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레시친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1초

육계에서의 양지, 우지 및 레시친의 이용 (The Utilization of Mutton Fat, Tallow, and Lecithin in the Broilers)

  • 고태송;오세정;김춘수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83-90
    • /
    • 1979
  • 육계사료의 대사에너지 및 단백질이용성에 미치는 양지. 우지 및 레시친첨가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옥수수. 대두박 및 어분을 주로 하는 사료에서 상기 유지가 각각 2% 및 5% 함유하는 사료를 단백질함량과 대사에너지함양이 동일하도록 옥수수와 대치하거나 소맥당을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육계는 처음 1주일간 시판배합사료를 급여하고 전기 4주간 흑은 후기 3주간에 단백질과 대사에너지 함양이 각각 다른 사료로 사육하여 성장 및 사료요구율을 측정하였다. 또한 전기사료를 급여한 3주령의 마지막 3일간은 분요혼합물과 사료섭취량을 24시간 간격으로 측정하여 전기사료의 에너지이용. 실소축적량 및 지방의 소화율을 조사하였다. 육계의 성장. 사료요구율 및 평균일당 증체량과 사료요구율에 있어서 각 유지사료급여간이나 각 유지 2% 혹은 5% 급여구간에 특별한 경향은 없었고 서로 유사하였다. 대사에너지함양은 전기사료 1g당 2,713-3,059Kcal이었고 총에너지의 대사율은 62-70%로 기초사료급여구가 가장 높았으며 유지 2% 첨가시에 비교하여 5% 첨가시에 낮아지는 경향이 있었으나 유지의 종류에 의한 특별한 경향은 발견되지 않았다. 3주령시에 1일1수가 대사하는 에너지량은 132-168Kcal였으며 유지의 첨가량이 5%로 증가할 때 낮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이때 질소 축적량은 0.631-0.738g이었으며 양지와 우지의 첨가량이 5%로 증가할 때 2% 첨가시에 비교하여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레시친의 경우는 그 반대였다. 유지의 소비율에 있어서도 48%로부터 76%의 범위에 있었으나 서로 유의차는 없었고 기초사료급여구가 가장 낮고 양지 및 우지의 경우는 2% 급여시보다 5% 급여시가 높았다. 이러한 값들은 어분중에 함유된 지질과산화물에 기인한다고 추측되었으나 레시친급여구의 유지의 소화율은 2% 급여시와 5% 급여시에 유사한 값을 나타내었다. 이상과 같이 단백지 및 에너지이용에 있어서 양지는 우지와 비슷하였으나 레시친과는 경향이 다르다는 것이 추측되었다.

  • PDF

역미셀계내에서 인지질분해효소 $A_2$에 의한 레시친의 가수분해 (Hydrolysis of Phosphatidylcholine in Aerosol-OT/Isooctane Reversed Micelles by Phospholipase $A_2$)

  • 장판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26-31
    • /
    • 1997
  • 물을 극미량 함유하는 미수계 효소반응계인 aerosol-OT/이소옥탄으로 구성된 역미셀계내에서 레시친의 일종인 DPPC (dipalmitoyl phosphatidylcholine)의 가수분해반응을 phospholipase $A_2$가 촉매할 수 있었다. 또한 phospholipase $A_2$에 의한 가수분해반응을 정량분석하기 위한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예민하고 간편한 방법을 고안하였는 바, 이에 의하여 aerosol-OT/이소옥탄 역미셀계내에서 phospholipase $A_2$에 의한 가수분해반응의 동력학적인 분석이 가능하였다. 한편, 여러가지 유화제와 유기용매 중 aerosol-OT와 이소옥탄일 때 효소반응이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반응 적정온도는 $35{\sim}40^{\circ}C$, 적정 pH는 7.0이었다. 또한 역미셀계내에서의 가수분해반응은 수분 함량변화에 민감하였으며, R-값(=[water]/[aerosol-OT])이 10.0일 때 가장 높은 효소활성을 나타내었다. 효소반응을 위한 최적조건하에서의 $K_{m,app.}$$V_{max.,app.}$는 각각 8.73 mM, 2.83 units/㎎ protein이었으며, 역미셀계내에서 phospholipase $A_2$에 의한 DPPC가수분해반응의 활성화에너지는 12.31 kcal/mole로 산출되었다.

  • PDF

하늘타리(Trichosantes kirilowii Maximowicz)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ive Effectiveness of Trichosanthes kirilowii Maximowicz Extracts)

  • 조춘구;엄태용;김주찬
    • 공업화학
    • /
    • 제18권6호
    • /
    • pp.625-629
    • /
    • 2007
  • 최근 피부친화성, 흡수력, 나노 입자의 제조 등에 우수한 특성을 지닌 불포화 레시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불포화레시친의 산화안정성을 높이고, 변질되기 쉽고 독성을 지닌 합성화합물을 대체하는 천연물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결과, 하늘타리(T. kirilowii Maximowicz)의 열매와 뿌리의 성분분석을 한 결과 항산화 성분으로는 갈릭산, 카페인산, 3,5-디하이드록시벤조익산, 플라보논이 검출되었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열매추출물(53.5 mg/g)보다 뿌리추출물(133.85mg/g)에서 높게 나타났고 프리라디칼 제거 및 지질산패 억제효과 또한 뿌리 추출물이 우수하였으며 뿌리 추출물은 폴리페놀 함량이 100 ppm 이상일 때 대조군으로 사용한 BHT보다 약 20.1%, 19.2% 높게 나타났다. 또한 하늘타리 추출물은 1250ppm 이하에서 95% 이상의 높은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어 안전성이 우수하였다. 리포좀의 안정성에 대한 효과는 열매보다 뿌리추출물이 우수하였으며 뿌리추출물은 대조군인 BHT에 비해 항산화 효과 15.1%, 제타전위 13.9% 높았으며, 입자크기는 9.3% 낮아 기존의 합성 원료보다 우수하였다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밀전분 지방질에 함유된 리소레시친의 정량 (Quantitative Analysis of Lysophosphatidyl Choline (LPC) in Wheat Starch Lipids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 신명곤;민봉기;장판식
    • 분석과학
    • /
    • 제5권3호
    • /
    • pp.339-343
    • /
    • 1992
  • HPLC-UV방법을 이용하여 밀전분 지방질의 주성분인 LPC를 정량하기 위해 HRW 밀전분 지방질로부터 순수한 LPC를 분리하여 LPC의 표준곡선을 작성하였다. 밀 품종별 LPC에서 대한 HPLC peak responses는 시료간 큰 차이를 보여주지 않아 HRW 밀전분 지방질로부터 만든 LPC의 HPLC-UV 표준곡선은 밀전분 지방질에 함유되어 있는 LPC의 함량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정량하는 데 이용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 PDF

나노세라마이드의 캡슐화와 아토피 피부의 치료 (Nano Capsulization of Ceramide and the Efficacy of Atopy Skin)

  • 조춘구;김인영;이희섭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19-426
    • /
    • 2004
  • 나노 세라마이드의 캡슐화(Nano-ceramide capsulation)는 세라마이드 III와 토코페릴리놀레이트를 나노 크기의 모노 베지클에 캡슐화시켜 피부각질층에 작용하도록 만든 기술이다. 그 제조에는 고압 마이크로플루다이저를 사용하였으며 조성은 다음과 같다. 모노 베지클의 막 강화제로서 $0.5{\~}5.0\;wt\%의$ 수소첨가레시친과 $0.1{\~}2.0\;wt\%의$ 리소레시친을 사용하였으며, 용제로서 $5.0{\~}10.0\;wt\%의$ propylene glycol과 $5.0{\~}10.0\;wt\%의$ ethanol을 사용하였다. 피부 보습기능과 아토피 치료를 위하여 활성성분인 세라마이드 III와 토코페릴리놀레이트를 사용하였으며 유화제는 함유하지 않았다. 나노 세라마이드 캡슐기술의 최적조건은 다음과 같다. 마이크로플루다이저의 통과압력은 1,000 bar, 통과횟수는 3회, 통과 온도는 $60{\~}70^{\circ}C가$ 적당하였다. 또한, nano capsule의 pH는 $5.8\pm0.5이었다.$ 평균입자크기는 $63.1{\pm}7.34 nm로$ 물과 같은 투명한 성상을 보였으며, 제타포텐셜값은 $-55.1{\pm}0.84mV이었다.$ 임상실험 결과로서, 피부보습효과(in-vivo, n=8, p-value<0.05)는 비교시료보다 $21.15{\%}$ 개선되었으며, 치료 전보다는 $36.31{\%}$ 개선되었다. 더구나, 아토피 피부 효과는 아토피 피부 환자 10명에게서 양성반응을 보였다.

수소첨가 레시친을 사용한 Lipid-LCG의 생성 (Formation of Lipid-LCG with Hydrogenated Lecithin)

  • 김인영;이건봉;조춘구;강삼우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0-18
    • /
    • 2002
  • In this study, it should be mentioned that Lipid-LCG can be prepared with the main compound of hydrogenated lecithin in oil-in water emulsion. The results of its physical property and stability are as follows. First, the best suitable compositions of Lipid-LCG are made from 4.0wt% of the hydrogenated lecithin, 4.0wt% of cetostearyl alcohol as emulsifier and gelling agent, 3.0wt% of butylene glycol and 2.0wt% glycerin as moisturizers, 3.0wt% of cyclomethicone, 3.0wt% of isononyl-isononanoate, 3.0wt% of capric/caprylic triglycerides, 3.0wt% of macadamia oil as emollients. Second, As the optimum conditions to form Lipid-LCG, which figured out 6.0 ${\pm}$ 1.0 for pH level, 32kg/mm, min for hardness to make a .essence to be formed the ternary phase of liquid crystal(multi-lamellar type). Third, as the analytical result of this system, it obtained that particle size is $1{\sim}8{\mu}m$ level, and is certified with it at 400 and 1,000 magnifications by microscope. The stability of Lipid-LCG is very stable on condition of a low temperature ($4^{\circ}C$), a room temperature ($25^{\circ}C$) and a high temperature ($40^{\circ}C$), which is not to be split in for a long time(for 3-month). We produced our own moisturizing essence, which has a good affinity to skin by means of this system.

글리세릴 베이스의 신규베지클 이용 캡슐화를 통한 항산화성 아스타잔틴의 성질 강화 (The Cosmeceutical Property of Antioxidant Astaxanthin is Enhanced by Encapsulation Using Glyceryl Based New Vesicle)

  • 김동명;홍원기;공수성;이정현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47-257
    • /
    • 2014
  • 새로운 베지클인 glyceryl citrate/ lactate/ linoleate/ oleate를 이용한 수중유형 형태의 아스타잔틴 나노에멀젼에 대해 항산화 효과, 세포 생존력, 단백질과 관련한 효소의 영향, 피부 침투도 그리고 피부에 대한 보습 및 탄력 등의 약용화장품적인 측면에서의 전반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항산화력 및 세포 생존력에 대해선 각각 DPPH법과 MMT assa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아스타잔틴 나노에멀젼에 대한 또 다른 성질은 2D-Page를 이용한 단백질 분석 및 컨포칼, in-vivo 테스트를 통해 측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아스타잔틴을 포함하는 나노에멀젼은 MMP발현에 관련한 단백질 억제 및 세포외 기질의 분해를 막고 라디칼의 소거에 매우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종전의 레시친을 이용한 나노에멀젼 보다는 새로운 베지클을 이용한 아스타잔틴 나노에멀젼의 피부 침투가 매우 효과적임을 CLSM을 통해 측정하였다. 또한 28일 동안의 한국 성인 여성 11명을 통한 보습 및 탄력 인비보 테스트에서 우수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아스타잔틴을 포함하는 나노에멀젼의 안정성 향상을 위한 신규 Glyceryl Ester 이용 캡슐화 (Novel Encapsulation with New Glyceryl Ester Vesicle Enhances Stability of Nanoemulsion Containing Astaxanthin)

  • 김동명;홍원기;공수성;이언엽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25-231
    • /
    • 2013
  • 아스타잔틴을 포함하는 수중유형 형태의 나노에멀젼을 고압균질기를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이에 유화조건, 유화제 종류, 유화제 농도 그리고 아스타잔틴 농도에 따라 최적화를 되었다. 나노에멀젼의 안정성은 제타포텐셜, FF-SEM, 입도분석기, 색차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제조된 아스타잔틴 나노에멀젼의 입도는 160 ~ 190 nm로 균일하였으며 레시친에 의한 나노에멀젼 보다 glyceryl citrate/lactate/linoleate/oleate에 의한 나노에멀젼이 더욱 안정하고 균일한 입도분포를 가졌다. 아스타잔틴의 봉입도는 HPLC, FF-SEM을 이용하여 확인 하였으며, 제형 구성 후 보관조건에서의 안정도 및 제타 포텐셜 값도 -41의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