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렌즈 표면

검색결과 229건 처리시간 0.02초

Rigid Gas Permeable Contact Lenses의 미세구조에 대한 연구 (The Study of the Ultrastructure on the Rigid Gas Permeable Contact Lenses)

  • 김덕훈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259-262
    • /
    • 1998
  • RGP 콘택트렌즈의 전방과 후방 표면에 대한 것을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해서 조사하였다. 그 결과 렌즈의 미세구조에 대한 것은 전면과 후방면에 약간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표면의 거칠음정도는 후방표면보다 전방 표면이 약간 심하게 나타났다. 이런 현상은 아마도 콘택트렌즈의 재료의 특성이라 여겨진다. 한편 전방과 후방 표면의 형태적인 차이인 계곡과 선상은 약간 다르게 나타났다. 이 같은 현상은 렌즈의 제조과정에서 생긴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각 표면의 구형의 다양한 입자들은 아마도 렌즈의 제조과정에서 형성된 이물질이라 여겨진다.

  • PDF

RGP Contact Lens 표면 미세구조에 대한 사용 효과의 연구 (A Study of the Effects of Use upon RGP Contact Lens Surface Ultrastructure)

  • 김덕훈;성아영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71-75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사용한 RGP 콘택트렌즈의 표면 미세구조의 분석을 한 것이다. 조사를 위해 RGP콘택트렌즈는 피검자에 의해 1개월, 6개월 그리고 1년 사용한 것을 선택하였다. 이러한 RGP 콘택트렌즈의 전후 표면은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RGP 콘택트렌즈 사용 1개월 후 전면과 후면의 표면은 선명하고 깨끗하였다. 2. 6개월 사용 렌즈의 전방 표면은 심한 반흔, 상처 자국, 파손 그리고 긁힘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후방 표면은 심한 이물질과 미생물 등이 나타났다. 3. 1년 사용렌즈는 좀더 심한 큰 반흔 손상과 많은 이물질들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RGP 콘택트렌즈의 연장착용은 렌즈표면의 미세구조의 증가된 물리적인 손상과 심한 이물질의 누적을 나타내었다.

  • PDF

코팅막 식각으로 인한 플라스틱 렌즈의 특성 변화 (Changes of the Plastic Lens Properties Caused by Etching of the Coating Films)

  • 문병연;왕기주;이윤정;유동식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55-60
    • /
    • 2010
  • 목적: 플라스틱렌즈 표면의 코팅막을 식각한 렌즈와 무코팅렌즈를 비교함으로써, 코팅의 식각이 렌즈에 미치는 변화를 연구하였다. 방법: 굴절력이 0 디옵터인 CR-39, 중굴절률, 고굴절률렌즈를 코팅제거제를 사용하여 $80^{\circ}C$와 상온에서 식각하였고, 굴절력, 투과율 및 렌즈 표면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결과: 코팅의 식각으로 렌즈의 굴절력의 변화는 없었으며, 무코팅렌즈와 식각된 렌즈의 광투과율도 거의 차이가 없었다. 식각속도는 CR-39와 중굴절률렌즈에서 비슷하였으나 고굴절률렌즈에서는 느리고, 불규칙하였다. 렌즈 미세 표면을 관찰한 결과 렌즈 표면에 식각으로 인한 손상이 나타났는데, 중굴절률렌즈의 손상이 가장 적었고, 고굴절률렌즈에서 가장 많았다. 결론: 안경렌즈 표면이 손상되지 않도록 코팅막을 식각하려면, 렌즈 소재에 맞는 적합한 코팅제거제가 사용되어야 하며, 적절한 식각조건에 대한 주의가 필요할 것이다.

물리적, 화학적 자극이 안경 렌즈의 코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hysical and Chemical Stimuli on Ophthalmic Lens Coatings)

  • 김소라;김지윤;김가영;박미정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37-245
    • /
    • 2011
  • 목적: 안경 렌즈에 물리적, 화학적 자극이 반복적으로 가해졌을 때 렌즈 코팅막의 기능에는 어떠한 변화가 나타나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CR-39 재질의 안경 렌즈 표면에 물리적, 화학적 자극으로 테이프 떼기, 아세톤 문지르기, 아세톤에 침윤 및 증류수에 침윤하기를 시행한 후 렌즈 표면의 변화, 광투과율 변화, 김서림 시간 변화 및 손상된 렌즈 표면의 안정성 여부를 측정하였다. 결과: 하드 코팅의 기능 변화를 알아보기 위한 표면관찰시 아세톤에 침윤한 안경 렌즈만이 침윤 30분 후부터 표면의 변화가 나타났다. 반사방지 코팅의 기능 변화를 알아보기 위한 광투과율 측정시 증류수에 180분간 침윤한 안경 렌즈는 1% 정도의 미세한 감소를 보인 반면 아세톤에 침윤시킨 렌즈에서는 침윤 60분 후 반사방지 코팅의 기능이 거의 소실됨을 알 수 있었다. 안티포그 코팅의 기능 변화를 알아보기 위한 김서림 지속시간 측정시 아세톤에 침윤시킨 안경 렌즈에서 김서림 지속시간이 증가하였다. 자극에 의해 손상받은 코팅막의 안정성을 알아보았을 때 테이프로 떼어내기, 아세톤으로 문지르기, 증류수에 침윤 및 아세톤에 침윤시킨 렌즈 표면의 코팅 손상이 관찰되었다. 결론: 반복적인 물리적, 화학적 자극으로 인하여 안경 렌즈의 코팅 변화가 관찰되었으므로 안경 조제 과정 중이나 안경 착용 시 이에 대한 주의가 요구된다.

LSPIV를 이용한 표면유속 측정 시 카메라 왜곡의 영향 분석 (Analysis of Effect on Camera Distortion when Measuring Surface Velocity using LSPIV)

  • 이준형;윤병만;김서준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0년도 학술발표회
    • /
    • pp.151-151
    • /
    • 2020
  • 표면영상유속측정법은 영상을 이용한 비접촉식 유속 측정 방법으로 카메라 외에 별도로 고가의 장비를 구매할 필요가 없을 뿐 아니라 현장 상황을 영상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장조사인력이 필요 없어 경제적이고, 안전하다는 장점을 갖고 있는 하천 유속 측정 방법이다. 표면영상유속측정법은 일반적으로 상호상관법을 이용하여 수표면을 촬영한 연속된 두 영상에서 입자군의 명암값 분포를 계산하여 입자군의 변위를 계산하고 이를 두 영상 사이의 시간 간격으로 나누어 입자군의 이동 속도를 산정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표면영상유속측정법으로 산정한 유속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영상 내 두 입자군의 변위를 정확하게 계산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즉, 분석하고자 하는 영상의 물리거리를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어야 한다. 카메라를 이용하여 실제 하천 영상을 촬영한 영상은 카메라 렌즈에 의한 왜곡이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되고 이는 영상 내의 변위 산정 시에도 영향을 미친다. 특히 드론을 활용하여 넓은 하천 영역을 촬영할 경우 카메라 렌즈에 의한 왜곡은 실제 물리 변위 계산 정확도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카메라 왜곡이 영상 내 변위 산정 결과의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카메라 렌즈 왜곡은 영상 중심에서 방사방향으로 점점 크게 발생하고 왜곡 정도는 비선형적으로 나타났으며, 변위 측정 오차는 영상의 중앙부에서는 거의 차이가 없었으며, 영상 외곽부에서 최대 오차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카메라 렌즈 왜곡 보정을 실시하게 되면 영상 전체적으로 변위측정 오차는 모두 제거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따라서 카메라 렌즈 왜곡 보정을 실시하여 표면영상유속 측정 결과의 정확도를 개선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카메라 렌즈 왜곡 보정을 실시한다면 하천의 표면유속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표면 오염시 소프트콘택트렌즈의 재질에 따른 가시광선투과도 및 표면 변화 (Changes in Optical and Surface Properties of Contaminated Soft Contact Lenses)

  • 김정은;정보영;노혜란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83-89
    • /
    • 2012
  • 목적: 본 연구는 아이메이크업에 침지된 소프트콘택트렌즈의 가시광선투과도와 표면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눈 화장에 사용되는 4가지 종류의 아이메이크업에 침지된 시간에 따라 etafilcon A(이하 HEMA를 기초로 한 하이드로겔 제품)렌즈와 lotrafilcon B(이하 실리콘을 기초로 한 하이드로겔 제품)렌즈의 가시광선투과도 변화를 알아보았다. 1주일간 지속적으로 아이메이크업에 침지된 렌즈를 다목적용액(MPS)을 이용한 세척 후 가시광선 투과도 및 표면 변화를 알아보았다. 결과: 각각의 렌즈를 아이메이크업에 침지시켰을 때 30분 후의 가시광선 투과도는 평균 93.4%(HEMA를 기초로 한 하이드로겔 제품), 90.0%(실리콘을 기초로 한 하이드로겔 제품)로 각각의 대조군의 가시광선투과도(97.8%, 96.4%)와 비교하여 감소하였다. 1주일간 지속적으로 가루 아이섀도우와 마스카라에 침지된 렌즈는 모두 세척 후에도 부착된 아이메이크업 잔여물이 완전하게 제거 되지 않았다. 특히, silicone 계열의 렌즈에서 잔여물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감소된 가시광선 투과도 및 주사전자현미경을 통한 표면 결과로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아이메이크업에 침지된 콘택트렌즈의 경우 렌즈의 소재와 아이메이크업의 소재에 따라 일반적인 세척방법으로는 아이메이크업이 제거되지 않았고 이는 렌즈 표면의 변화와 렌즈의 가시광선 투과도 저하로 나타났다.

아이라이너 침착에 의한 소프트 콘택트렌즈 파라미터의 변화 및 세척효과의 비교 (Comparisons of the Change in Soft Contact Lenses Parameters and the Cleaning Efficiency after Eyeliner Deposition)

  • 박미정;김사현;구보경;김소라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07-115
    • /
    • 2013
  • 목적: 본 연구에서는 눈 화장품인 아이라이너에 노출시킨 소프트 콘택트렌즈의 파라미터가 어떻게 변하는가를 알아보고, 세척방법을 달리하여 세척하였을 때의 세척효과와 렌즈 파라미터의 회복정도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법: 서로 다른 재질로 제조된 3종류의 소프트 콘택트렌즈에 각각 1시간, 4시간 및 6시간 동안 아이라이너를 침착시킨 후 안경용 초음파 세척 및 손 세척을 시행하였으며, 세척 전후 렌즈의 가시광선 투과도, 직경 및 표면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결과: 소프트 콘택트렌즈의 가시광선 투과도는 아이라이너의 침착시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였다. 렌즈의 표면을 관찰한 결과 아이라이너의 침착 양상은 렌즈재질의 물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 narafilcon A 재질 렌즈에서 가장 침착이 큼을 알 수 있었다. 렌즈 직경은 hilafilcon B 및 etafilcon A 재질 렌즈는 감소하였으나, narafilcon A재질 렌즈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아이라이너의 침착은 안경용 초음파 세척기를 이용한 세척보다는 다목적 용액을 이용한 손 세척 시 세척효율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렌즈의 직경이나 가시광선 투과도, 렌즈표면 등 렌즈 파라미터가 원래 상태로 회복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소프트렌즈를 착용한 상태에서 눈 화장 하는 것을 최소화하는 것이 옳으며, 반복적으로 눈 화장을 할 때에는 렌즈 파라미터의 변화를 고려한 착용시간의 단축이나 빠른 렌즈의 교체주기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RGP 콘택트렌즈의 성분과 표면 분석 (Composition and Surface Analyses of RGP Contact Lenses)

  • 장준규;신형섭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29-337
    • /
    • 2010
  • 목적: RGP 콘택트렌즈들의 성분과 표면을 일관된 방법으로 분석하여, RGP 렌즈 재료의 성분 설계에 기본 정보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법: 렌즈 재료의 구조는 적외선분광(FTIR), 표면 조성은 X-선 광전자분광(XPS), 표면의 형상과 거칠기는 원자현미경(AFM), 습윤성은 접촉각으로 평가하였으며, 상호관계와 경향을 분석하였다. 결과: 산소투과성이 높은 RGP 렌즈들은 불소를 줄이고, 실리콘의 양을 증가시키는 경향을 나타냈다. RGP 렌즈들의 재료는 실리콘과 불소의 증가에 따라 일정한 비율로 탄소와 산소가 감소하였으며, 탄소의 감소가 산소보다 3배 크게 나타났다. 그리고 표면처리가 된 재료는 탄소와 산소가 조성 변화 추세선에서 떨어져 있었다. 실리콘이 증가하면 미세입자의 응집이, 불소의 양이 증가하면 깊은 홈이 나는 형태로 표면이 거칠어졌으며, 거칠기에 대한 영향은 실리콘이 더 컸다. 실리콘과 불소가 증가하면 습윤성이 감소했는데, 실리콘에 의한 영향이 2배 크게 나타났다. RGP 렌즈 재료는 표면이 거칠어지면 습윤성이 감소하는 소수성의 형태를 나타냈다. 결론: RGP 렌즈들의 성분과 표면을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고, 상호관계를 분석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RGP 렌즈 재료의 성분 설계에 대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콘택트렌즈의 산소투과에 대한 피팅의 영향 (Model on the Oxygen Transmission of Contact Lenses according to the Fitting)

  • 김대수;박미정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11
    • /
    • 2003
  • 확산에 관한 Fick 법칙 및 연속법칙을 사용하여 액체(눈물)-콘택트 렌즈-눈물 층을 통하여 각막으로 유입되는 산소 flux 및 각막 표면의 산소 분압을 계산할 수 있는 일련(一連)의 방정식을 세우고 이들 식에 의거하여 피팅에 따른 눈물 층의 두께, 콘택트 렌즈의 Dk 및 두께 변화가 각막에 유입되는 산소 flux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예측하였다. 본 모델을 사용하여 적절한 피팅 조건에 부합하고 또한 각막 표면의 산소 분압이 보장되는 콘택트 렌즈의 Dk 및 두께를 결정할 수 있다. 대단히 높은 Dk값을 지닌 콘택트 렌즈라도 너무 flat 또는 tight하게 피팅된 경우 콘택트 렌즈의 주변부와 각막 사이 눈물 층의 간격이 커짐으로 인하여 각막 주변부에 도달하는 산소 flux 및 각막 주변부 표면의 산소 분압이 급격히 감소하게 될 수 있다.

  • PDF

Hyaluronic acid 함유 콘택트렌즈의 습윤성과 착용감 향상 효과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of Wettability and Comfort in Contact lens with Hyaluronic acid)

  • 김현정;김수현;김재민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55-264
    • /
    • 2011
  • 목적: 인공눈물, 렌즈용 다목적 용액, 화장품, 근골격계 용제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HA)의 콘택트렌즈의 습윤성과 착용감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HA가 첨가된 콘택트렌즈(+HA)와 HA가 첨가되지 않은 렌즈(-HA)를 임상 평가하여 비교하였다. 방법: 안질환이 없는 대학생 28명을 대상으로 하여 4주 동안 우안에는 HA가 첨가된 렌즈(+HA, With HA)를 좌안에는 HA가 첨가되지 않은 렌즈(-HA, Without HA)를 착용하여, 좌안을 대조군으로 우안을 비교하였다. 이 때, 렌즈 도수는 등가구면으로 처방하고, 자동굴절검사기를 이용해 덧댐굴절검사를 한 뒤 2주와 4주 동안 렌즈 착용 후 눈물검사, 전안부 검사, 피팅 용이성 평가, 표면 습윤성 검사,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히알루론산이 첨가된 렌즈(+HA)가 -HA 렌즈보다 우수한 습윤성을 보였으며, 눈물량은 +HA 렌즈 착용자에서는 4주 동안 차이가 크지 않았지만, -HA 렌즈 착용자에서는 4주가 되면서 눈물량이 줄어드는 결과를 보였다. +HA와 -HA 렌즈 착용자의 충혈정도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렌즈 피팅은 +HA 렌즈에서 용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조사 결과에서 착용감, 습윤감, 세척의 용이성과 건조감은 +HA 렌즈가 -HA 렌즈에 비해 우수한 결과를 보였으나, 충혈정도와 렌즈 취급성은 차이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히알루론산이 첨가된 소프트콘택트렌즈(+HA)는 HA가 첨가되지 않은 소프트콘택트렌즈(-HA)에 비해 렌즈착용에 따른 표면 습윤성을 높임으로써 착용감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