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라캉이론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22초

남녀성차에 대한 라캉의 구조적 정의와 그 문제 (The Critical Discussion about Lacanian Structural Definition of Sexual Difference.)

  • 문장수
    • 철학연구
    • /
    • 제129권
    • /
    • pp.53-82
    • /
    • 2014
  • 본 글은 라캉의 주체 개념 및 이것의 연장인 남녀성차에 대한 구조적 정의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고 이러한 정의들에 내포된 문제들을 비판한다. 라캉이 제공하는 남녀성차에 대한 구조적 정의를 분석하고 비판하기 위해서는 우선 그가 이론화하고 개념화한 저 다양한 정신분석학적 용어들, 즉 상상계, 상징계 그리고 실재계의 관계성, 이상적 자아와 자아 이상의 구분, 남근과 기표의 의미, 타자와 욕망, 의식과 무의식, 소외와 분리 등과 같은 기본적인 용어들의 사용법을 분석하는 것이 급선무이다. 이를 위해 필자는 우선 제 2장에서 상상계와 이상적 자아 사이의 관계, 그리고 제 3장에서는 상징계와 자아 이상 사이의 관계를 논구할 것이다. 그렇게 하여 '이상적 자아'와 '자아 이상'의 차이와 유사를 해명할 것이다. 그리고 제 4장에서 타자, 욕망 그리고 무의식적 주체 사이의 연관성을 해명하고, 제 5장에서는 라캉이 말하는 남근과 기표의 의미를 분석할 것이다. 그리고 제 6-7장에서는 상기의 분석들을 토대로 남녀성차에 대한 라캉의 구조적 정의를 본격적으로 분석할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 결론 장에서는 주체 이론 및 남녀성차에 대한 라캉이론의 전체적 의의 및 그 한계를 최종적으로 정리할 것이다. 그런데, 물론 결론의 장에서 성차에 대한 라캉의 구조적 정의를 전체적으로 비판하기 이전에 각 장들의 말미에서 그 장의 핵심적인 관념들을 비판하는 책무를 소홀히 하지 않을 것이다. 필자의 최종 결론은 이것이다. 라캉과 라캉 학파의 성차에 대한 다양한 정의들이 최소한의 객관적인 의미라도 가지려고 한다면, 그것들은 궁극적으로 해부학적 차이에 근거해야만 한다는 것이다.

<기생충>에 나타난 자크 라캉의 욕망 (A Study on Lacan's Desire in <Parasite>)

  • 조우신;최원호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5호
    • /
    • pp.299-310
    • /
    • 2023
  • 자크 라캉(Jacques Lacan)에 따르면, 욕망은 원초적인 부분의 결여(Lack)에서 비롯되며, 이는 인간이 지속적으로 쾌락과 만족을 추구하게 만드는 일종의 원동력이다. 주체(Subject)와 인류의 욕망은 매우 복잡한 심리적 현상이기에 욕망의 완전히 실현은 불가능하다. 연구자는 자크 라캉의 욕망 이론을 통해 영화 속 주체가 추구하는 이상, 좌절, 성장의 과정에서 형성되는 균형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 논문, "연구자는 영화 <기생충>을 아메데오 지오르지(Amedeo Giorgi)의 현상학적 방법으로 분석"에 대한 연구임. 이를 통해 인류 욕망의 본질을 드러냄으로써, 영화의창작에 대한 시사점과 이론적 배경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라캉 은유의 시각적 의미작용을 통한 무의식적 기호 연구 (Unconscious Signs in Visual Signification of Lacan's Metaphor)

  • 박상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88-96
    • /
    • 2015
  • 시각이미지에 나타나는 메시지 담론의 본질은 시각이미지 발신자와 이를 받아들이는 수신자 모두의 경험과 문화 등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시각메시지의 의미작용은 상호주체적인 과정을 통해서 드러나는 것이다. 발신자의 기표 생산과 은유적 기표가 수용자에게 무의식적으로 작용하는 메커니즘을 '무의식은 언어처럼 구조 지어져 있다'는 라캉의 이론에 적용하였다. 그리고 언어적으로 접근한 라캉의 은유 공식을 시각적 이미지에 적용하여 은유 구조와 의미작용 분석의 가능함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한 분석은 시각적 은유 표현에 나타난 기표의 다양한 층위를 논리적이고 실용적으로 모색하는 근거가 될 수 있다. 기표의 은유적 구조와 분석 매트릭스는 시각적 이미지 생산을 위한 창의적 아이디어 전개와 실천적 방법을 제시할 수 있어, 향후 분석결과와 더불어 수신자 감성 반응의 실증적 연구를 기대할 수 있다.

누구를 위한 기념일인가? - 기념일에 관한 라캉과 알튀세르적 접근 (Anniversary for whom?: Approach of Lacan and Althusser about Anniversary)

  • 손성우;태지호
    • 기호학연구
    • /
    • 제57호
    • /
    • pp.177-210
    • /
    • 2018
  • 본 연구는 우리 사회에서 벌어지고 있는 기념일을 둘러싼 갈등과 투쟁에 주목해 기념일에 관해 라캉과 알튀세르적 접근을 시도했다. 연구대상으로는 8.15, 한국전쟁, 3.1절, 임시정부를 선정했으며, 이들에 대한 기념 투쟁들의 양상과 그 변화 과정을 살펴보았다. 연구방법으로는 라캉과 알튀세르의 이론과 개념 등을 활용했다. 연구결과는 기념투쟁이 19세기말 진행된 근대화 초입을 그 기원으로 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일제강점에 의해 강압적으로 이루어진 근대화가 우리 사회에 외상과 균열을 냈으며, 이는 이데올로기 및 환상과 접합되어 사회적 갈등의 형상을 취하게 되었다. 그것이 수렴되는 지점이 바로 기념일이다. 기념일과 기념투쟁이 과거에 대한 사회적 기억의 현상으로서 존재할 수 밖에 없는 것이라면, 이들은 분열된 과거의 회귀가 아니라 내일을 향하는, 균열을 메우는 사회를 만들고자 하는 의지를 되새기는 날이 되어야 할 것이다.

사이버공간의 인식적 구조에 관한 연구 - 라캉의 관점으로 본 노박과 린의 비교연구 - (A Study on Epistemic Structure of the Architecture in Cyberspace. - A comparative analysis on Novak and Lynn based on Lacan's subject theory -)

  • 이경훈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224-233
    • /
    • 2005
  • Cyberspace is created through the confluence of global electronic communications networks and technology, and also meant to be a three-dimensional space of information. Its application in arts, however, requires broader views and knowledge and often results a confounded definition of it. The study is to define cyberspace and the architecture in it, with the methodology of the structural criticism, focusing the textuality without any impression or intuition to reach its valid epistemic definition. Two architects in cyberspace; Novak and Lynn, and their works have been discussed and analyzed reflecting Benedikt's theory of cyberspace which has coined its definition in architecture in early 90's. Lacan's subject theory, including the mirror stage, has played a key role to evaluate the identities and the differences of various views towards cyberspace. It also enables us to construe the on-going status and meaning of cyberspace and the architecture In it.

'자기와 자기 의식'의 철학적 관점에서 본 뫼비우스의 '잉칼'분석 (Moebius' L'INCAL Analysis of 'self' and 'self-consiousness' in philosophic viewpoint)

  • 홍영옥;이원석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7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667-671
    • /
    • 2007
  • 뫼비우스의 '잉칼'을 '자기'와 '자기의식'의 철학적 관점에서 분석한다. 연구에서는 유럽과 미국의 그래픽 노블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뫼비우스의 '잉칼'을 연구, 분석한다. 광범위한 이론 중 '잉칼'은 '자기'와 '자기의식'의 융, 라캉, 카오스 이론의 개론적 부분으로 한정한다. 철학이 담긴 만화는 어른들도 볼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다양한 만화를 다양한 계층이 향유할 수 있는 만화문화를 열어 나가는데 초석이 되기를 바라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 PDF

거울 메타포를 활용한 미디어아트 사례분석과 작품제작 : 인식론적 사고를 중심으로 (Media Art Case Analysis and Implementation Applying Mirror Metaphor)

  • 이지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159-166
    • /
    • 2013
  • 본 논문은 미디어 아트 작업을 구상하고 제작함에 있어서 단순히 일회적 즐거움과 호기심만을 안겨주는 것이 아닌, 철학적 담론을 현대사회를 살고 있는 우리에게 접목하고 이를 수용자와도 함께 나눌 수 있는 방식의 반성적 작업으로 제작한 과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저자가 진행한 자크 라캉의 철학에 대한 이론수업과 관련 미디어아트 작업분석, 그리고 이전의 작업물들과는 차별화되는 작업으로의 진행을 학생들과 함께 시도한 결과물이다. 이를 통해 미디어아트 작업을 구상하고 실제화하는 데 있어서 이론과 실기가 보다 매끄럽게 연결되어 진행되고, 전통학문을 통해 디지털예술 작업의 층위가 깊어지고 인터페이스 실험방식 자체가 다양해질 수 있음을 보이는 데에 본 논문의 목적과 의의를 둔다.

게임에서의 시점과 캐릭터 동일시 (Identification with the Point of Views and the Characters in Game)

  • 이설희;성용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117-126
    • /
    • 2008
  • 라캉의 동일시이론은 많은 문화 장르에 적용되어왔다. 특히 영화이론에서의 동일시 이론은 게임의 동일시 이론 적용에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해준다. 이 연구에서는 라캉의 동일시 이론을 게임에 적용해 보는 것을 그 목적으로 게임에서의 시점에서의 동일시와 캐릭터에의 동일시로 구분하여 설명하는 것을 시도했다. 영화에서 1차적 동일시인 시점에의 동일시는 카메라 시점과 동일시하는 것으로 설명되는 반면에 게임에서는 다양한 시점에 동일시하게 된다. 그리고 게임에서 캐릭터에 동일시하는 현상은 두 가지 방향에서 설명할 수 있다. 먼저 게이머는 자신이 바라보는 스크린상의 움직임을 바라보면서 시각적으로 동일시를 하게 되고 이에 따라서 자신이 동일시하는 캐릭터에 대한 정보를 무의식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는 게이머는 주어진 역할에 동일시한다. 이러한 동일시를 가능하게 하는 동일시 기제는 허구적 진술체계의 은폐, 호명과 선택하는 과정, 그리고 커서, 화면 내 배치, 색깔 등으로 설명할 수 있다.

라캉의 주이상스 개념을 통한 레이 가와쿠보의 디자인 분석 (Analysis of Rei Kawakubo's Designs Through the Lacanian Jouissance)

  • 허가영
    • 패션비즈니스
    • /
    • 제28권5호
    • /
    • pp.160-169
    • /
    • 2024
  • This study aimeds to reinterpret Jacques Lacan's concept of jouissance as a creative driving force in contemporary fashion design and to analyze Rei Kawakubo's radical designs through this lens. Lacan's jouissance is a complex concept that, transcends general pleasure theory. It has gained attention in sociocultural contexts where conventional phenomena are difficult to explain. This approach has proven especially valuable in analyzing artistic developments that defy interpretation through existing aesthetic theories. In this research, I derived three aspects of jouissance: 'pleasure of pain', 'pleasure of forbidden', and 'pleasure of lack'. I then used them to analyzed Rei Kawakubo's designs. Specifically, I systematically analyzed Kawakubo's avant-garde and unconventional designs appearing in each collection by interpreting baffle and uncomfortable designs as 'pleasure of pain', departure from existing fashion conventions as 'pleasure of forbidden', and infinite creative drive as 'pleasure of lack'. Regarding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t explored how the concept of 'pleasure', a fundamental human desire, was reflected in contemporary fashion design. It also presents a new perspective that reinterprets jouissance as a fundamental driving force in fashion design. This approach strengthens the view of fashion design as a medium, reflecting human needs and desires. It can contributes to designers exploring more fundamental sources of inspiration in their creative processes. By introducing a psychoanalytic perspective to fashion design research, this approach is expected to present novel possibilities for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contribute to expanding the theoretical horizon of fashion design.

텍스트해석학적 관점에서 한국전통공간의 유형해석에 관한 연구 - 현대적 디자인 적용을 위한 옐름슬레우의 구조주의 이론과 라캉의 무의식적 구조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Typological Interpretation of Korean Traditional Space in terms of Text Hermeneutics - Focusing on Hjelmslev's Structuralism and Lacan's unconscious structure for contemporary Application -)

  • 박경애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5권4호
    • /
    • pp.64-72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erpret Korean traditional space as text on the basis of Structuralism. The process of this study is illustrated as follows: At first, this research contains basic concepts and theories of Structuralism and discusses the possibilities of typological approaches in Korean traditional space interpretation. Secondly, As typological structure of traditional space, spacial and visual expressive characteristics in traditional residential space based on traditional thoughts of Koreans formed with inherent consciousness are considered with Hjelmslev's Structuralism and Wonhyo's Whajaeng theory. Finally, This study tries conceptual analysis based on Lacan's Metaphor and Metonymy emerged from unconscious mechanisms about interpretation and induction of the traditional spacial structure for contemporary Application. Structure is a group of elements forming a covariant ensemble.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validates that texts are understood when methods that bring back to the creative processes and intentions are found by Text Hermeneu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