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디퓨져형태

Search Result 4,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Improvement of Starting Performance in Supersonic Exhaust Diffuser with Second Throat for High Altitude Simulation (2차목에 의한 고고도 모사용 초음속 디퓨져 시동성능 향상)

  • Park, Sung-Hyun;Park, Byung-Hoon;Lim, Ji-Hwan;Yoon, Woong-Sup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8.05a
    • /
    • pp.321-327
    • /
    • 2008
  •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the axi-symmetric supersonic exhaust diffuser (SED) with a second throat are numerically investigated. Computational strategy repeats those for a straight exhaust diffuser with zero-secondary flows. Renolds-Average Navier-Stokes equations with a standard ${\kappa}-{\varepsilon}$ turbulence model incorporated with standard wall function are solved to simulate the diffusing evolutions of the nozzle plume. The methodology is validated with accuracy. To predict the improvement of starting performance by second throat diffuser, diffuser characteristic curve due to the SED equipped with the second throat is speculated with respect to that of a straight area type as a function of nozzle stagnation pressure. Principal physics caused by the of the second throst is also addressed in terms of a second throat area ratio.

  • PDF

Study on Stratification according to Diffuser Shape of the Thermal Storage Tank in Integrated Energy (집단에너지 공급 축열조의 디퓨져 형태별 성층화 연구)

  • Jang, Cheol-Yong;Cho, Soo;Choi, Seok-Yong
    • 한국태양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4a
    • /
    • pp.300-303
    • /
    • 2008
  • The stratification effect was investigated with four different types of diffuser shape in a thermal storage tank. For this study, experimental facility was constructed, which was composed of experimental thermal storage tank, hot and cold water storage tanks, boiler, chiller, data acquisition system, etc.. Visualization and lab scale experimental result showed that radial curved type diffuser was the highest degree of stratification among the four diffuser shapes.

  • PDF

전북대학교 플라즈마 풍동용 0.4 MW 분절형 아크 플라즈마 발생 장치 구축

  • Lee, Mi-Yeon;Seo, Jun-Ho;Kim, Jeong-Su;Choe, Chae-Hong;Kim, Min-Ho;Hong, Bong-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2.02a
    • /
    • pp.539-539
    • /
    • 2012
  • 전북대학교 고온플라즈마 응용연구센터는 교육과학기술부 기초연구사업 중 고가연구장비 구축사업의 일환으로, 고 엔탈피, 초음속 유동 환경을 모사하여, 항공우주, 군사기기, 핵융합 분야 등의 고온 재료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장치로써, 0.4MW급 플라즈마 풍동 장치를 구축하고 있다. 0.4MW 플라즈마 풍동 장치의 플라즈마 발생부는 DC 전원 공급장치와 디스크 형태의 양극과 음극 사이에 동일 형태의 간극을 삽입한 0.4MW급 분절형 아크 플라즈마 토치로 구성되었으며, 토치에서 발생된 아크 플라즈마는 노즐을 통과하며 마하 2~4의 초음속을 나타내도록 설계 제작되었다. 시험 챔버는 노즐에서 나온 초음속 플라즈마의 특성 및 재료 시험을 위한 3차원 이송식 기판이 장착되어 있으며, 고 엔탈피 유동을 관측하기 위한 광학창을 구비하였다. 시험 챔버 하류에는 유동 안정을 위한 디퓨저(diffuser)가 설치되어 있으며, 디퓨저(diffuser)로부터 배출되는 고온가스는 열교환기를 통해 냉각된 후 진공펌프를 통해 대기로 배출되게 된다. 장치의 압력조절을 위하여 $1,000m^3/min$의 용량의 진공펌프 시스템이 설치될 예정이며 가스공급장치, 냉각수 공급장치, 디퓨져, 열교환기는 1MW급 용량으로 설계 제작되었다. 본 장치는 400kW의 전원 공급, 15 g/s의 공기유량 주입 시 약 13 MJ/kg의 고엔탈피를 가진, mach 2~4의 초음속 유동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