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로에스

검색결과 390건 처리시간 0.106초

업계소식

  • 한국원적외선협회
    • 한국원적외선협회보
    • /
    • 통권17호
    • /
    • pp.17-24
    • /
    • 2003
  • PDF

피마자유로부터 바이오디젤 생산을 위한 물성 분석 (Biodiesel Production Using Castor Oil and Quality Analysis)

  • 김덕근;이준표;박순철;이진석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176.2-176.2
    • /
    • 2011
  • 피마자유(Castor oil)는 합성수지, 그리스, 유압용 오일, 윤활기유 등의 다양한 용도로 쓰이는 오일로서 점도가 높고 무색에서 황갈색을 띈다. 피마자유 추출은 압착 착유 또는 용매 추출로 얻게 되며 본 실험에 사용된 오일은 압착 착유한 것으로 매우 진한 갈색을 띄는 정제전 오일을 이용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피마자유의 초기 산가는 1mgKOH/g 이하로 낮은 유리지방산 함량을 보였으며 수분은 0.3%로 전이에스테르화 반응을 위해서는 수분 증발이 필요했다. 피마자유의 바이오디젤 생산을 위해 진행된 물성 분석 항목은 산가, 수분, 인함량, 황함량, 점도, 고형물이며 원료유와 그 바이오디젤에 대해 각각 물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피마자유의 가장 큰 특징은 다른 식물성 오일과는 다르게 오일이 알코올에 녹는 특성이 있으며 이런 이유로 전이에스테르화 반응 후 바이오디젤과 글리세롤이 분리되지 않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피마자유를 이용해 제조한 바이오디젤, 즉 지방산메틸에스터의 함량을 분석한 결과 약 90%의 메틸에스터화 반응 전환율을 나타내었으나 국내외 품질규격상의 탄소수 C14~C24:0의 지방산 에스터(fatty acid methyl esters)로 검출되는 바이오디젤의 함량은 10% 미만으로 나타났으며 나머지 90%는 라이신올레익산메틸에스터(ricinoleic acid methyl ester)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기존의 대두유, 유채유, 팜유, 폐식용유로부터 제조한 바이오디젤과 물성이 매우 상이하고 특히 끊는점(boiling point)과 점도가 높아 경유 대체연료로는 활용이 불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기존의 다양한 용도의 오일로 사용하기 위해 정제하는 과정에서 전체 착유 오일중의 약 10%만을 선택적으로 분리하여 바이오디젤 원료로 활용하는 방안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메탄발효 처리된 가축분뇨내의 내분비계 장애물질에 대한 조사 연구 (A Survey on Endocrine Disrupting Chemicals in Animal Wastes Treated with Methane Fermentation)

  • 고한종;김기연;김현태;우메다 미키오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62-68
    • /
    • 2007
  • 인간과 가축에서 발생된 내분비계 장애물질들이 자연계로 유입되고, 매우 낮은 농도에서도 토착 동물군에 교란 작용을 유발시킬 수 있다는 잠재적 오염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증가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가축분뇨 중의 내분비계 장애물질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장애물질 중 여성 호르몬으로 알려진 17베타-에스트 라디올, 에스트론, 에스트리올을 분석하여 분뇨 중 에스트로젠 농도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공시시료는 생물생태센터의 분뇨 저장조, 메탄 소화조, 오니 제거조에서 수집하여 가스크로마토그래피 질량분석기를 이용하여 에스트로젠 농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에스트로젠 대 비료성분 질량비를 알아보기 위해 질소와 인산도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가축분뇨 중에는 다량의 에스트로젠 호르몬이 존재하고 있었으며, 분뇨 저장조에서 98.7 ${\mu}g/L$로 가장 높은 농도를 보인 반면 오니 제거 소화액에서 가장 낮은 농도인 3.4 ${\mu}g/L$로 조사되었다. 분뇨 저장조에서 채취된 시료의 17베타-에스트라디올과 에스트론의 평균농도는 6.8 ${\mu}g/L$와 68.7 ${\mu}g/L$였고, 오니 제거조는 각각 2.6 ${\mu}g/L$ 및 1.9 ${\mu}g/L$로 분석되었다. 반면 에스트리올은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본 연구 조사는 가축분뇨내의 에스트로젠 농도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으나 에스트로젠 호르몬의 저감 방안에 대한 기작을 설명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축종별로 적용되고 있는 분뇨관리 및 축사시설에 대해 시공간적 변이를 고려할 수 있는 광범위한 조사 연구와 더불어 여러가지 처리방법에 의해 농경지에 살포되고 있는 분뇨내의 에스트로젠 농도와 조성 및 생물학적 활성도에 대한 추가연구가 필요하다.

산천어의 생식선자극호르몬 유전자발현에 미치는 에스트로젠의 영향과 에스트로젠수용체 cDNA cloning

  • 손영창;최은주;김지영
    • 한국양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양식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요약집
    • /
    • pp.25-25
    • /
    • 2003
  • 어류의 번식활동은 뇌-뇌하수체-생식소로 이어지는 내분비기관이 주로 담당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 뇌하수체에서 만들어지는 생식선자극호르몬 (GTH)은 생식소 발달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한편, GTH는 생식소에서 생성되는 스테로이드호르몬에 의해 유전자의 발현이 조절된다. 본 연구에서는 산천어 (Oncorhynchus masou)의 GTH 유전자발현에 미치는 estradiol-17$\beta$ (E2)의 영향을 생체내에서 먼저 조사하고, 유전자발현조절의 메카니즘을 구명하기 위하여 에스트로젠 수용체 (ER)의 cDNA를 cloning하였다. 또한 내분비교란물질로 알려져 있으며 에스트로젠 수용체와의 유사결합작용이 알려진 노닐페놀 (NP)의 영향도 아울러 조사하였다. 미성숙 산천어를 E2 및 NP (각각 5 mg/kg 및 10 mg/kg 체중)로 처리하면 72 시간째에 뇌하수체내의 $\beta$-actin mRNA에 비해 GTH (FSH$\beta$, LH$\beta$) mRNA가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뇌하수체에서 분리한 ER의 기본적인 구조는 DNA결합도메인 (Zf-C4), 호르몬결합도메인 (hormone_rec), 기타 전사활성화도메인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그림 1), 기존에 보고된 에스트로젠 수용체중에서 무지개송어 및 대서양연어의 ER과 각각 98%, 96%의 높은 상동성이 관찰되었다. 향후, 준비된 ER을 재료로 하여 GTH 유전자발현의 호르몬의존성을 조사할 예정이다.

  • PDF

대두유 에스테르에 의한 수용성 윤활유의 물성 연구 (The Synthesis and Physical Properties of Water Soluble Metal Working Oil by Soybean Oil Ester)

  • 허도성;신수범;김민석;김혜숙
    • 대한화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37-242
    • /
    • 2000
  • 새로운 품질의 수용성 윤활유를 얻기 위해 시중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는 지방산인 대두유와 고분자 알콜로부터 에스테르 화합물을 합성하고 그 물성을 실험하였다. 아울러 대두유에 의한 에스데르 화합물의 합성과 그 물성을 보다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대두유주된 구성 지방산인 올레익산에 대해 동일 실험을 수행하여 그 물성을 비교하였다. 에스테르 합성반응에 사용된 고분자 알콜은 프로필렌 옥사이드와 에틸렌 옥사이드의 공중합 화합물(PE)로서 분자량에 따라 PE-61(평균분자량:2000), PE-62(평균분자량:2500), 그리고 PE-64(평균분자량:3200) 세 가지 화합물을 사용하였다. 합성된 에스테르 화합물의 물성은 물과 혼합한 이후 수용액 상태의 여러 농도에서 pH,비중,표면장력,유동점도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 PDF

항치매성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Acetylcholinesterase) 저해 물질 함유 과일의 선발 및 저해 물질의 추출 최적 조건 (Screening of a Potent Antidementia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containing Fruits and Optimal Extraction Conditions)

  • 이은나;송정화;이종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18-323
    • /
    • 2010
  • 아세틸콜린에스터라아제(AChE) 저해제에 의한 아세틸콜린 분해 억제는 알츠하이머 질병의 가장 확실한 치료 방법 중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최근 웰빙 건강 소재로 각광을 받고 있는 과일과 채소로부터 새로운 AChE 저해제를 개발하여 항치매 식품이나 대체 의약품 생산에 응용하기 위해 과일과 채소로부터 AChE 저해 활성이 우수한 시료를 선별하고, AChE 저해 물질의 추출조건을 최적화하였다. AChE 저해 활성은 호두의 메탄올 추출물에서 72.6% ($IC_{50}=14.2\;{\mu}g$)로 가장 높았고, 호두의 AChE 저해 물질은 80% 메탄올로 $40^{\circ}C$에서 12시간 동안 처리하였을 때 가장 많이 추출되었다.

에스필과 수산화동 혼용에 의한 오이, 토마토, 고추 흰가루병의 친환경 방제 효과 (Envrionment-Friendly Effects of Espil and Copper Hydroxide for Prevention of Powdery Mildew on Cucumber, Tomato, and Red Pepper)

  • 소재우;한경숙;이성찬;이중섭;박종한
    • 식물병연구
    • /
    • 제20권2호
    • /
    • pp.95-100
    • /
    • 2014
  • 본 연구는 에스필과 수산화동의 혼용에 의한 오이, 토마토, 고추의 흰가루병에 대한 방제 효과를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오이 흰가루병에서 에스필과 수산화동의 혼용 처리는 4 : 1 혼용처리구에서 발병엽률 18.9%와 방제효과 69.9%, 8 : 1 혼용 처리구에서 발병엽률 18.1%와 방제효과 71.1%로 가장 효과적이었다. 토마토 흰가루병에서 에스필과 수산화동의 혼용 처리는 4 : 1 혼용 처리구에서 발병엽률 12.4%와 방제효과 85.3%, 8 : 1 혼용 처리구에서 발병엽률 14.3%와 방제효과 83.0%로 가장 효과적이었다. 고추 흰가루병에서 에스필과 수산화동의 혼용 처리는 4 : 1 혼용 처리구에서 발병엽률 17.7%와 방제효과 76.4%로 가장 효과적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에스필과 수산화동 혼용처리에 의한 오이와 토마토 흰가루병에 대한 방제 효과는 4 : 1 혹은 8 : 1 혼용 처리가 가장 효과적이고, 고추 흰가루병에서는 4 : 1 혼용 처리가 가장 효과적인 방제 방법으로 구명되었다.

회수 Boric Acid를 이용한 Dicarboxylic Acid의 환경친화적 에스터화 반응 (Eco-friendly Esterification of Dicarboxylic Acid Using Recovered Boric Acid)

  • 박준성;우제완
    • 공업화학
    • /
    • 제24권1호
    • /
    • pp.72-76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norbornene 디에스터 유도체를 합성하는 공정에서 반응 부산물로 생성되는 boric acid를 회수하여 norbornene diacid의 에스터화 반응에 재사용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Boric acid를 4가지의 alcohol과 에스터화 시켜 4종류의 trialkyl borate (tributyl borate, tripentyl borate, triisopentyl borate, trihexyl borate)를 합성한 다음 이를 norbornene dicarboxylic acid와 반응시키는 2단계 공정으로 디에스터 유도체를 합성하였다. 이 때 norbornene dicarboxylic acid의 전환율은 89.50~99.31%였다. 디에스터화 반응의 부산물인 boric acid를 NaCl염과 함께 회수하여 trialkyl borate를 합성한 후 정제한 결과 회수율은 92.43~99.35%이었다. 이를 다음 반응에 사용한 결과 디에스터의 수율은 43.70~64.39%였고 순도 97.70~99.24%로 수율이 일부 감소되었으나 손실이 크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주요 반응 부산물인 boric acid를 공정내에서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화합물 배출에 의한 환경오염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친환경공정으로 적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구조에 따른 유화력과 세정성 비교

  • 정갑섭;주창식;이화수
    • 한국환경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과학회 2005년도 봄 학술발표회지 제14권(제1호)
    • /
    • pp.313-315
    • /
    • 2005
  •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화학적 구조에 따른 리모넨의 유화분산시 입경변화와 세정성을 비교검토한 결과 리모넨과 계면활성제의 사용비가 30:1의 소량을 사용하여도 충분한 세정성을 보였으며, 에스테르 구조를 가진 계면활성제가 유화능력이 우수하여 에멀젼 입경이 작고 접착력은 크며, 접촉각이 작아 가장 우수한 세정성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에테르 구조의 계면활성제간 비교로부터 방향족 고리 구조보다 지방족 사슬구조가 에멀젼의 입경이 작고 세정성이 우수하였다. 에멀젼의 안전성은 에스테르계가 가장 우수하였다.

  • PDF

환경친화적인 합성기유 후보물질로서의 몇가지 폴리올에스터 오일의 가수분해속도 비교 (Comparison of the Hydrolysis Rate of Several Polyol Ester Oils as a Candidate for Environmentally Adapted Synthetic Base Oil)

  • 한두희;마사부미마스꼬
    • 한국윤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윤활학회 2001년도 제33회 춘계학술대회 개최
    • /
    • pp.162-177
    • /
    • 2001
  • 분자구조가 서로 다른 7종의 폴리올에스터 오일에 대한 가수분해속도가 측정되었다. 사용된 폴리올에스터는 2가 및 4가의 다가알콜과 서로 다른 탄소수의 직쇄 흑은 분기지방산으로 합성된 다가에스터 화합물이며, 이들의 가수분해반응은 p-톨루엔설폰산을 촉매로 사용하는 온건한 산성조건하에서 수행되었다 폴리올에스터 오일의 가수분해과정에서 생성되 는 부분에스터와 다가알콜 및 지방산 등의 구조가 확인되었고 반응시간의 경과에 따른 가수분해 생성물들의 농도가 측정되었다. 각 반응단계의 속도상수는 속도식과 실험적으로 얻은 각 화합물들의 농도로부터 최소제곱법에 의해 구하였고, 얻어진 가수분해 속도상수가 서로 비교되었다. 폴리올에스터 오일의 가수분해 속도는 지방산의 분자구조에 가장 크게 영향을 받는다. 즉, 직쇄지방산에 의한 폴리올에스터 오일은 분기지방산에 의한 폴리올에스터 오일보다 가수분해속도가 매우 마르며, 분기지방산에 의한 폴리을에스터 오일 중에서는 가지사슬의 모양과 위치가 가수분해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연구에서 사용된 7종의 폴리올에스터 오일에 대한 가수분해속도는 물분자가 폴리올에스터 오일의 카르보닐 탄소를 공격할 때 인접한 가지사슬에 의한 입체장애효과를 비교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