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디지털 참고정보서비스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23초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디지털참고봉사에 대한 종단적 분석 (Analysis of the Digital Reference Services in Korean Public Libraries : A Longitudinal Study)

  • 장혜란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05-122
    • /
    • 2007
  • 공공도서관에서 제공하고 있는 디지털참고봉사의 현황과 발전을 이해하기 위하여, 전국의 공공도서관 홈페이지를 직접 접속하여 관찰하고 이용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하였으며, 2003년에 수집하였던 데이터와 비교하였다. 모두 404개의 디지털참고봉사사이트에 대하여, 접근수준, 서비스방식, 링크명칭, 서비스정책, 웹폼, FAQ 등 서비스 제공 관련 특성을 분석한 후, 15일간 수행된 질문응답 데이터를 수집하여 이용도서관, 이용수준, 응답비율, 질문유형 등 서비스 성능을 분석하였다. 서비스 현황에 대한 이해와 문제점, 그리고 4년 동안에 걸친 변화가 식별되었으며, 향후 발전을 위한 제언이 이루어졌다.

실시간 디지털 정보서비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al Time Digital Information Service)

  • 김성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249-265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미국 도서관에서 행해지고 있는 실시간 정보서비스를 소개하고 13개 도서관을 대상으로 현황 조사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서관에서 사용된 소프트웨어로는 AOL Instant Messenger, Conference Room from WebMaster, LivePerson 등의 순이었으며 이용시간대는 주로 일반 참고봉사 업무시간과 비슷한 곳이 많았고 이용자는 주로 해당대학 및 회원기관의 학생 및 교직원, 졸업생들로 제한하고 있으며 일부 도서관에서는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가능하였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미국 의회도서관 실시간 참고서비스를 실제로 이용한 결과 즉각적인 해답을 얻을 수 있고, 사서와 인터액티브 방식으로 서비스를 하기 때문에 참고서비스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디지털참고봉사를 위한 MyLibrary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yLibrary for Digital Reference Service)

  • 김휘출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01-115
    • /
    • 2001
  • 웹을 이용한 도서관 정보서비스가 활발해지고 있다. 그러나 도서관 홈페이지에는 계속적으로 많은 콘텐츠들로 축적되기 때문에 이용자들은 효율적으로 정보를 선별하여 이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도서관에서는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각종 콘텐츠들을 개인별로 맞춤화한 서비스인 MyLibrary가 이루어지고 있다. MyLibrary는 주로 대형도서관에 적합하게 사용되고 있지만 웹페이지를 이용한 디지털참고봉사 기능을 보완할 수 있는 도구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 PDF

협동 디지털참고서비스의 질문 분석: 국립중앙 도서관의 '사서에게 물어보세요'를 중심으로 (Question Analysis of the Collaborative Digital Reference Service at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 장혜란;이경숙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7-28
    • /
    • 2014
  • 협동 디지털참고서비스의 이용자 정보요구를 파악하기 위하여, 국립중앙도서관의 '사서에게 물어보세요'에 2014년 전반기에 실제로 접수된 질문엔트리(N=661)를 대상으로, 질문의 수와 본질, 주제, 정보요구 발생정황, 이용자가 원하는 최종산물, 사서의 활동, 답변에 사용된 정보원 등을 분석하였다. 엔트리에 포함된 평균 질문 수는 1.17건이며 순수참고질문은 77.82%로 나타났다. 주제별로는 총류가 45.68%를 차지하고, 요구정황은 부과된 질문이 주를 이루었으며(84.17%), 이용자가 원하는 최종산물은 서지에(60.48%) 집중되었다. 사서의 활동은 문헌탐색(37.67%), 연구조사(19.67%), 사실탐색(18.67%) 순서이다. 답변제공에 사용된 정보원은 이차자료가 지배적이었으며(73.62%), 각종 웹사이트도 14.75%를 차지하고 있다. 부문별 세부항목별 내용을 분석하였으며, 결과에 기초하여 디지털참고서비스 진흥을 위한 도서관계의 노력을 제언하였다.

한국 도서관계의 '협력형' 디지털참고서비스(CDRS): 문제점과 개선안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CDRS in Korean Library Community)

  • 김왕종;이제환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69-91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도서관계에서 협력형 디지털참고서비스(CDRS)가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는 이유를 밝혀내어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세 가지 논점에 집중하였다. 첫째, 한국 도서관계에서 시도해온 CDRS의 현황과 실태를 조사하고 그 한계에 대해 논의하였다. 둘째, 한국 도서관계에서 CDRS가 부실한 상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이유를 개발과정, 시스템기능, 그리고 운영체계의 문제점을 통해 밝혀내었다. 마지막으로 한국 도서관계에서 CDRS를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실무적인 측면과 운영적인 측면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한편, 이 연구에서는 KISTI의 Question포인트와 국립중앙도서관의 '사서에게 물어보세요'를 사례로 하여 논점을 전개하였으며, 논의에 필요한 데이터는 문헌조사와 통계조사 그리고 기존 CDRS 시스템에 대한 유용성 테스트 등을 통해 확보하였다.

협력형 디지털 참고서비스(CDRS) 지식정보DB 내용분석 연구 (Content Analysis of Collaborative Digital Reference Service Knowledge Information Database)

  • 장수현;남영준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01-123
    • /
    • 2021
  • 본 연구는 협력형 디지털 참고서비스인 '사서에게 물어보세요'의 지식정보DB에 수록된 질문과 답변을 분석하여 이용자 요구현황을 파악해 이를 바탕으로 서비스 초창기의 정보 이용행태를 도출하였다. 지식정보DB 3,506건 중 1,124건의 DB 항목 데이터를 ① 질문의 개수와 참고 질문 여부, ② 질문의 주제와 키워드, ③ 질문의 목적, ④ 질문의 유형, ⑤ 이용자의 정보 요구, ⑥ 사서가 제공한 정보원과 참고 서비스, ⑦ 답변의 소요 일수와 상관관계, ⑧ 참여 도서관 수준, ⑨ 주제별 질문 유형, 총 9가지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이용자는 유사한 주제의 질문을 한 번에 하나씩 요청하는 것이 아닌, 필요에 따라 다양한 주제의 참고 질문을 요청하였지만, 절반 이상의 전체 순수 참고질문은 문헌정보학 분야의 질문이었다. 둘째, 약 71.35%의 이용자는 '사서에게 물어보세요' 서비스를 특정 주제나 연구 문제와 관련된 정보 자원의 목록을 추천받기 위해 이용하고 있었으며 독서상황에 대한 참고 상담을 요구하는 질문도 존재하였다. 셋째, 이용자가 가장 선호하는 정보원은 서지 및 서지사항으로 나타났으며, 온라인 정보원의 경우 이용자는 상대적으로 선호하지 않았다. 넷째, 답변의 소요 일수는 질문의 유형과 참여 도서관의 수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섯째, 총류 분야 질문의 목적을 분석한 결과 약 31.33%이 이용자 스스로가 해결 당위성을 가진 자발적 질문으로 나타났다.

공공도서관 웹사이트에 나타난 이용자들의 정보요구 분석 (Analysis of User's Information Needs in Public Libraries Based on Websites)

  • 김용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355-373
    • /
    • 2008
  • 공공도서관 이용자들의 정보요구를 파악하기 위하여 웹사이트에 제시된 요구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용자마당이라고 표시한 메뉴에서 이용자들의 정보요구를 나타내는 사항은 모두 조사하였다. 이 정보요구에는 개별도서관에서 제공하는 정보서비스에 대한 불만사항이나 건의사항으로만 제한되고 있는 약점이 있다. 데이터의 분석은 자료수집, 정보서비스, 대출, 디지털자료실, 열람실, 참고질의, 기타 등으로 구분하여 실행되었다. 이 연구결과는 개별 공공도서관의 정보서비스 개선에 도움이 될 것이며, 새로운 정보서비스를 개설할 때에도 참고가 될 것이다.

  • PDF

교육학분야 전문도서관에서 제공되는 디지털참고정보서비스에 관한 연구 - 하위주제영역별 이용자의 질문유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Digital Reference Services in an Educational Research Library: Focusing on Types of Questions Among Subareas of Education)

  • 이명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1-65
    • /
    • 2009
  • 교육학 분야 전문기관의 전자게시판에 접수된 참고질문의 유형과 하위주제 영역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교육학의 23개 하위 주제영역을 대상으로 6개 질문유형을 가지고 242건의 질문을 분석하였다. 순수한 참고질문은 56.14%로 상당히 높은 수치를 보였으며, 도서실 게시판에 접수된 질문은 교과교육, 교과서, 교육일반, 교수 학습영역에서 조사형 질문이 많았으나 교육통계연구센터 게시판에는 교육제도, 고등교육, 학생 학부모 분야에서 즉답형 질문이 많이 접수되었다. 분석결과 발견된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으로는 메뉴구조 개선으로 이용자의 편의성 확보, 검색기능과 응답기능 갖춘 디지털참고질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웹폼 참고질의양식 사용, 용도에 적합한 전자게시판 사용, 참고질의 관련 주제를 장서개발정책에 반영할 것이 제안되었다.

실시간 참고서비스의 효과적인 활용방안 및 고려요소 (The Factors which Should be Considered in Real-time Reference Service and the Effective Way of Using it)

  • 정재영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75-101
    • /
    • 2006
  • 본 연구는 실시간 참고서비스의 도입을 위한 필요 요소들을 정책적 측면과 운영적 측면에서 고찰하고 효과적인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참고서비스의 새로운 방법으로 소개되어지고 있는 실시간 참고서비스는 선진국의 사례에 기초해 성급하게 도입과 적용을 결정하기보다 충분한 사전 조사와 사례분석에 의한 적절한 적용 및 활용방안이 결정되어야 한다. 즉, 서비스정책의 수립, 적절한 프로그램의 선정, 프라이버시 정책의 확립, 그리고 도서관간 협력방안의 모색 등의 정책적 요소와 서비스 인력의 확보 및 교육, 운영시간, 홍보 및 평가시스템 운영 등의 운영적 요소에 대한 고려와 검토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 PDF

도서관에서 큐레이션 서비스에 대한 이해: 참고서비스의 혁신인가? 진화인가? (Understanding the Curation Service in Libraries: Is it a Revolution or an Evolution of Reference Service?)

  • Ranasinghe, W.M. Tharanga Dilruk;Chung, Jun Min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215-235
    • /
    • 2019
  • 박물관과 미술관에서 유래된 것으로 잘 알려진 큐레이션은 오늘날 큐레이션 커머스에서 큐레이션 데이터베이스까지 다양한 다른 분야에서 널리 적용되고 있다. 도서관도 데이터 큐레이션, 디지털 큐레이션, 콘텐츠 큐레이션, 북 큐레이션, 소셜 큐레이션 등 다양한 형태의 큐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큐레이션 서비스와 도서관 서비스의 관계는 적절히 연구되지 않았다. 본 논문의 목적은 큐레이션 서비스와 도서관 서비스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두 서비스의 이질감을 해소하는 것이다. 특히 이 논문은 큐레이션 서비스와 도서관 참고서비스의 관계에 주목한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광범위한 문헌 검토와 몇 가지 실제 사례를 살펴 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21세기 도서관 참고서비스가 직면한 과제와 큐레이션의 적용가능성, 두 개념의 유래와 의미를 분석하고 비교해보았다. 그 결과, 본 논문은 큐레이션이 도서관의 새로운 개념이 아니라 변화하는 정보환경과 이용자 요구에 대응한 도서관 참고서비스의 자연스러운 진화라고 제안한다. 게다가 도서관은 디지털 시대의 정보 환경의 변화 및 이용자 기대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큐레이션 서비스를 혁명으로 생각하지 않고 도서관 참고서비스의 자연스러운 진화임을 인식해야 한다고 결론짓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