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레저장비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28초

동남권 해양레저장비산업 육성정책

  • 이재형;하해동;조우정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94-95
    • /
    • 2011
  • 본 연구는 해양레저와 연관된 천혜의 자연조건을 구비한 동남권에서 해양레저장비산업이 전통산업으로부터 고부가가치산업으로 탈바꿈하기 위해서는 낙후된 동남권의 해양레저장비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음.

  • PDF

『수상레저안전법』상의 구명조끼 의무화에 관한 연구

  • 박창호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20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05-107
    • /
    • 2020
  • 수상레저활동시 구명조끼 등 안전장비 착용 의무화 배경 및 관련법률 제정 경위를 살펴보고, 현재 수상레저활동 중 안전사고 현황 및 안전장비 미착용 단속현황 분석을 통한 구명조끼 착용률을 높이기 위한 방법에 대해 고찰하였다.

  • PDF

해양레저스포츠 인프라 구축에 관한 기초연구 (Preliminary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marine leisure sports infrastructure program)

  • 전승환;하해동;강신영;정영석;정은석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579-585
    • /
    • 2004
  • 국민소득의 증가와 주5일 근무제의 확대적용, 3면이 바다이고 내륙에 비교적 많은 강과 하천이 분포되어 있는 지리환경적 여건으로 인해 쉽게 접할 수 있는 수상레저에 많은 관심이 주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의 수상레저사업자, 장비제조업자, 관련단체 및 동호인을 대상으로 설문 및 현장방문 조사를 통하여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고 사업체의 형태 및 애로사항 등의 실태를 파악한다. 이 자료들을 근거로 수상레포츠 활성화 및 발전을 위한 산업기반기설 구축방안을 제안한다.

해양레저 인프라 구축에 관한 기초연구 (Preliminary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marine leisure sports infrastructure program)

  • 하해동;전승환;강신영;정영석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55-160
    • /
    • 2004
  • 국민소득의 증가와 주5일 근무제의 확대적용, 3면이 바다이고 내륙에 비교적 많은 강과 하천이 분포되어 있는 지리환경적 여건으로 인해 쉽게 접할 수 있는 수상레저에 많은 관심이 주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의 수상레저사업자, 장비제조업자 관련단체 및 동호인을 대상으로 신문 및 현장방문 조사를 통하여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고 사업체의 형태 및 에로사항 통의 실태를 파악한다. 이 자료들을 근거로 수상레포츠 활성화 및 발전을 위한 인프라 구축방안을 제안한다.

  • PDF

해양레저산업 동향 및 산업경쟁력 확보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creational Boating Industry and its Competitiveness)

  • 강남선;김남훈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8-9
    • /
    • 2013
  • 본 연구는 세계 해양레저시장 20%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는 해양레저장비산업의 비전 및 핵심과제 달성을 위하여 해양레저선진국의 산업현황 및 해양레저시장의 동향 및 현황을 분석하고 산업의 경쟁력 확보를 위한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국내 보급형 레저선박을 개발하여 증가하고 있는 국내 수요에 대응하여야 하며, 둘째, 국내 우수의 IT 기술을 활용한 IT기반 해양레저장비를 개발하여 국외 시장 진출 및 조선기자재 산업으로의 파급이 필요하다. 셋째, 해외시장 개척을 위한 고급형 모델 및 슈퍼요트와 관련된 기술을 개발하여 고부가가치 수요시장을 공략하여야 하고 넷째, 국내 실정에 맞는 마리나 모델을 개발하여 이미지 개선 및 국내 외 경쟁력 확보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해양레저산업은 수요창출을 위한 공조체제가 반드시 필요하므로 해양레저문화의 발전이 반드시 병행되어야 한다. 해양레저산업은 경제동향 및 트렌드에 민감한 시장으로 관련된 기술개발과 시장을 둘러싼 국가 간 경쟁의 적극적인 대응마련과 단계적 전략 마련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PDF

해양레저장비 산업 용어 표준화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of Marine Leisure Equipment Industry Terminology)

  • 강민수;임장곤;김헌우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34-135
    • /
    • 2021
  • 조선해양 관련 산업에서는 아직 일본식 및 한자식 조선용어, 외래어가 자리 잡아 일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고박(固縛, こばく), 취부(取付, とりつ), 반생(番線, ばんせん) 등이다. 용어의 정의는 국가 표준 및 관련 법령의 기본이며, 특히 국내 해양레저 관련 산업의 경쟁력 향상을 위하여 필수적이다. 이에 일부 혼용 중인 해양레저장비 관련 선체, 의장품, 범장 등과 관련하여 영문 명칭, 외래어 사용시 표기법, 권장 한국어 등으로 구분하여 표준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카이트 추진형 레저보트의 자동항해에 관한 연구

  • 강민수;신일식;윤철원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93-94
    • /
    • 2013
  • 카이트 보딩은 윈드서핑, 요트 등과 같이 바람을 이용한 수상레저기구이며 국내에서는 소수의 동호인을 중심으로 매니아 층을 형성하고 있다. 최근 해양레저장비 분야에서도 친환경기술과의 접목이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해외에서는 대형선박의 연료비 절감 및 환경오염 인자 저감을 위한 선박 추진용 카이트 시스템이 개발되어 사용 중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카이트 추진형 레저보트를 대상으로 풍속, 풍향, 카이트의 위치 등에 따라 자동제어 및 운항 가능한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IP-RFID를 활용한 해양레저 활동관리시스템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pplication of a Marine Leisure Activity Management System Using IP-RFID)

  • 최형림;박병권;박용성;이창섭;조용현;임성택;하정수;이병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878-887
    • /
    • 2011
  • 본 오늘날 경제적 발전과 Well-being에 대한 요구가 확산되면서 다양한 여가 문화가 발달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3면이 바다인 한반도의 지리적 특성으로 인해 해양레저 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이러한 해양레저 시장과 이용자들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안전 관리와 장비 관리, 서비스 관리 등은 체계적으로 수행되지 못하고 있다. 해양레저 활동은 해상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육상에서 이루어지는 레저 활동보다 더욱 충돌, 조난과 같은 사고에 의한 피해가 크다. 그리고 해양레저 장비는 대부분 고가이기 때문에 체계적으로 관리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IP-RFID라는 새로운 기술을 이용하여 해양레저 활동을 즐기는 이용자들의 안전 관리와 장비 관리를 체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정보시스템을 제시한다.

연안 이용자 안전 확보를 위한 안전장비 착용 의무화에 관한 연구

  • 하민재;이영찬;이수진;하신영;정해상;국승기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20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93-95
    • /
    • 2020
  • 주 5일제 근무, 개인 여가문화 확산, 국민 소득 증대 등으로 인해 해양을 레저의 목적으로 이용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이용객의 증가에 따라 사고 발생의 개연성도 함께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선박을 이용한 레저활동의 경우에는 안정장비의 착용을 의무화하고 있지만, 연안 해역에서의 해양활동에 대하여는 안전장비 착용 의무화가 시행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안 이용객에 의한 사고통계 데이터 분석을 바탕으로 연안 이용객의 안전장비 착용의 필요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또한, 분석된 내용을 바탕으로 안정장비 착용 의무화 방안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