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라니냐

Search Result 73,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Analysis of El Nino/ La Nina Impact on Korean Water Resources Using El Nino/ La Nina Influence Index (엘리뇨/라니냐 영향 지수 기법의 개발 및 한반도 수자원에의 영향분석)

  • Sin, Hyeon-Seok;Jeong, Sang-Ma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3 no.S1
    • /
    • pp.327-332
    • /
    • 2000
  • 최근 세계 각지에서는 엘리뇨 및 라니냐에 의한 기상변동에 의하여 막대한 인적, 경제적인 직간접적인 피해를 경험하여 왔다. 우리 나라의 기상에도 엘리뇨/라니냐의 영향이 시공간적으로 유의함이 최근 밝혀지고 있으며, 그에 따르는 엘리뇨/라니냐에 의한 영향의 정량적인 고려가 전국적인 수자원 장기 정책 및 관리에 필요함이 인식되어 왔다. 기상 이변 형상은 이미 실존의 현실이며, 이 중 엘리뇨/라니냐의 영향 또한 그러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21세기는 물부족 및 물에 의한 재해의 가능성이 점차 증가될 것이라는 막연한 추측속에서 우리는 살고 있으나 실제적인 대책 및 연구에의 투자는 인색한 형편이다. 막상 닥쳤을 때만의, 당장의 아우성보다는 기초적인 바탕에서부터의 성실하고 결실을 맺을 수 있는 지속적인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미래는 현재의 연속이기 때문이다. 또한, 이의 연구는 기상, 수문, 수자원, 농업, 경제를 비롯한 여러 분야에서 다각적이고 연계적으로 이루어져야지 일방의 짧은 지식만으로 이루어 질 수는 없다. 본 연구에서는 엘리뇨/라니냐 영향 지수 산정 기법을 개발하고, 이를 이용하여 우리 나라에의 수자원에의 영향을 시공간적으로 정의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엘리뇨/라니냐 영향을 정의하기 위한 기법은 물리적인 기법과 통계적인 기법으로 크게 나뉠 수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간략한 통게적인 기법을 이용하여 지수를 개발하였다. 이 지수는 엘리뇨/라니냐의 발생 강도뿐만 아니라 빈도를 동시에 고려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개발된 엘리뇨/라니냐의 영향 지수를 우선 우리나라 전역의 강수 기상 관측망 자료에 적용하였으며, 산정된 지수들을 공간적으로 Kriging 기법을 사용하여 공간 분포도(영향 지수도)를 작성하여 지역적인 영향 정도를 가시적으로 정의하였다.

  • PDF

Relationship between El Ni$\tilde{n}$o.La Ni$\tilde{n}$a Events and Typhoon (엘니뇨.라니냐 현상과 태풍과의 관계)

  • Seol, Do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06a
    • /
    • pp.232-233
    • /
    • 2011
  • 이 연구에서는 최근 25년간(1986-2010년)의 우리나라 기상청 및 일본 기상청 자료를 사용하여 엘니뇨 라니냐 현상과 태풍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여기서는 엘니뇨감시해역의 해면수온의 기준치와의 차의 5개월 이동평균치가 6개월 이상 계속하여 $+0.5^{\circ}C$ 이상 이 된 경우를 엘니뇨현상, $-0.5^{\circ}C$ 이하가 된 경우를 라니냐현상이라고 정의한다. 그리고 엘니뇨 발생년은 엘니뇨현상이 시작된 해부터 종료된 해까지를, 라니냐 발생년은 라니냐현상이 시작된 해부터 종료된 해까지로 정의한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 기간에 대한 태풍의 연평균 발생 수는 25.4개이다. 이는 60년간(1951-2010년)의 연평균 태풍 발생 수 26.3개보다 약 1개 적은 결과로 최근 지구온난화와 관련하여 태풍의 발생 수가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는 연구 결과를 뒷받침한다. 엘니뇨 발생년의 연평균 태풍 발생 수는 23.9개이고, 라니냐 발생년의 그것은 24.9개이다. 적도 부근 서부 태평양의 따뜻한 물이 동쪽으로 이동하여 동부 태평양의 해면수온이 평년 이상으로 높아지는 엘니뇨 발생년에 태풍의 발생 수가 감소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태풍의 세기를 나타내는 평균 중심최저기압과 평균 최대풍속은 엘니뇨 발생년에 959.3hPa과 35.8m/s, 라니냐 발생년에 965.5hPa과 33.7m/s 그리고 25년 전 기간에 대하여는 962.3hPa과 35.0m/s이었다. 엘니뇨 발생년의 태풍의 세기가 라니냐 발생년의 태풍의 세기보다 강함을 알 수 있다.

  • PDF

Relationships of El Ni o and La Ni a with both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in South Korea (엘니뇨 및 라니냐와 한국의 기온 및 강수량 관계)

  • Lee, Dong-Ryul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1 no.6
    • /
    • pp.807-819
    • /
    • 1998
  • The relationships of El Nino and La Nina with both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in South Korea is studied. Monthly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are analyzed using harmonic analysis to identify region, magnitude and season that have responses associated with El Nino and La Nina. The first harmonic is extracted from a 24 month El Nino and La Nina composite at each station. The regions are identified by the similarity in the phase of the harmonic vectors. The responses of precipitation to El Nino and La Nina are found in the all regions. However, the response of precipitation to El Nino and La Nina is identified only in the southern region. In addition, statistical significance for response periods is investigated through cross correlation analysis. Once an El Nino and a La Nina event set i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can provide an efficient information for the management of water resources, agriculture and environment.

  • PDF

Relationship between El Ni$\tilde{n}$o.La Ni$\tilde{n}$a Events and Typhoon - Focused on Typhoon Intensity - (엘니뇨.라니냐 현상과 태풍과의 관계 - 태풍 세기를 중심으로 -)

  • Seol, Do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11a
    • /
    • pp.150-151
    • /
    • 2011
  • 최근 25년간(1986-2010년)의 우리나라 기상청 및 일본 기상청 자료를 사용하여 엘니뇨 라니냐 현상과 태풍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특히, 이번 연구에서는 태풍의 세기에 주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태풍의 세기를 나타내는 평균 중심최저기압과 평균 최대풍속은 엘니뇨 발생년에 959.3hPa과 35.8m/s, 라니냐 발생년에 965.5hPa과 33.7m/s 그리고 25년 전 기간에 대하여는 962.3hPa과 35.0m/s이었다. 즉, 엘니뇨 발생년의 태풍의 세기가 라니냐 발생년의 태풍의 세기보다 강함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평균 중심최저기압은 약 6hPa 낮고, 평균 최대풍속은 2.1m/s 강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태풍의 발생 해역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다. 즉, 엘니뇨 발생년에 태풍은 동경 150도 이동 해역과 북위 10도 이남 해역에서 상대적으로 더 많이 발생하고, 라니냐 발생년의 태풍은 동경 150도 이서 해역과 북위 20도 이북 해역에서 더 많이 발생한다. 동경 150도 이동 해역과 북위 10도 이남 해역에서 발생한 태풍은 북태평양의 광범위한 고수온역을 보다 장시간 이동하게 되므로 더 강하게 발달할 수 있다.

  • PDF

A Study of Relation of Winter Climate between El-Nino.La-Nina and Sea Surface Temperature in Korea (한국의 겨울 기후 및 해수 온도에 미치는 엘리뇨와 라니냐의 영향)

  • Bak, Byeong-Su;Min, Woo-Ki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5 no.2
    • /
    • pp.143-153
    • /
    • 1999
  • This study is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El-Nino and La-Nina and Korea's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in summer and winter, and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are as follows: (1) The extraction of the occurrences of El-Nino reveals are 5, but La-Nina reveals 6 years. (2) The tendency of change of sea surface temperature around NINO.3 and that of or country are about the same, but the anomaly of Janggi and Pusan was much greater than that of Inchon. (3) The anomaly of sea surface temperature around NINO.3 and that of the temperature showed the similar changing tendency, the temperature of Korea has something to do with that of NINO.3sea surface temperature as the correlation of ground temperature with the temperature of sea surface showed 0.06. Anomaly warm winter has something to do with El-Nino because the temperature of our country was high when El-Nino phenomena appeared. But the precipitation over our country is not significant for La-Nina. (4) Temperature in El-Nino year is lower than normal in summer and higher than normal in winter. But precipitation is more in summer and winter of El-Nino year, but it is not significant of La-Nina year.

  • PDF

Relationship between Typhoon and El Niño·La Niña Events (태풍과 엘니뇨·라니냐 현상과의 관계)

  • Seol, Dong-Il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37 no.6
    • /
    • pp.611-616
    • /
    • 2013
  • This paper studies relationship between typhoon and El Ni$\tilde{n}$o La Ni$\tilde{n}$a events by using 25 years meteorological data of KMA and JMA. The results are listed below. Annual mean number of typhoon's occurrence in El Ni$\tilde{n}$o event year is 23.9, and that in La Ni$\tilde{n}$a event year is 24.9. The number of typhoon's occurrence decreases in El Ni$\tilde{n}$o event year. Mean central minimum pressure and mean maximum wind speed in El Ni$\tilde{n}$o event year are 959.3hPa and 35.8m/s, and those in La Ni$\tilde{n}$a event year are 965.5hPa and 33.7m/s respectively. Intension of typhoon is stronger in El Ni$\tilde{n}$o event year than La Ni$\tilde{n}$a event year. To be more specific mean central minimum pressure is lower 6.2hPa and mean maximum wind speed is stronger 2.1m/s. This result is closely connected with sea area of typhoon's occurrence. Typhoons in El Ni$\tilde{n}$o event year are more likely to occur in east of 150E and south of 10N, but those in La Ni$\tilde{n}$a event year are more likely to occur in 120-150E and north of 20N. Typhoons which occur in east of 150E and south of 10N can be stronger because the typhoons move in broad sea area of high sea surface temperature in western North Pacific.

Analytic Study on the Variation of Regional Wind Resources Associated with the Change of El Niño/La Niña Intensity (엘니뇨/라니냐 강도 변화에 따른 국지적 풍력자원의 변동)

  • Lee, Soon-Hwan;Lee, Hwa-Woon;Kim, Dong-Hyuk;Kim, Min-Jung;Kim, Hyun-Goo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32 no.2
    • /
    • pp.180-189
    • /
    • 2011
  • In order to clarify the relation between El Ni$\tilde{n}$o/La Ni$\tilde{n}$a and wind resources of the Korean Peninsula, observed meteorological data for 20 years were used in this study. Although the wind speed tends to decrease in Eurasia Continent, it gradually increases in the peninsula for 10 years. The seasonal variation of wind speed due to El Ni$\tilde{n}$o/La Ni$\tilde{n}$a development is not so small and negative anomalies of SST tend to lead the beginning of the wind speed increase over the Korean Peninsula. Wind speed variation caused by the global scale meteorological phenomena is more sensitive in mountainous area than in any other areas because of the relatively weak mesoscale forcing at mountainous a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