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라벨 텍스트

Search Result 14,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Wine Label Recognition System using Image Similarity (이미지 유사도를 이용한 와인라벨 인식 시스템)

  • Jung, Jeong-Mun;Yang, Hyung-Jeong;Kim, Soo-Hyung;Lee, Guee-Sang;Kim, Sun-Hee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1 no.5
    • /
    • pp.125-137
    • /
    • 2011
  • Recently the research on the system using images taken from camera phones as input is actively conducted. This paper proposed a system that shows wine pictures which are similar to the input wine label in order. For the calculation of the similarity of images, the representative color of each cell of the image, the recognized text color, background color and distribution of feature points are used as the features. In order to calculate the difference of the colors, RGB is converted into CIE-Lab and the feature points are extracted by using Harris Corner Detection Algorithm. The weights of representative color of each cell of image, text color and background color are applied. The image similarity is calculated by normalizing the difference of color similarity and distribution of feature points. After calculating the similarity between the input image and the images in the database, the images in Database are shown in the descent order of the similarity so that the effort of users to search for similar wine labels again from the searched result is reduced.

Descriptive Characteristics of the Label Texts Related to Earth Science: Toward Educationally Meaningful Communication (교육적으로 유의미한 의사소통을 위한 지구과학 관련 전시 라벨의 서술 특징)

  • Kim, Chan-Jong;Park, Eun-Ji;Yoon, Sae-Yeol;Lee, Sun-Kyung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33 no.1
    • /
    • pp.94-109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descriptive characteristics of the label texts related to Earth Science at a science museum and a natural history museum in Korea.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Korean National Science Museum and Seodaemun Natural History Museum. The analysis framework was modified according to the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As a result, characteristics of the labels are 1) mostly declarative sentences, 2) appropriate amount of scientific information, and 3) mainly 'facts'. Moreover, all of the text genre are 4) 'logical expositions'. Particularly in Korean National Science Museum, the labels present 5) more scientific words among the entire terminologies and 6) more than half subjects omitted or long nominalized. Those results may imply that the labels can lead one-way communication regarding the culture of science rather than two-way. This study presents the descriptive characteristics of the label texts to make educationally meaningful communication possible by building an open structure between visitors' own culture in everyday life and the culture of science.

Zero-shot Text Classification based on Reinforced Learning (강화학습 기반의 제로샷 텍스트 분류)

  • Zhang Songming;Inwhee Jo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3.11a
    • /
    • pp.439-441
    • /
    • 2023
  • 전통적인 텍스트 분류 방법은 상당량의 라벨링된 데이터와 미리 정의된 클래스가 필요해서 그 적용성과 확장성이 제한된다. 그래서 이런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제로샷 러닝(Zero-shot Learning)이 등장했다. 텍스트 분류 분야에서 제로샷 텍스트 분류는 모델이 대상 클래스의 샘플을 미리 접하지 않고도 인스턴스를 분류할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주제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책 네트워크를 활용한 심층 강화 학습(DRL) 기반 접근법을 제안한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모델이 새로운 의미 공간에 효과적으로 적응하면서, 다른 모델들과 비교하여 제로샷 텍스트 분류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었다. XLM-R 과 비교하면 최대 15.9%의 정확도 향상이 나타났다.

A Study on Korean Pause Prediction based Large Language Model (대규모 언어 모델 기반 한국어 휴지 예측 연구)

  • Jeongho Na;Joung Lee;Seung-Hoon Na;Jeongbeom Jeong;Maengsik Choi;Chunghee Lee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3.10a
    • /
    • pp.14-18
    • /
    • 2023
  • 본 연구는 한국어 음성-텍스트 데이터에서 보편적으로 나타난 휴지의 실현 양상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데이터셋을 선별해 보편적이고 규격화된 한국어 휴지 예측을 위한 모델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전문적인 발성 훈련을 받은 성우 등의 발화가 녹음된 음성-텍스트 데이터셋을 수집하고 MFA와 같은 음소 정렬기를 사용해 휴지를 라벨링하는 등의 전처리를 하고, 다양한 화자의 발화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휴지를 선별해 학습데이터셋을 구축하였다. 구축된 데이터셋을 바탕으로 LLM 중 하나인 KULLM 모델을 미세 조정하고 제안한 모델의 휴지 예측 성능을 평가하였다.

  • PDF

Extracting User-Specific Advertising Keywords Based on Textual Data Mining from KakaoTalk (카카오톡에서의 텍스트 데이터 마이닝 기반의 사용자별 적합 광고 키워드 도출 )

  • Yerim Jeon;Dayeong So;Jimin Lee;Eunjin (Jinny) Jo;Jihoon M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3.05a
    • /
    • pp.368-369
    • /
    • 2023
  • 대화 데이터 기반 광고 추천은 광고 마케팅에서 고객 맞춤형 광고 제공, 마케팅 효과 극대화 등을 위한 중요한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인스턴스 메신저인 카카오톡 대화창에서 발생한 텍스트 데이터를 기반으로 대화 내용을 분석하여 대화 주제별 적절한 광고 키워드를 제안한다. 이를 위해 주제별 대화 내용을 미용, 식음료, 상거래로 세분하고 KoNLPy 의 Okt 를 이용하여 텍스트 전처리를 수행하고 키워드별로 빈도수를 뽑아 워드 클라우드를 제시한다. 또한, 잠재 디리클레 할당(Latent Dirichlet Allocation, LDA)을 기반으로 대화 주제를 세분화한 뒤 라벨링을 통해 주제별 대화 키워드를 분석한다. 실험 결과, 대화 주제를 온라인 쇼핑, 헤어, 뷰티 관리, 음식으로 나눌 수 있었으며, 토픽별 상위 키워드를 Word2Vec 을 통해 특정 단어와 유사한 키워드를 도출하여 적절한 광고 키워드를 제시할 수 있었다.

Empirical Study for Automatic Evaluation of Abstractive Summarization by Error-Types (오류 유형에 따른 생성요약 모델의 본문-요약문 간 요약 성능평가 비교)

  • Seungsoo Lee;Sangwoo Kang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34 no.3
    • /
    • pp.197-226
    • /
    • 2023
  • Generative Text Summarization is one of the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asks. It generates a short abbreviated summary while preserving the content of the long text. ROUGE is a widely used lexical-overlap based metric for text summarization models in generative summarization benchmarks. Although it shows very high performance, the studies report that 30% of the generated summary and the text are still inconsistent. This paper proposes a methodology for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the summary model without using the correct summary. AggreFACT is a human-annotated dataset that classifies the types of errors in neural text summarization models. Among all the test candidates, the two cases, generation summary, and when errors occurred throughout the summary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results. We observed that the proposed evaluation score showed a high correlation with models finetuned with BART and PEGASUS, which is pretrained with a large-scale Transformer structure.

Inference of Korean Public Sentiment from Online News (온라인 뉴스에 대한 한국 대중의 감정 예측)

  • Matteson, Andrew Stuart;Choi, Soon-Young;Lim, Heui-Seok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9 no.7
    • /
    • pp.25-31
    • /
    • 2018
  • Online news has replaced the traditional newspaper and has brought about a profound transformation in the way we access and share information. News websites have had the ability for users to post comments for quite some time, and some have also begun to crowdsource reactions to news articles. The field of sentiment analysis seeks to computationally model the emotions and reactions experienced when presented with text. In this work, we analyze more than 100,000 news articles over ten categories with five user-generated emotional annotations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se reactions have a mathematical correlation to the news body text and propose a simple sentiment analysis algorithm that requires minimal preprocessing and no machine learning. We show that it is effective even for a morphologically complex language like Korean.

Analysis Method of User Review using Open Data (오픈 데이터를 이용한 사용자 리뷰 분석 방법)

  • Choi, Taeho;Hwang, Mansoo;Kim, Neunghoe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22 no.6
    • /
    • pp.185-190
    • /
    • 2022
  • Open data has a lot of economic value. Not only Korea, but many other countries are doing their best to make various policies and efforts to expand and utilize open data. However, although Korea has a large amount of data, the data is not utilized effectively. Thus, attempts to utilize those data should be made in various industries. In particular, in the fashion industry, exchange and refund problems are the most common due to unpredictable consumers. Better feedback is necessary for service providers to solve this problem. We want to solve it by showing improved images of dissatisfactions along with user reviews including consumer needs. In this paper, user reviews are analyzed on online shopping mall websites to identify consumer needs, and product attributes are defined by utilizing the attributes of K-fashion data. The users' request is defined as a dissatisfaction attribute, and labeling data with the corresponding attribute is searched. The users' request is provided to the service provider in forms of text data or attributes, as well as an image to help improve the product.

Analysis of deep learning-based deep clustering method (딥러닝 기반의 딥 클러스터링 방법에 대한 분석)

  • Hyun Kwon;Jun Lee
    • Convergence Security Journal
    • /
    • v.23 no.4
    • /
    • pp.61-70
    • /
    • 2023
  • Clustering is an unsupervised learning method that involves grouping data based on features such as distance metrics, using data without known labels or ground truth values. This method has the advantage of being applicable to various types of data, including images, text, and audio, without the need for labeling. Traditional clustering techniques involve applying dimensionality reduction methods or extracting specific features to perform clustering. However, with the advancement of deep learning models, research on deep clustering techniques using techniques such as autoencoders and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 which represent input data as latent vectors, has emerged. In this study, we propose a deep clustering technique based on deep learning. In this approach, we use an autoencoder to transform the input data into latent vectors, and then construct a vector space according to the cluster structure and perform k-means clustering. We conducted experiments using the MNIST and Fashion-MNIST datasets in the PyTorch machine learning library as the experimental environment. The model used is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based autoencoder model.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an accuracy of 89.42% for MNIST and 56.64% for Fashion-MNIST when k is set to 10.

VRML Model Retrieval System Based on XML (XML 기반 VRML 모델 검색 시스템)

  • Im, Min-San;Gwun, O-Bong;Song, Ju-Wh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7a
    • /
    • pp.709-711
    • /
    • 2005
  • 컴퓨터 그래픽스 분야의 발전으로 3D 모델의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있다. 기존의 텍스트나 2D 이미지만을 검색하는 시스템으로는 정확한 3D 모델의 검색이 힘들다. 따라서 3D 모델 검색 시스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많은 분야에서 그 정확도와 속도향상을 위한 3D 모델 검색 연산자(Descriptor)와 검색 알고리즘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본 논문에서는 VRML 모델을 XML 데이터로 변환하여 3D 모델 검색에 사용하는 것이 주요 목표이다. 검색 방법은 크게 VRML의 노드 분류화를 통한 기본 도형에 대한 검색과 XML로 변환하면서 생성하는 무게중심(Mass-Center)을 이용한 검색 두 가지이다. 즉, 3D 모델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으로써 VRML 노드를 통한 분류화와 라벨화된 3D 모델 데이터베이스 지원 등의 장점을 활용한다. 3D 모델을 Key값(Descriptor)을 생성하여 분류화된 XML 데이터로 저장하고, 처리하여 유사도 비교의 대상과 횟수가 많아질수록, 3D 모델을 바로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에 사용할 수 있어 검색의 속도와 성능을 보다 증가시킬 수 있다. 보다 복잡한 3D 모델의 유사도 비교에 있어서는 Princeton Shape Benchmark(PSB)[1]에서 정확도가 가장 높게 평가된 방법인 LFD(Light Field Descriptor)[6] 검색 연산자를 사용한다. 이 방법은 3D 모델에서 2D 이미지를 얻어 검색하는 방법으로 많은 2D 이미지 관측점(View-Point)과 관측된 2D 이미지의 적합도를 비교하는 계산량이 많은 단점이 있다. 그래서 3D 모델 검색을 위한 2D 이미지 관측에 있어 x, y, z축 방향의 관측점을 얻는 방법을 제안함으로써 2D 이미지의 관측점을 줄여 계산량을 대폭 감소시키는 장점을 갖는다.것으로 조사되었으며 40대 이상의 연령층은 점심비용으로 더 많은 지출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끼니별 한식에 대한 선호도는 아침식사의 경우가 가장 높았으며, 이는 40대와 50대에서 높게 나타났다. 점심 식사로 가장 선호되는 음식은 중식, 일식이었으며 저녁 식사에서 가장 선호되는 메뉴는 전 연령층에서 일식, 분식류 이었으며, 한식에 대한 선택 정도는 전 연령층에서 매우 낮게 나타났다. 5) 각 연령층에서 선호하는 한식에 대한 조사에서는 된장찌개가 전 연령층에서 가장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었고, 김치는 40대 이상의 선호도가 30대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흥미롭게도 30세 이하의 선호도는 30대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 외에도 떡과 죽에 대한 선호도는 전 연령층에서 낮게 조사되었다. 장아찌류의 선호도는 전 연령대에서 낮았으며 특히 30세 이하에서 매우 낮게 조사되었다. 한식의 맛에 대한 만족도 조사에서는 연령이 올라갈수록 한식의 맛에 대한 만족도는 낮아지고 있었으나, 한식의 맛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양과 가격에 대한 만족도는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전반적으로 한식에 대한 선호도는 식사 때와 식사 목적에 따라 연령대 별로 다르게 나타나고 있으나, 선호도는 성별이나 세대에 관계없이 폭 넓은 선호도를 반영하고 있으며, 이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 등에서도 나타난바 같다. 주 5일 근무제의 확산과 초 중 고생들의 토요일 휴무와 더불어 여행과 엔터테인먼트산업은 더욱 더 발전을 거듭하고 있으며, 외식은 여행과 여가 활동의 필수적인 요소로써 그 역할을 일조하고 있다. 이와 같은 여가시간의 증가는 독신자들에게는 좀더 많은 여유시간을 가족을 이루고 있는 가족구성원들에게는 가족과의 유대를 강화하는 휴식과 오락의 소비 트렌드를 창출시켰다. 이와 더불어 외식은 식사를 해결하기 위한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