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디지털 정보격차

검색결과 161건 처리시간 0.026초

노년층의 스마트폰 정보격차 현황 및 해소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sent Situation and Solutions of Older Adults' Smartphone Digital Divide)

  • 백기훈;신용태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871-874
    • /
    • 2014
  • 우리나라는 1990년대 중반부터 PC와 유선인터넷의 보급으로 정보화를 추진하면서 노년층의 정보격차 문제도 체계적으로 대응하여 해를 거듭할수록 호전 중에 있다. 그러나 2009년부터 스마트폰의 상륙으로 촉발된 스마트화 혁명 속에서 노년층의 스마트폰 정보격차 문제가 다시금 심각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65세 이상의 노년층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정보격차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본 다음, 이에 대한 해소방안으로 정책적 기반 강화, 스마트폰 교육 기회 확대, 노년층 UI 및 콘텐츠 개발, 실버요금제 및 효도폰 보급 확대 등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 PDF

서울시 고령자의 정보격차 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Correlates of Digital Disparity among Older Seoul Residents)

  • 남궁현경;김일호;천희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4호
    • /
    • pp.73-81
    • /
    • 2017
  • 노년기의 정보이용 능력은 노인의 건강과 삶의 질 향상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그러나 노년기는 정보화 적응에 어려움을 겪는 시기로, 특히 노인 취약계층의 정보화 격차 문제가 중요한 사회적 이슈이다. 본 연구는 서울시 거주 고령자를 대상으로 정보화 이용의 관련 요인을 사회경제적 격차 및 건강 차이에 주목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 자료는 "2015년, 2016년 고령자 건강수준과 기능평가" 설문 자료의 60세-89세 1,605명을 대상으로 한다. 정보화 이용에 관한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연령, 성별, 교육수준, 활동제한과 건강수준이 유의한 독립적 영향 요인이었다. 이 결과는 서울시 고령자의 정보화 이용에서 격차 및 불평등의 관련요인을 밝히고 있다. 본 연구결과는 고령자에서 인구사회학적 특성뿐만 아니라 건강상태를 고려한 정보소외계층에 대한 관심과 관련 정책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시니어의 도서관 디지털 정보 이용 요인에 관한 연구 - 국립중앙도서관 시니어 이용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Factors Related to Seniors' Use of Library Digital Information: Focusing on senior users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 최재은;이정효;황영은;문진서;안민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179-203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시니어가 (1) 도서관 디지털화에 대해 가지고 있는 태도, (2) 도서관에서 디지털 정보를 이용하는 요인, (3) 이용하지 않거나 이용하는데 방해가 되는 요인을 규명하는 것이다. 국립중앙도서관 시니어 이용자 20명을 대상으로 1:1 심층면담을 수행한 결과, 시니어의 과반은 도서관 디지털화에 우호적인 태도를 갖고 있었다. 시니어의 디지털 정보 이용 요인으로는 '사서'와 '시력 및 글자 크기'가 가장 주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두 요인은 디지털 정보를 이용하게 하는 요인이면서 동시에 이용하지 못하게 하거나 방해하는 요인이기도 하였다. 그 밖에 디지털 정보 이용 요인으로는 '자료의 특성', '편리성'이 있고, 비이용 요인으로는 '태도 및 심리적 요인', '책의 물성' 등이, 방해 요인으로는 '홈페이지 사용성 문제'가 주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디지털경제에서의 국제무역과 소득격차 (Trade and Inequality in the Digital Economy)

  • 윤상철
    • 노동경제논집
    • /
    • 제28권2호
    • /
    • pp.29-54
    • /
    • 2005
  • 본 논문은 구조적으로 동일한 선진경제들간의 비경쟁우위 무역에 관한 단순 2부문 일반균형모형을 제시한다. 주된 관심은 IT(정보기술) 재화 및 서비스무역이 임금격차에 미치는 영향에 집중되어 있다. 이 모형은 디지털경제에서의 임금격차가 주로 선진경제들간의 IT 재화 및 서비스무역에 기인되고 있음을 설명하고 확인한다. 특히, 이 논문은 IT 재화 및 서비스무역에 의해 숙련노동집약적인 기술재의 상대가격이 하락함에도 불구하고, 숙련노동에 대한 보수는 오히려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 준다. 그 이유는 Jorgenson(2001) 교수가 경험적으로 뒷받침하고 있는 바와 같이 기술재에 대한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탄력적이기 때문이다.

  • PDF

고령층 정보격차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e of Information Difference for Advanced Age)

  • 김천석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3권4호
    • /
    • pp.195-203
    • /
    • 2008
  • 현재 우리나라는 고령층 인구의 급속한 증가로 인해 이미 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상태로서 향후 필요한 정보의 습득여부와 실생활간의 관계가 밀접해지면서 이들의 정보소외 현상은 사회문제화 소지를 내포하고 있다. 본 논문은 디지털 경제시대로 전환과정에서 발생하고 있는 정보격차의 결정요인을 선진국과 우리나라의 고령층을 대상으로 정보 격차를 분석하였다.

  • PDF

노인의 정보화기기 활용 능력과 사회자본의 관계: 디지털 기기 이용 효능감 매개효과 검증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derly's Ability to use Information Technology and Social Capital: Verification of the Mediating Effect of Digital Device use Efficacy)

  • 김준수;조우홍;장영은;변길희;최대훈;김미경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3년도 제68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31권2호
    • /
    • pp.327-330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정보화기기 활용 능력이 사회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러한 관계에서 노인의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이 갖는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22년 실시한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SPSS 25.0 통계프로그램으로 개인의 인구사회학적특성, 정보화기기 중 PC, 모바일 기기 활용능력,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을 독립변수로 하고 노인의 사회자본을 종속변수로 하여 영향 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을 매개변수로 설정하여 노인의 정보화기기 활용 능력이 사회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매개효과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그 결과, 노인의 사회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 요인은 남성보다 여성의 사회자본 수준이 높았고, 나이가 많은 사람, 월평균 소득이 높은 사람, 다른 가족과 함께 거주하는 노인의 사회자본 수준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독립변수인 PC활용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이 없었고, 모바일기기 활용 능력과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이 높을수록 사회자본이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후 노인의 정보화기기 활용 능력이 사회자본에 미치는 영향을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이 매개하는지 분석하기 위해 Baron과 Kenny(1986)의 3단계 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pc활용능력 →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 → 사회자본에 이르는 경로와 모바일기기 활용능력 →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 → 사회자본에 이르는 매개효과 경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의 정보화기기의 접근성 향상을 위한 교육기관의 노력과 단순한 컨텐츠 위주의 교육에서 보다 실용적이고 즉시적인 교육 콘텐츠 전환 등 실천적 노력에 대해 제언하였다.

  • PDF

인터넷 접근과 활용에서의 디지털 격차 (Digital Divide in Internet Access and Internet Usage in Korea)

  • 주용완;김유정;조찬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5601-5613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라 인터넷 접근, 인터넷 이용 정도 및 인터넷 서비스 이용 상의 디지털 격차가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체계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터넷진흥원의 인터넷이용자실태조사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른 인터넷 접근과 인터넷 이용(양적 이용 정도, 인터넷 서비스 이용)의 디지털 격차를 로지스틱 회귀분석방법으로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인터넷 접속(가정에서의 인터넷 접속, 초고속 인터넷 접속)과 인터넷 이용정도(적극적 이용, 정기적 이용, 비정기적 이용)는 연령, 성별, 교육수준, 고용상태, 소득수준, 인터넷 접속 유형 등에 따라 디지털 격차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 서비스 이용(정보 활용, 커뮤니케이션 및 커뮤니티, 전자상거래, 인터넷 뱅킹)의 경우 고학력자 및 고소득층이며, 학생이고 젊은 연령층일수록 인터넷 서비스를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나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른 인터넷 서비스 활용 격차가 존재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노인의 디지털 리터러시가 정보의 비판적 수용에 미치는 영향: 인지욕구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Digital Literacy in the Elderly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Need for Cognition)

  • 장혜윤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6호
    • /
    • pp.17-25
    • /
    • 2022
  • 정보격차와 관련된 사회문제가 증가하는 가운데 노인은 정보소외계층으로서 다양한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특히, 가짜뉴스와 같이 디지털 환경에서 획득하는 정보를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수용할 수 있는 역량을 강화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20년 미디어패널조사를 활용하여, 노인의 디지털 리터러시가 정보의 비판적 수용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인지욕구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디지털 기기를 조작할 수 있는 운영적 역량과 정보검색 및 활용 역량은 정보의 비판적 수용행태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지욕구는 운영역량이 정보의 비판적 수용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강화하고, 정보검색 및 활용 역량이 정보의 비판적 수용행태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노인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패러다임이 접근성 강화에서 정보에 대한 판단 역량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다문화사회에서의 정보격차해소를 위한 플랫폼 전자정부 구축 연구 (A Study on 'Platform' e-Government for Reducing the digital divide in a Multicultural Society of S. Korea)

  • 이상윤;정명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호
    • /
    • pp.1-12
    • /
    • 2014
  • 2020년 무렵 한국사회는 급속한 정보통신기술(ICT)발전에 따른 디지털 양극화의 심화문제와 함께, 100만 명에 이르는 본격적인 다문화사회가 시작될 것으로 예상되는 점에서, 본 연구는 이러한 시대도래에 적합한 정보격차를 해소하는 다문화정책에 대한 논의를 전개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새로운 패러다임 변화환경 아래에서의 한국 다문화 가족 관련 정보서비스가 확대 및 강화되는 미래전략방향을 탐색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위해 바람직한 미래상을 시나리오플래닝을 통하여 고찰하여 보고 이의 달성을 위한 향후 추진방향을 모색하였다. 그 결과 ICT에 기반을 둔 데이터 서비스통합형의 개방된 플랫폼 전자정부 구축이 향후 한국 다문화사회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미래상으로 제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