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레이다(radar)

검색결과 715건 처리시간 0.03초

전투기 레이다 측정 특성을 고려한 추적정확도 분석 (Analysis of Tracking Accuracy with Consideration of Fighter Radar Measurement Characteristics)

  • 서정직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9권8호
    • /
    • pp.640-647
    • /
    • 2018
  • 본 논문은 전투기 레이다의 표적 추적정확도(추적오차)를 분석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이다. 레이다 측정 시 발생하는 측정오차, 탐지실패, radar cross section(RCS) 요동은 측정 품질을 열화시키며, 이는 추적정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정확한 추적성능분석을 위해 이러한 레이다 측정 특성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측정오차, 탐지확률, RCS 요동과 같은 레이다 특성을 복합적으로 활용하여 추적정확도를 분석하는 방법에 대해서 제안한다. 제안한 분석 방법을 활용한 실험을 통해 탐지확률과 RCS 요동에 의한 추적정확도 열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인공위성 레이다 영상자료를 이용한 임분구조의 물리적 특성파악 (Analysis of Forest Stand Structure Using Spaceborne Synthetic Aperture Radar(SAR) Data)

  • 이규성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79-91
    • /
    • 1992
  • 최근 지구궤도상 영상레이다 시스템의발전과 더불어 여러 응용분야에서 레이다 원격탐사 자료를 이용하려는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우주상공에서 얻은 레이다영상자료로부터 얻은 레이다반사치와 산림의 특성과의 상관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미국 플로리다 북부 산림지 대의 연구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1984년 10월 우주왕복선 비행에서 Shuttle Imaging Radar B(SIR-B) 자료를 얻었다. 여러 종류의 참고자료(임분 조사자료, 임상도, 항공사진, Landsat Thematic Mapper 자료)를 이용하여 약 400여개 의 표본임분을 선정하였다. 각 임분의 물리적 특 성(평균수고, 흉고직경, 수간밀도, 생체량, 하층식생량)과 그에 따른 레이다반사치와를 비교하였고 그들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이 있는 상관관계를 볼 수 있었다. 또한, 동일한 임분특성에서도 레 이다반사치가 세 개의 주사각도별로 다르게 나타나고 있었다. 끝으로 최근 우리에게 이용가능한 인공위성 레이다영상자료의 종류와 특성 및 전망 등을 살펴보았다.

3개의 고 분해능 거리 프로파일을 이용한 유도탄의 위치 추정 (Position Estimation of a Missile Using Three High-Resolution Range Profiles)

  • 양재원;류충호;이동주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9권7호
    • /
    • pp.532-539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3대의 광대역 레이다에서 얻어지는 각각의 고 분해능 거리 프로파일(high resolution range profile: HRRP)을 이용하여 유도탄의 위치를 추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제시한다. 레이다는 유도탄의 레이다유효반사면적(radar cross section: RCS)이 큰 표면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신호를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한다. 하지만, 레이다에서 유도탄의 표면과 원점 사이의 거리 획득은 어렵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유도탄의 이동방향과 레이다의 추적 방향 사이의 각도를 알아내고, 유도탄의 표면에서 원점까지의 거리를 계산하여 레이다 측정 거리에 보상하였다. 따라서 3대의 레이다로부터 유도탄 원점까지의 총 거리를 계산하여 유도탄의 위치를 추정하였다. 전자기 수치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유도탄 자세 변화에 따른 레이다의 거리 보상을 시뮬레이션 검증하고, 500 MHz 대역폭의 고 분해능 레이다에서 계측한 거리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유도탄의 위치를 추정하였다.

간섭신호 내성 및 격리도 특성이 우수한 초단파 레이다용 모의신호 발생장치의 설계 및 구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imulated Signal Generator for VHF Radar with High Interference and Immunity Characteristics)

  • 김기중;이성제;장윤희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27-32
    • /
    • 2019
  • 본 연구는 RCS가 작은 목표물에 대한 탐지를 목적으로 하는 초단파대역 레이다의 성능입증을 위한 모의신호 발생장치의 설계 및 구현에 대해 기술하였다. 모의신호 발생장치에 사용하는 송신 및 수신 안테나 빔폭이 커서 격리도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안테나 격리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초단파 레이다의 운용조건을 고려하여 간섭신호내성 및 격리도 특성을 개선하였다. 모의신호 발생장치는 초단파 레이다의 송수신 보정, 모의신호생성, 표적의 도플러, RCS 및 거리모사, 원격제어, GPS 클럭 동기 기능 등을 수행한다. 모의신호 발생장치의 제작 후 출력 특성, 반사신호 모사 등 주요특성에 대해서 시험을 하였다. 향후 초단파 레이다 조립이 완료되면 초단파 레이다의 성능 평가를 위하여 활용할 예정이다.

레이다용 Phased RF Sub-Array MIMO 알고리즘 실시간 구현 (Real-time Implementation of Phased RF Sub-Array MIMO Algorithm for Radar)

  • 김완식;여환용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5호
    • /
    • pp.517-522
    • /
    • 2023
  • 기존의 레이다는 RF Sub-Array 방식의 레이다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개발되어 왔고, 최근 차량용 레이다용으로 Full 디지털 방식의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레이다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구현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미확보 기술인 RF Sub-Array 방식의 하드웨어에 Phased MIMO 방식을 적용한 레이다 알고리즘을 실시간 가능하도록 구현 및 검증하였다. RF Sub-Array 방식의 Phased MIMO 알고리즘 기술 확보 차원에서 FPGA 기반의 실시간 신호처리를 위한 하드웨어 구조를 제시하고 이에 대한 설계 및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성능을 먼저 예측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FPGA 기반의 광대역 MIMO FMCW 레이더의 디지털 송수신 신호처리 하드웨어를 개발하였고 최종적으로 RF Sub-Array 방식의 Phased MIMO 레이다 알고리즘을 실시간 구현 및 검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테라헤르츠 대역 레이다 등에 필요한 핵심 기술 확보 및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추적레이다에 의한 인체에 대한 영향(HERP) 및 전자파 간섭(EMI) 분석

  • 김대오;신한섭;김태형;이효근
    • 항공우주기술
    • /
    • 제4권1호
    • /
    • pp.239-246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추적레이다의 고출력 전자파에 의한 인체에 대한 영향(HERP)과 추적레이다 자체 장비에 대한 영향 및 동일한 C-Band 주파수 대역 사용으로 발생하는 기상레이다에 대한 전 자파 간섭(EMI) 분석을 실시하여 장비 설치 구역 내 통제가 가능한 인원(Controlled Personnel) 과 통제가 불가능한 인원(Uncontrolled Personnel)에 대한 최소 접근 제한거리를 산출하고 추적레이다 자체 장비에 대한 영향 및 동일한 주파수 대역 사용으로 발생하는 추적레이다와 기상레이다간의 전자파 간섭(EMI)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밀리미터파 W-대역에서 전차의 레이다 단면적 해석 및 응용 (Analysis of Radar Cross Section of the Tank and Its Application at Millimeter Wave W-Band)

  • 신호근;송성찬;김지형;박용배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8권9호
    • /
    • pp.756-759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밀리미터파 W-대역에서 전차의 레이다 단면적을 분석한다. 전차의 레이다 단면적은 PO와 PTD 기법 기반으로 개발한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계산하고, 상용 시뮬레이터와 비교를 통해 계산의 정확도를 검증한다. 전차의 레이다 단면적은 입사각, 편파, 포신 유 무에 따라서 계산하고 분석한다. 포탑의 형상 변화를 통해 레이다 단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고, 이것을 스텔스 전차 개발에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한다.

자율주행센서로서 개발한 2-chip 기반의 FMCW MIMO 레이다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FMCW Radar Based on two-chip for Autonomous Driving Sensor)

  • 최준혁;박신명;이창현;백승열;이미림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43-49
    • /
    • 2022
  • FMCW레이다는 일반 차량의 충돌방지용도 뿐만 아니라 자율주행시스템에서 활발히 센서로서 사용이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자율주행센서로서 개발한 2-chip 기반의 FMCW MIMO(Multi Input Multi Output) 레이다 설계 및 구현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사용 칩을 이용하여 48채널의 가상배열을 이용하여 방위각 해상도가 우수하게 설계하였으며, 특히 Frame 기반과 Chirp 기반의 파형발생 및 신호처리를 혼합하여 최대탐지 가능 속도와 속도 보상에 대해 강점을 보유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으며, 구현된 시스템은 실험실 내 시험과 실제 주행시험을 통하여 성능 및 상용화 가능성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머신러닝 스태킹 앙상블을 이용한 자율주행 자동차 RADAR 성능 향상 (Enhancing Autonomous Vehicle RADAR Performance Prediction Model Using Stacking Ensemble)

  • 장시연;최혜림;오윤주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2호
    • /
    • pp.21-28
    • /
    • 2024
  • 레이다는 자율주행 차에 있어 필수적인 센서 부품으로, 레이다가 활용되는 시장은 점차 커지고 있으며 제품 종류도 다양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평가 공정에서부터 레이다의 불량 여부를 예측해 자율주행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성능 예측 모델을 구축하고 평가하였다. 레이더 공정 과정의 39607개 입력 데이터로 모델을 학습하였으며, 결과적으로 17개 모델을 스태킹 앙상블했을 때 Meta Ridge 모델이 가장 높은 학습률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가 제품의 불량을 공정 단계에서 우선 예측해 수율을 극대화하고 불량으로 인한 제품 폐기 비용을 감축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 한다.

레이다 시스템 상호 간 운용을 위한 간섭 보호 기준 분석 (Analysis of Interference Protection Criteria for Interoperability of Radar Systems)

  • 김정;정정수;곽영길;김진국;전용찬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5권4호
    • /
    • pp.434-441
    • /
    • 2014
  • 최근 군용 레이다 사용이 급증하면서 인접 시스템 상호 간의 전자파 간섭의 영향이 높아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레이다의 효율적인 운용을 위하여 국제 표준화 규정에 근거하여 군 무기체계 레이다의 탐지거리 및 탐지확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상호운용에 대한 간섭 보호 기준을 제안한다. 레이다 상호 간 간섭이 존재 할 경우에도 요구 탐지거리 및 탐지확률을 확보하기 위한 허용 INR을 제시하였으며, 특히 INR이 -6 dB인 경우 5 %의 탐지거리 손실을 허용하는 조건에서 최대 탐지확률을 확보하기 위한 SNR을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결과를 제시하였다. 향후 군 통합무기 체계에서 레이다 상호간의 간섭의 영향에 대한 보호기준을 정립하는데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