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랜턴

Search Result 7,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멀티롤 랜턴의 LED 배열에 따른 배광특성 분석

  • Han, Ju-Seop;Kim, Jong-Uk;Yu, Yong-Su;Gang, Seong-B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10a
    • /
    • pp.395-397
    • /
    • 2013
  • 항로표지는 해상에서 선박의 안전한 항행에 필수적인 요소이며, 현재는 LED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등명기를 개발 및 사용하고 있다. LED 멀티롤 랜턴을 개발하여 항로표지의 표체조명, 교량표지, 방파제 표시등 등으로 개발하고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를 위하여 LED 멀티롤 랜턴의 내부 LED 배치에 따른 배광특성을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 멀티롤 랜턴은 아크릴 환봉과 설치를 위한 금속재로 구성하였으며, 내부에 LED를 2열로 배치하였다. 최적의 설계를 위하여 아크릴 환봉을 투명한 것과 유백색인 것으로 구분하고 2열의 LED 모듈에 집광렌즈($45^{\circ}$, $60^{\circ}$, 미설치)에 따른 배광특성을 분석하였다. $60^{\circ}$ 집광렌즈를 사용한 경우의 시인효과가 우수하여 이를 바탕으로 LED 멀티롤 랜턴을 최종적으로 설계하였다. 투명 아크릴 환봉에 2열의 LED를 배치하고, $60^{\circ}$ 집광렌즈를 사용한 평판형 및 v형의 2종과 집광렌즈를 사용하지 않은 v형 1종으로 선정하고, 녹색과 홍색으로 제작하여 LED의 배열에 따른 배광특성을 본석하였다.

  • PDF

지혜 깊어지는 건강 - 건강 찾아 떠나는 캠핑 - 제주에서 겨울 캠핑 뚜벅뚜벅 올레를 걸으며 몸으로 제주를 느끼다

  • Kim, San-Hwan
    • 건강소식
    • /
    • v.35 no.2
    • /
    • pp.34-37
    • /
    • 2011
  • 어둠이 오면 텐트마다 랜턴 불빛이 피어난다. 추운 날씨지만 랜턴 불빛은 은은하며 따뜻하다. 창백한 가로등 불빛과는 비교할 수 없이 정감이 있다. 텐트마다 피어난 랜턴의 불빛은 캠핑장을 환하게 비춘다. 캠퍼들은 모닥불 앞에 앉아 조용 조용 이야기를 나누며 제주의 밤이 깊어가는 것을 지쳐본다. 한라산과 오름, 올레와 겨울 바다 어느 것 하나 부족할 것 없는 제주에서 캠핑은 캠퍼들이 꿈꾸는 로망이다.

  • PDF

A case study of storage lantern fire (충전식 랜턴 화재 사례에 관한 연구)

  • Park, Ji-Hoon;Kim, Eung-Sik;Kim, Jang-Hwan;Kim, Eu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0.04a
    • /
    • pp.192-199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전기를 이용한 발화 관련기기중 하나인 충전식 랜턴의 화재사례를 살펴보고 원인 규명을 위한 가상의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충전식 랜턴의 충전회로에서 일어날 수 있는 사례와 배터리의 이상으로 인한 화재 모의실험 연구를 하였다. 실험 결과 충전식 랜턴의 화재 발화요인으로 가능성이 있는 만큼 국가화재 분류체계의 발화 관련기기에서 기타로 분류하고 있는 것을 충전식 랜턴 조사항목으로 분류해야 한다.

  • PDF

Performance evaluation by simulation for the angular luminous intensity distributions of marine lanterns using a tilting aspherical Fresnel lens and a C-8 type light bulb (기울어진 비구면 프레넬 렌즈와 C-8 type 전구를 이용한 해상용 랜턴의 배광곡선 시뮬레이션을 통한 성능평가)

  • Cho Hyun Seok;Jo Jae Heung;Park Seungl Nam;Park Chul Woung;Kim Yong Wan;Kim Jong Tae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 /
    • v.15 no.6
    • /
    • pp.511-518
    • /
    • 2004
  • Providing marine signal lanterns with advantages of little weight as well as large aperture, a Fresnel lens has been adopted to transfer the beam from the lanterns up to 10 nautical miles (18.53 km). A Fresnel lens with the diameter of 250 mm and 300 mm was designed by a lens design program and optimized by adjusting the groove parameters of the lens. The angular luminous intensity distribution (ALID) of this lens was calculated by using an illumination analysis program considering the ALID of a light bulb. At the best alignment of the bulb, the maximum luminous intensities (MLI) of the lantern were 1000 cd (in the case of 250 mm diameter) and 1300 cd (in the case of 300 mm diameter). These are more than the critical value of 720 cd that is the Korean Standard of MLI for the marine lantern. The ALID was investigated as a function of misalignment from the lens focus to determine the tolerance of the alignment ranges.

A study on characteristic variation of solar cells for lanterns as a temperature change (정원등(lanterns)용 태양전지셀의 온도특성 변화연구)

  • Lee, Se-Hyun;Cho, Mee-Ryoung;Shin, Sang-Wuk;Hwang, Myung-Keun;Yang, Seong-Yong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6a
    • /
    • pp.206-209
    • /
    • 2006
  • In this paper, I try to measure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PV cell for lanterns with solar simulator and simulated with PC1D software. I keep my eye on the characteristics variation of PV cell as a temperature change. Therefore, I try to increase a temperature of controlled block from $10^{\circ}C$ to $50^[\circ}C$ while measuring the FV cell. As a result, A variation caused by voltage have an effect on the efficacy of PV cell. Hence it is an important variable when a designer plan to make a solar cell for lanterns.

  • PDF

New and renewable Energy and Critical Raw Materials (신재생에너지와 Critical Raw Materials)

  • Kim, Yujeong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11a
    • /
    • pp.155-155
    • /
    • 2011
  • 신재생에너지 수요가 확대됨에 따라 신재생에너지 관련 제품에 소요되는 물질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고 있다. 이들 물질은 공급리스크가 존재하는 희유금속이 주를 이루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신재생에너지 등의 high tech 기술 확대로 인한 희유금속의 수요 및 공급을 전망하고 있는 미국의 critical raw material 관리 전략을 살펴보고자 한다. 미국은 2010년 12월 미국 에너지성(DOE : Department of Energy)에서 위기 물질 전략(Critical Materials Strategy)에 관한 리포트를 공표하였다. 클린 에너지 기술 4개 분야(영구자석, 선진 전지, 태양전지 박막, 형광 물질)에서 핵심이 되는 물질(희유금속 등)의 수급 불균형이 일어날 가능성에 대해 조사를 실시하여 리스크 평가하여 단기, 중단기로 구분하여 위기물질을 선정하였다. 클린 에너지 기술 4개 분야에서 핵심이 되는 물질(네오디움, 디스프로슘, 코발트, 리튬, 랜턴, 세륨, 테룰, 인듐, 갈륨, 유로피움, 테르비움, 이트륨)의 12광종 수급을 2025년까지 전망한 결과 전체적으로 단기(2010년~2015년)보다 중기(2015년~2025년)에 공급 부족이 확대한다고 예측되었다. 단기적으로는 인듐이 약간 부족하는 것 외에 디스프로슘과 이트륨에 관해서도 공급 부족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중기적으로는 코발트(전지 기술에 사용)와 유로피움(고효율 조명용의 형광 물질에 사용) 외 대상이 된 다른 모든 물질은 공급 부족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이를 종합하여 단기적으로는 디스프리슘, 유로피움, 인듐, 테르븀, 네오디움, 이트륨 등이, 중기적으로는 디스프리슘, 유로피움, 테르븀, 네오디움, 이트륨 등이 위기물질(Critical Material)로 분석되었다. 에너지성은 위기물질을 공급원다각화, 대체물질개발, 리유즈, 리사이클링 등을 국제적 파트너와 함께 추진하여 리스크를 관리할 것이며, 2011년까지 최신정보를 구축하여 위기물질 전략을 재설정할 예정이다. 체계적인 위기물질 선정 및 관리전략 등을 참조하고, 신재생에너지기술 변화에 따른 원재료의 중요성 및 리스크 관리현황을 기초로 우리나라에 적합한 위기관리 물질 선정 및 관리가 필요할 것이다.

  • PDF

The Facets of Photographic Records on Korea in Modern Era (조선말과 대한제국 시기 사진기록물의 성격과 생산, 유통 과정)

  • Park, Ju Seok
    •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 /
    • no.62
    • /
    • pp.225-258
    • /
    • 2019
  • Since the opening of Joseon in 1876, the photographic records of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 period of the Korean Empire exist more than expected, considering the technological level and the social situations at that time. Photographs related to Korea can be distributed in various forms, such as illustrations of books printed to introduce Korea to Western society, plates of graphic journalism like newspapers or magazines, vintage prints, photo-postcards, stereo-photographs, card-type photographs, and lantern slides. There are still a great deal left in various archives of the Europe, America, Japan and Korea. According to related researchers, Korean-related photographs taken between 1863 and 1910, since Koreans were first photographed, were at least 3,000 to 4,000 cuts and the photo postcards issued was 25,000. It is said that most of them exist. This paper categorizes two ways of producing and distributing photographic records related to Korea, which were early modern times. The subjects of the photographs are clearly Korea or Koreans, but most of the producers of these photographs were Westerners and Japanese, who were imperial servants of imperialism. In the case of photography, there is a great possibility of distortion of the facts depending on the needs or perspectives of the producers. In order to correct the distortion, not only the contents of the photograph but also the intention of the producer, the production and the communication status should be grasped. This is because the problem of reading photograph records accurately and fairly in an age where there is no real experience is the cornerstone for understanding modern Korea correctly and broadly studying the Modern History of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