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레이저 소멸법

Search Result 14,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A Study on the Soot Particle Measurement in Co-Flow Diffusion Flame Using a Laser Diagnostics and a Thermocouple (레이저 및 열전대를 이용한 동축류 확산화염에서의 매연입자 측정에 관한 연구)

  • Han, Yong-Taek;Lee, Ki-Hyng;Lee, Won-Nam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 /
    • v.28 no.7
    • /
    • pp.863-870
    • /
    • 2004
  • The temperature and soot particle measurement technique in a laminar diffusion flame has been studi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soot particle with temperature using a co-flow burner.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in the flame were measured by rapid insertion of a R-type thermocouple and the soot particles by LEM/LIS techniques. In these measurement, soot volume fraction, number density and soot diameters were analyzed experimentally. As a results, the spacial distributions of particle volume fraction, soot diameter, and number density are mapped throughout the flame using the Rayleigh theory for the scattering of light by particles. A laser extinction method was used to measure the soot volume fraction and laser induced scattering method was used to measure the soot particle diameter and number density. Also, we measured temperature without the effect of soot particles attached to the thermocouple junction, which is close to the nozzle. In this result, we found that upstream zone has a unstable flowing in co-flow diffusion flame and the y-axis temperature of flame has a uniform temperature distribution in the most soot volume fraction zone.

A Study on the Soot Particle Measurement in Co-flow Diffusion Flame Using a Laser Diagnostics and a Thermocouple (레이저 및 열전대를 이용한 동축류 확산화염에서의 매연입자 측정에 관한 연구)

  • Han, Yong-Taek;Lee, Ki-Hyung;Lee, Won-Nam
    • Proceedings of the KSME Conference
    • /
    • 2004.04a
    • /
    • pp.1267-1273
    • /
    • 2004
  • The temperature and soot particle measurement technique in a laminar diffusion flame have been studi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soot particle with temperature using a co-flow burner. The temperature distributions in the flame were measured by rapid insertion of a R-type thermocouple and the soot particles were detected were detected by LEM/LIS techniques. In these measurement, soot volume fraction, number density and soot diameters were analyzed experimentally. As a results, the spacial distributions of particle volume fraction, soot diameter, and number density are mapped throughout the flame using the Rayleigh theory for the scattering of light by absorbing particles. A laser extinction method was used to measure the soot volume fraction and Laser induced scattering method was used to measure the soot particle diameter and number density. Also, we measured temperature without the effect of soot particles attached to the thermocouple junction, which is close to the nozzle. In this result, we found that upstream zone has a unstable flowing in co-flow diffusion flame and the y-axis temperature of flame has a uniform temperature distribution in the most soot volume fraction zone.

  • PDF

연소현상의 가시화

  • 정석호
    • 한국가시화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4a
    • /
    • pp.61-83
    • /
    • 2005
  • 연소현상의 가시화를 위한 몇 가지 레이저 진단기법의 응용 예를 소개한다. 이에는 유동 가시화를 위한 반응성 Mie 산란, 주화학종의 계측을 위한 Rayleigh 및 Raman 산란, 미소화학종 계측을 위한 레이저유도 형광법, 온도계측을 위한coherent anti-Stokes Raman 산란법 및 매연계측을 위한 광 소멸/산란법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기법들이 확산화염, 층류 및 난류 부상 화염, 비예혼합 와도 내의 화염전파, 매연생성 등의 연구에 적용되어 물리적 메커니즘을 이해하는데 유용하게 적용된 사례를 보고한다.

  • PDF

Z-Scan measurement of two-photon-absorption generated free carrier′s absorption cross-section in bulk GaAs (Z-Scan 법을 이용한 GaAs의 2광자 여기 자유전하 흡수 단면적 측정)

  • 김상천;장준영;전성만;임상엽;최문구;박승한
    • Proceedings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0.02a
    • /
    • pp.166-167
    • /
    • 2000
  • 일반적으로 수십 피코초 레이저 펄스를 이용한 GaAs bulk 상태 시료의 비선형 흡수 관찰 실험에서는 200Mw/$cm^{2b}$ 이하에서는 여기된 자유전하 운반자 흡수효과는 무시한다.$^{(1)}$ 그러나 수 나노초의 레이저 펄스를 이용할 경우, 이광자 흡수에 의해 여기된 자유전하 운반자들이 긴 수명시간으로 인해 재결합되지 않고 여기된 상태에 축적되어 짐에 따라, 레이저 빛을 재흡수 하는 확률이 높아져 낮은 세기의 빛에도 불구하고 비선형 흡수 효과가 크게 나타난다.$^{(2)}$ 불순물이 첨가되지 않은 GaAs bulk 상태의 경우 자유전하 운반자 소멸 시간은 수 나노초 영역으로 알려지고 있다.$^{(4)}$ 본 실험에서는 수 MW/$cm^2$의 매우 낮은 영역의 세기에서 순수한 GaAs의 bulk에 대하여 실험한 결과 비선형 흡수가 나타남을 관찰하였으며, 더불어 자유전하 흡수 계수를 여러 가지 세기의 빛에서 측정한 결과 자유전하 흡수 단면적이 빛의 세기에 따라 변화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중략)략)

  • PDF

Study for energy transfer from Rhodamime 6G to Rhodamine B using time correlated single photon counting method (시간 상관 단일 광자 계수법에 의한 Rhodamine 6G에서 Rhodamine B로의 에너지 전달에 관한 연구)

  • 엄효순
    • Proceedings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1.06a
    • /
    • pp.69-73
    • /
    • 1991
  • 모드 동기된 아르곤 이온 레이저를 여기광원으로 사용한 시간상관 단일 광자 계수장치를 이용하여 에탄올 용액 내에서 Rhodamine 6G에서 Rhodamine B로의 에너지 전달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측정된 형광 소멸 곡선은 본 실험실에서 개발한 full-fit program으로 deconvolution 하여 reduced concentration 과 critical transfer distance를 구했다. donor 의 농도가 acceptor의 농도보다 작을 경우에는 Foster 모델이 클 경우에는 Huber 모델이 잘 맞음을 확인하였다.

  • PDF

Time Resolved Electron Spin Resonance Spectroscopy of Anthrasemiquinone Radical Produced by Pulse Laser Photolysis. A Study on Chemically Induced Dynamic Electron Polarization (광화학 반응에서 생성된 Anthrasemiquinone Radical의 시간분해 ESR ; CIDEP에 관한 연구)

  • Hong Daeil;Kuwata Keiji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v.34 no.5
    • /
    • pp.404-412
    • /
    • 1990
  • The time resolved electron spin resonance spectroscopy are used to two measurement methods of chemically induced dynamic electron polarization (CIDEP) and absorption ESR. The spectra of the semiquinone radical anion were successively detected in the laser flash photolysis of anthraquinone in the mixtures of 2-propanol and triethylamine. The semiquinone radical anion was fairly stable and its cw ESR could be observed. The rate constant (T1$^{-1}$) of the spin-depolarization of polarized semiquinone radical anion was 2.6 ${\times}\;1-^5$ sec$^{-1}$ and the decay of the radical anion was the first order with the rate constant (K$_1}$) of 300.0 sec$^{-1}$. The intensity of CIDEP spectra increased with the increasing the microwave power, but the Torrey wiggles appeared following with decay curves.

  • PDF

ZnTe 완충층 두께에 따른 CdTe/ZnTe 양자점의 운반자 동역학

  • Kim, Su-Hwan;Lee, Ju-Hyeong;Choe, Jin-Cheol;Lee, Ho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4.02a
    • /
    • pp.305-305
    • /
    • 2014
  • 양자점(Quantum dots)은 3차원적 운반자 구속과 낮은 전류와 높은 온도에서 작동하는 나노 크기의 전기적, 광학적 소자로 응용이 적합하기 때문에 그 특성을 이용한 단전자 트랜지스터, 적외선 검출기, 레이저, LED, 태양전지 등 반도체 소자로의 응용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양자점의 낮은 임계전류밀도와 높은 차동 이득(differential gain), 그리고 고온에서 작동이 용이하여 양자점 레이저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분야에 양자점을 응용하기 위해서는 양자점의 운반자 동역학을 이해하고 양자점의 모양, 크기, 크기 분포와 같은 특성 조절이 필요하다. 또한 기존의 연구들은 III-V족 화합물 반도체 양자점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며, II-VI족으로 구성된 연구가 미흡한 상황이기 때문에 II-VI족 화합물 반도체 양자점에 대한 많은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II-VI 족 화합물 반도체 양자점은 기존의 III-V 족 양자점보다 더 큰 엑시톤 결합에너지(exciton binding energy)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특성을 가지는 II-VI 족 화합물 반도체 양자점 중에서도 CdTe 양자점은 높은 엑시톤 결합에너지와 녹색 스펙트럼 영역을 필요로 하는 광학적 장치들에 응용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더욱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분자 선속 에피 성장법(Molecular Beam Epitaxy; MBE)과 원자 층 교대 성장법(Atomic Layer Epitaxy; ALE)으로 CdTe/ZnTe 나노구조에서 ZnTe 완충층의 두께에 따른 운반자 동역학 및 광학적 특성을 연구 하였다. 저온 광루미네센스 측정(Photoluminescence; PL) 을 통하여 ZnTe 완충층 두께가 증가할수록 양자점의 광루미네센스 피크가 낮은 에너지로 이동함을 알 수 있었는데, 이는 ZnTe 완충층의 두께가 증가할수록 ZnTe 완충층과 CdTe 양자점의 격자 불일치(lattice mismatch)로 인한 구조 변형력이 감소하고 이에 따라 CdTe 양자점으로 가해지는 변형(Strain)이 감소하여 CdTe 양자점의 크기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ZnTe 완충층의 두께가 증가할수록 PL 세기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는데, 이는 ZnTe 완충층의 두께가 증가할수록 양자 구속 효과로부터 electronic state와 conduction band edge 사이의 에너지 차이의 증가 때문이다. 또한 시분해 광루미네센스 측정 결과 ZnTe의 두께가 증가할수록 양자점의 소멸 시간이 더 길게 측정되었는데, 이는 더 큰 양자점 일수록 엑시톤 오실레이터 강도가 감소하기 때문에 더 긴 소멸 시간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ZnTe 두께 변화를 통해 양자점의 에너지 밴드를 제어할 수 있으며, 양자점의 효율 향상을 할 수 있는 좋은 방법임을 제시하고 있다.

  • PDF

레이저 유도 형광법(Laser Induced Fluorescence)을 이용한 플라즈마 방전 표시기(Plasma Display Panel)내의 전계 측정에 관한 연구

  • 김정훈;이준학;최영욱;양진호;황기웅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1999.07a
    • /
    • pp.232-232
    • /
    • 1999
  • 교류형 플라즈마 방전 표시기(AC Plasma Display Panel, AC PDP)에 사용되는 플라즈마는 그 부피가 너무 작아서 플라즈마에 변화를 일으키지 않고 그 물성을 관측하기란 쉬운일이 아니다. 그래서 주로 PDP 내의 물성을 관측하는 데 시뮬레이션에 의존하게 된다. 그 물성중에 PDP내의 전계 분포에 대한 정보는 방전의 형성 및 소멸에 대한 많은 단서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AC PDP의 경우, 유전체에 형성되는 벽적하(wall charge)가 방전의 형성 및 PDP 구동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이는 PDP 내의 전계 분포를 살펴봄으로써 대략 예측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뮬레이션에 의존하지 않고, 직접 레이저 유도 형광법을 이용하여 AC PDP 내의 전계를 측정하였다. 방전 가스인 헬륨(He)의 에너지 준위는 전계의 크기에 따라 에너지 준위가 변화하여, Rydberg(n$\geq$8) 준위가 여러 개의 준위로 나누어지는 현상이 일어나는데, 이를 Stack 효과라고 한다. 따라서 전계의 세기가 커짐에 따라서 각 준위와 준위 사이 값(splitting)이 커지는데, 이를 이용하면 전계를 측정할 수 있다. 즉, 헬륨 원자를 여기시키는 레이저 파장을 변화시키면서 관측되는 레이저 유도 형광 신호를 관측하면, 준위의 splitting을 관측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PDP 내의 전계의 시간적 변화를 관측하였다. 50%, 40kHz의 구형파를 PDP의 두 전극에 가하였을 때, 플라즈마가 켜진 상태뿐만 아니라 플라즈마가 꺼진 후에도 전계에 의한 Splitting 신호가 관측이 되었는데, 전계로 환산하였을 때, 그 값은 대략 수 kV/cm의 값을 갖았는데, 이는 wall charge에 의한 값으로 사료된다.결과로 생각되어진다.플라즈마의 강도값을 입력하여 플라즈마의 radiation을 검출하고, 스퍼터링 공정중 실질적인 in-situ 정보로 이용하였다. PEM을 통하여 In/Sn의 플라즈마 강도변화를 조사하였다. 초기 In/Sn의 플라즈마 강도(intensity)는 강도를 100하여, 산소를 주입한 결과, plasma intensity가 35 줄어들었고, 이때 우수한 ITO 박막을 얻을 수 있었다. Pulsed DC power를 사용하여 아크 현상을 방지하였다. PET 상에 coating 된 ITO 박막의 표면저항과 광투과도는 4-point prove와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AES로 박막의 두께에 따른 성분비를 확인하였다. ITO 박막의 광투과도는 산소의 유량과 sputter 된 In/Sn ion의 plasma emission peak에 따라 72%-92%까지 변화하였으며, 저항은 37$\Omega$/$\square$ 이상을 나타내었다. 박막의 Sn/In atomic ratio는 0.12, O/In의 비율은 In2O3의 화학양론적 비율인 1.5보다 작은 1.3을 나타내었다.로 보인다.하면 수평축과 수직축의 분산 장벽의 비에 따라 cluster의 두께비가 달라지는 성장을 볼 수 있었고, 한 축 방향으로의 팔 넓이는 fcc(100) 표면의 경우 동일한 Ed+Ep값에 대응하는 팔 넓이와 거의 동일한 결과가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비대칭적인 모양을 가지는 성장의 경우도 cluster 밀도, cluster 모양, cluster의 양 축 방향 길이 비, 양 축 방향의 평균 팔 넓이로부터 각 축 방향의 분산 장벽을 얻어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기대할 수 있는 여러

  • PDF

Measurement of Absorption and Scattering Coefficients of Biological Tissues by Time-Resolved Reflectance Method (시간 분해 반사율에 의한 생체조직의 흡수계수와 산란계수 측정)

  • Jeon, Kye-Jin;Park, Seung-Han;Kim, Ung;Yoon, Gil-Won
    •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18 no.4
    • /
    • pp.499-505
    • /
    • 1997
  • A non-invasive technique to measure absorption and scattering coefficients was investigated The reflected backscattered light from the surface of phantom and biological tissue was obtained by using a time-correlated single photon counting system in pico-second time domain. The absorption and scattering coefficients were acquired by the time of peak and asymptotic behavior of the time-resolved reflectance curve and agreed well the ones that is obtained with deconvolution method It was found that the approximation method was good for biological medium to calculate optical properties due to its convenience and accuracy.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Low-cost Device for Measuring the Optical Smoke Density (광학적 연기밀도 측정을 위한 저가형 장치의 개발에 관한 연구)

  • Kim, Bong-Jun;Cho, Jae-Ho;Hwang, Cheol-Hong;Park, Seul-Hyun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9 no.4
    • /
    • pp.81-88
    • /
    • 2015
  • A low-cost device using the light-extinction method was developed to measure the optical smoke density in various fire experiments in the present study. The relative measurement accuracy of low-cost device was evaluated through the comparison of optical density measured by a high-cost standard device consisting of He-Ne laser, photo detector and various optical components. The low-cost device was composed of laser module, photocell and acrylic board. From the experiments using a smoke generator can be easily adjusted the smoke concentration, it was found that the low-cost device could measure the smoke density within the range of ${\pm}10%$, compared to the standard device. In addition, the reliability of low-cost device was also confirmed in the experiment using a polyethylene flame. Finally, it is expected that the low-cost device developed with real-time measurement and simple installation for measuring the smoke density will be used instead of the high-cost standard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