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따개비

Search Result 49,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Effect of Heavy Metals on Larvae of Barnacle, Balanus albicostatus (생태독성 검정을 위 한 고랑따개비 (Balanus albicostatus) 초기유생의 중금속에 대한 민감도 분석)

  • Sung, Chan-Gyoung;Choi, Mi-Sun;Chun, Ho-Hwan;Lee, In-Won;Park, Hyun;Lee, Chang-Hoon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v.23 no.4
    • /
    • pp.337-343
    • /
    • 2008
  • 따개비류는 암반기질에 무리를 이루어 비교적 단단히 부착생활을 하며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는 생물이다. 본 생물은 형태가 다른 두 단계의 플랑크톤 유생시기를 거쳐 기질에 부착하여 생활한다. 따개비류에 관한 국내연구는 순수 분류학적으로 몇 편의 연구가 이루어졌을 뿐이며 실험실 내 사육조건 및 유생의 민감도 등에 관한 연구는 제대로 수행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첫 번째 단계 유생을 대상으로 몇몇 중금속(Cd, Cr, Cu 그리고 Zn)에 대한 민감도를 조사하였고 타 연구결과와의 비교로 생태 독성학적 적용을 시도하였다. 네 가지 금속물질, 카드뮴, 크롬, 구리 그리고 아연에 대한 따개비 유생의 반수사망농도는 각각 0.43, 24.4, 0.22 그리고 1.74mg/L로 산정되었다. 외국의 생물검정용 따개비와 본 연구에 사용된 고랑따개비의 민감도는 아주 유사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국내산 고랑따개비의 유생은 해양 환경 평가에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해양생물과 동반 검정의 수행에 자격을 갖추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해양환경의 평가는 물론 방오물질개발 등에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Larval Development of Chirona cristatus(Cirripedia, Thoracica) Reared in the Laboratory (하구별따개비(만각아강, 완흉상목)의 유생 발생)

  • Lee, Chu;Shim, Jeong-Min;Jeong, Mi-Kyung;Kim, Chang-Hyun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v.18 no.1
    • /
    • pp.35-48
    • /
    • 2002
  • Larval development of Chirona cristatus Ren and Riu, 1978, found in the low part of rocks in the intertidal clone or the shell of scallops, was described in detail and compared with those of other known barnacles. Durations from nauplius through cyprid to pinhead stage are three weeks at 20$\pm$0.5$^{\circ}C$. Trilobed labrum bearing three groups of slender hairs and frontolateral horns folded under the anterior cephalic shield margin are diagnostic features through all nauplius stages. The posterior border of the cephalic shield bears a pair of cephalic shield spines in nauplius stages IV,V and Ⅵ. There is no specific hispid sets at the fourth group of the antennal endpodite. The dorsal thoracic spine, abdominal process and posterior shield spine haute numerous small spines Morphological features such as the cephalic shield, labrum, abdominal process, antennules, antennae and mandibles in all nauplius and cyprid stages are illustrated and described. The numerical setations of antennule in this species are found to be practically helpful for intraspecific identification of barnacle nauplius stages without dissection.

1979年産 韓國動物學會 秋季學術大會 發表論文要旨錄: 한국산 따개비류(Cirripedia, Thoraciea, Balanomorpha)에 관한 분류학적 연구

  • 김훈수;김일희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v.23 no.1
    • /
    • pp.49-60
    • /
    • 1980
  • 저자들은 1963년~1978년 사이에 남한의 38개 지점으로부터 채집된 따개비류를 관찰한 결과, 이 중에서 15종 2 아종이 동정 분류되었으며 아래의 7종 2아종은 한국 미기록이므로 이를 기재하여 발표하고저 한다. Octomeris sulcata, Chthamalus challengeri, Chelonibia patula, Chirona (Striatobalanus) amaryllis, Solidobalanus (Hesperibalanus) hesperius hesperius, Balanus reticulatus, Btrigonus, Megabalanus rosa, M. volcano.

  • PDF

A New Species of Memebranobalanus (Crustaces, Cirripedia) from the Korean Waters (Membranobalanus 屬의 따개비 (甲殼綱, 蔓脚亞綱) 一新種)

  • Kim, Hoon-Soo;Kim, Il-Hoi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v.26 no.1
    • /
    • pp.41-47
    • /
    • 1983
  • 南海의 蓮花島와 東海의 安仁津에서 採集된 海綿, Cliona celata Grant에 묻혀사는 따개비 一新種을 發見하여, 이를 Membranobalanus koreanus로 命名, 記載한다. 이 種은 四大四洋産, M. declivis Darwin 및 東太平洋産, M. orcutti Pilsbry와 形態的으로 類似한 點이 있으나 殼板과 덮개가 特徵的이다.

  • PDF

Trace (Minor) Elemental and Isotopic Compositions of Calcitic Skeletons in the Eastern Coast and Cheju Island, Korea (한반도 동해안과 제주도 연안에서 발견되는 방해석질 각질의 미량원소, 부원소 및 탄소와 산소 동위원소 함량의 변화)

  • Ji, Ok-Mi;Woo, Kyung-Sik
    • The Sea: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v.3 no.3
    • /
    • pp.124-141
    • /
    • 1998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trace (minor) elemental and isotopic compositions of calcitic skeletons, such as barnacle, echinoid, branching and encrusting calcareous algae and oyster, from the eastern coast of Korean peninsula and Cheju Island, and to compare their variations with latitude, that is, the temperature of ambient seawater at which the skeletons grew. Articulated and encrusting red algae are composed of high-Mg calcite (7-21 mol% $MgCO_3$). Echinoids are also composed of high-Mg calcite (7-15 mol% $MgCO_3$). Whereas barnacles are composed of low-Mg calcite (1-5 mol% $MgCO_3$). The Mg compositions of articulated red algae, barnacle and oyster tend to increase with increasing water temperature, whereas those of encrusting red algae and echinoid do not show any trend. Sr compositions of articulated red algae, echinoid and barnacle tend to decrease with increasing water temperature, whereas those of encrusting red algae and oyster do not show any trend. Mn compositions of articulated red algae and encrusting red algae decrease with an increase of water temperature, whereas those of echinoid and barnacle do not show any trend. Fe compositions of articulated red algae tend to decrease with increasing water temperature, whereas those of encrusting red algae and oyster increase. Fe compositions of echinoid and barnacle do not show any trend with water temperature variations. Ba compositions of echinoid and low-magnesium calcitic skeletons do not show any trend with water temperature variations. Ba compositions of articulated red algae tend to decrease with increasing water temperature, whereas those of encrusting red algae increase. Cd and Pb compositions of all the skeletons tend to increase with increasing water temperature. Cu compositions of encrusting red algae increase with increasing water temperature, whereas articulated red algae, echinoid, barnacle and oyster do not show any trend. Zn compositions of high-magnesium calcitic skeletons and low-magnesium calcitic skeletons do not show any trend. Estimated water temperatures from oxygen isotopic data of all the skeletons except for the barnacle arc higher than the range of temperature of the shallow seawater of the East Sea and around Cheju Island. The oxygen isotopic compositions of oyster and echinoid are well clustered, and they do not show any trend with increasing water temperature. Therefore, this could reflect that the organisms have not secreted their shells in oxygen isotopic equilibrium with ambient seawater due to vital effect. Thus, the oxygen isotopic composition of barnacle can potentially be utilized for paleotemperature estimate whereas those of other organisms in this study may not be useful.

  • PDF

Antimicrobial- and Anticarcinogenic Activities of Amphitrite albicostatu Fractions (따개비 분획물의 항균 및 항암 효과)

  • Shin, Hye-Jung;Shin, Mi-Ok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20 no.10
    • /
    • pp.1505-1510
    • /
    • 2010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antimicrobial- and anticarcinogenic activities of Amphitrite albicostatu (AA) fractions. AA was extracted with methanol first and then further fractionated into four different types: hexane (AAMH)-, methanol (AAMM)-, buthanol (AAMB)- and aqueous (AAMA) partition layers. In the paper disk test,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AA fractions increased in proportion to concentration. Among the various solvent fractions, only AAMB showed antimicrobial activity. We also determined the growth inhibition and quinone reductase (QR) induced effects of AA fractions on cancer cells. The growth inhibition effects of AA fractions on HepG2 and B16F10 cells were evaluated by MTT assay. AAMM showed the strongest growth inhibition effects on HepG2 and B16F10 cells. The quinine reductase (QR) induced effects of AAMM on HepG2 cells at 100 ug/ml concentration indicated it to be 2.04 times higher than the control values of 1.0. Although further studies are needed, the present work suggests that Amphitrite albicostatu (AA) could have a potential use as a food preservative and chemopreventive agent.

광양만의 환경오염과 해조군집 변화 연구

  • 김정하;박성우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Biology Conference
    • /
    • 2002.11a
    • /
    • pp.72-80
    • /
    • 2002
  • 광양만 지역 수직군집구조는 최상부는 해조류가 거의 분포하지 않으며, 상층 하부부터 Ulva spp.가 우점하고 있으며, 저서동물은 최상부지역에는 따개비류가 우점하며, 하부로 갈수록 Oysters가 우점하였다. 그리고 층별군집구조는 상층부는 Biofilm이, 중ㆍ하층부는 Ulva spp.가 우점하며, 하층부로 갈수록 Turf algae의 밀도가 높다. 따개비류는 상층부와 중층부에서 우점하고 있으며, 중하층부로 갈수록 Oysters가 우점하며 총알고동은 상층부에서 중하부에서는 삿갓조개류의 밀도가 높았다. 남해 서상지역의 수직군집구조는 8월 조사결과 상부는 Brown crustose algae가 중부부터는 지층이, Ulva spp. 등이 하부에서는 유절산호조류, 개서실 등이 우점하였으며, 10월 조사에서 상부에는 해조류가 거의 발견되지 않았으며, 중부이하에서 지층이, 개서실, 유절산호조류 등이 하부에는 가시명불 등이 우점하였다. 저서동물은 말미잘, 삿갓조개류, 고둥류 등이 높이와 관계없이 균일한 밀도를 보였다. 그리고 층별군집구조는 상층부는 지층이, 무절산호조류 등이, 중층부는 개서실, ULva spp. 유절산호조류, 지층이 등이, 하층부는 개서실, 유절산호조류, 가실덤불 등이 우점하였다. 저서동물은 전층에서 따개비류, 말미잘 등이 우점하였다. 상주지역의 수직군집구조는 상부는 해조류가 거의 대부분 분포하지 않으며, 중부는 Biofilm, 우뭇가사리가, 하부에서는 지충이, 패, Brown crustose algae, 무절산호조류, 톳 등이 밀도가 높게 나타났다. 저서동물은 상부에는 총알고둥과 따개비류, 중ㆍ하부는 삿갓조개류, 말미잘이 우점하였다. 그리고 수평군집구조는 Biofilm이 상층부의 일부 지역에서 조사되었으며, 중층부는 Biofilm, Brown crustose algae, 무절산호조류, 패, 지층이 등이 우점하며, 하부는 지충이, 톳, 유절산호조류, 무절산호조류, Brown crustose algae 등이 우점하였다. 저서동물은 상층부는 총알고둥이 중층부는 삿갓조개류, 말미잘, 군부, 해면류가 하층부는 해면류, 삿갓조개류, 말미잘 등이 우점하였다.

  • PDF

Invasion of Foreign Barnacles into Korea Waters (외국산 따개비류의 한국내 침입)

  • 김일희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v.8 no.2
    • /
    • pp.163-176
    • /
    • 1992
  • Three species of foreign barnacles were found to invade into Korean interitidal seashores: Balanus amphitrite, B. ebumeus and B. improvisus. The southeastern coast of Korea, near Pusan, is the area where all the specimens of three species were discovered and the populations of these species were well establishe. B. amphitrite is the earliest invader(probably invaded around early 1970's) and most widely distributed in Korea. It is now distributed all around Korea, except the Yellow Sea coast, north of Mokpo. B. improvisus has been successful to expand its reange to the northern part of Korean coast of the East Sea, whereas B. eburneus is restricted to the southeastern coast. B. amphitrite is successfully competing with the native barnacle, B. albicostatus, and in several areas where the mixed populations of the two species occur, the latter species is found to excluded. The Yellow Sea coast has not been invaded by the foreign barnacles, the reason of which is not known.

  • PDF

Bioecological Study of the Upwelling Area Around Cheju Island - Community structure of the Benthic Macroinvertebrates at the Rocky Intertidal Zone of Chagwi-do, Cheju Island - (제주도 주변 요승역의 생물생태학적 기초연구 - 차귀도 조간대에 분포하는 대형저서무척추동물의 군집구조 -)

  • 이정재;현재민;김종철
    •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 /
    • v.11 no.1
    • /
    • pp.1-20
    • /
    • 1995
  • 1993년 7월부터 1994년 5월까지 제주도 차귀도 4개 지점 조간대의 대형저서무척추동물의 분포와 군집구조에 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차귀도 조간대에 분포하는 대형무척추동물은 총 9문, 17강, 35목, 75과, 146종이었다.2. 계절별 출현종수는 춘계에 124종, 하계 113종, 추계 99종, 동계에 86종이었다.3. 조간대 상부구역의 제1우점종은 좁쌀무늬총알고둥(N. exigua), 제2우점은 거북선(P. mitalla). (N.japonica),울타리고둥(M. labio), 중부구역은 배무래기(N. schrenkii), 밤고둥(C. argyrostoma lischkei), 울타리고둥, 깜장각시고둥(M. perplexa), 검은따개비(T. squamosa japonica)가 지점에 따라 제1, 제2우점종을 이루었다. 하부구역은 밤고둥, 검은따개비, 줄군부 (L. coreanica), 거북손, 굵은줄격판담치(S. virgatus)가 지점에 따라 우점하였으며, 상부구역 우점종의 군집우점지수는 매우 높았다.4. 조간대 하부구역의 종다양성은 상부구역이나 중부구역에 비하여 컸고 계절별 출현종수에 유의성이 있었으나 상부구역이나 중부구역에는 없었다.5. 종다양도지수와 균등도에는 상. 중. 하 구역별유의성은 없었고 풍부도에서는 상부구역에서 유의하였다.6. 제주 미기록종으로 부채넓적이끼벌레(D. su-bovoidea), 딱지조개(P. japonica), 목주림고둥(T. guerinii), 전촉수갯지렁이(A. validus), 바다거미(L. hilgendorfi)가 채집되었다.

  • PDF

해양플렌트를 위한 4륜구동 청소 로봇 시스템 개발

  • Kim, Min;Choi, Myoung-Hoon;Jeong, Jae-Hoon;Kim, Hyun-Jo;Kang, Min-Woo;Park, Won-Hyeon;Kim, Gwan-Hyung;Byun, Gi-S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4.05a
    • /
    • pp.919-920
    • /
    • 2014
  • 따개비(barnacle)는 선저부에 붙어서 번식하며 딱딱한 석회질 껍데기로 덮여있다. 이로 인하여 선박의 속도를 저하시키고 도료기능을 상실시키는 주요인이 된다. 이를 제거하기 위해 작업자가 직접 액체를 분사하고 브러쉬로 세척해야 한다는 불편함과 위험에 노출되기 때문에 선박작업용 로봇이나 기계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현재 연구 중이거나 개발이 완료된 것 중에는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 휠을 사용하거나 공압을 이용하여 수직벽면에서 작업을 한다. 특히 공압 방식을 많이 사용하였는데 수직벽면에 로봇이 밀착될 만큼 강한 공압이 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부가적인 장치가 많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부가적인 장치를 최소화하고 효과적인 동작을 하기위해 전자석 방식을 선택 하였으며 간편하게 선박의 수직벽면을 작업할 수 있는 전자석 방식의 4륜 로봇을 개발하고자 한다. 선박의 수직벽면 작업용 4륜구동 로봇을 전자석을 이용하여 수직벽면에 부착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으며 자력의 세기와 방향을 제어하여 로봇이 선박의 수직면에 밀착되어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하도록 개발 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