는 난용성 염을 형성하는 칼슘을 타겟팅하는 시약으로, 물에 젖은 검체에서 잠재지문 현출시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되어 최근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그 동안 선행연구에서는 rose bengal 시약으로 현출된 지문의 형광 특성을 관찰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제시된 시약의 제조법 또한 최적 현출 조건인지 검토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rose bengal 염료의 최대방출형광을 바탕으로 rose bengal염료와 상이동촉매제(Tetrabutylammonium)의 농도를 달리하여 최적의 시약 조성을 찾고자 하였다. 그 결과 rose bengal과 상이동촉매제의 농도가 각 0.01 M: 0.008 M일 때 가장 효과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