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디지털 아카이브

검색결과 156건 처리시간 0.019초

디지털 아카이브의 영구적 보존을 위한 개념적 모형 설계에 관한 연구 (Conceptual Model for Developing Persistent Digital Archives)

  • 서은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3-34
    • /
    • 2004
  • 보다 효과적으로 디지털 아카이브를 구축하고 디지털 아카이브간의 상호운영과 자원의 공용을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표준적인 아카이브 모형과 이에 따른 정책 및 방법을 제안하는 OAIS 참조모형이 권고되었다. OAIS 참조 모형은 개념적으로 최상위 차원에서 정의한 것으로 현재 개발된 디지털 아카이브는 적용시키려는 모 기관의 목적, 시스템 환경 및 제반환경과 같은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하여 개발되고 있다. 이에 현재 구축되어진 디지털 아카이브 아키텍처를 조사하여 앞으로 구축될 디지털 아카이브가 갖추어야 할 지녀야 할 기술적 전략을 제시하였다. 이 결과를 토대로 하여 본 연구는 OAIS 참조모형이 권고한 기본개념과 기능, 환경을 근간으로 하나 보다 신뢰성과 보안성이 높고 정보기술 관리기능이 영구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디지털 아카이브의 개념적 모형을 제시하였다.

민간 디지털 아카이브 수집정책 연구 (A Study on The Collecting Policies of Civil Domain Digital Archives)

  • 배양희;김유승
    • 기록학연구
    • /
    • 제53호
    • /
    • pp.119-159
    • /
    • 2017
  • 본 연구는 민간 영역 디지털 아카이브의 수집정책에 관한 상황과 문제점 분석을 통해 최적의 수집정책 운영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관련 선행연구를 살피고 민간 디지털 아카이브의 특징과 역할, 그리고 수집정책의 중요성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전개한다. 사례 연구 대상으로 성문화된 수집정책을 보유한 민간 디지털 아카이브, 퀴어 아카이브, 서태지 아카이브, 아이쿱 아카이브, 소리 아카이브, 4곳을 선정하여, 각각의 일반 현황과 수집정책 요소를 분석한다. 이론 연구와 사례 연구를 바탕으로 실시된 면담 연구에서는 민간 디지털 아카이브 9곳을 대상으로 수집정책 수립과 운용, 활용, 수집정책의 저작권 규정, 타 기관과의 협력 등을 주제로 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한다. 결론에 갈음하여, 본 연구는 민간 영역 디지털 아카이브의 효율적 수집정책 운영을 위해, 수집정책 필요성의 인식 제고, 독립적 수집정책의 성문화, 필수 요소, 정기적 점검, 공개 및 홍보 방안 등을 제안한다.

영상 아카이브 개념에 대한 역사적 고찰 (Historical Review on the Concept of Audiovisual Archives)

  • 정지나;김건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109-126
    • /
    • 2017
  • 본 논문은 갈수록 그 중요성이 높아져가는 영상 아카이브 연구의 시론적 성격을 가지며, 일차적으로 영상 아카이브의 역사적 맥락을 고찰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이를 위해 우선 영상 아카이브의 바탕이 되는 영상 개념의 역사적 흐름을 검토하며 영상 아카이브 개념을 살펴볼 것이다. 그런 다음, 기록물로서의 영상 아카이브 그리고 장소와 기관으로서의 영상 아카이브를 다루면서 기존 종이문서 위주의 타 아카이브들(수집/보존/활용 등), 즉 공공기록보존소, 도서관, 박물관과 차별되는 영상 아카이브의 특이성들을 드러낼 것이다. 마지막으로 오늘날 디지털 시대의 영상 아카이브의 쟁점 중 디지털 포맷 및 복원 문제를 한정적으로 살펴볼 것이다. 이를 통해 본 논문은 향후 국내에서 정책적인 실천적 차원에서 설립되어야 할 다양한 영상 아카이브와 아직 걸음마 단계인 영상 아카이브 연구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미지 자료의 관리를 위한 효율적인 디지털 아카이브 워크플로우와 메타데이터 표현에 관한 연구 (Study on Efficient Digital Archive Workflow and Metadata Representation for Image Data Management)

  • 김효원;윤용익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635-644
    • /
    • 2008
  • 사회의 발달에 따라 정보의 양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게 되어 이를 효율적으로 유지, 보관하기 위해 디지털 아카이브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현재 아카이브의 표준으로는 OAIS(Open Archival Information System) 참조 모형이 있다. 이 모형은 장기보존에만 관심이 있고, 주로 포괄적인 콘텐츠에만 신경을 쓰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미지 자료를 대상으로 장기보존만이 아닌 효율적인 활용을 위한 디지털 아카이브 워크플로우와 메타데이터에 대한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미지 자료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을 위해서는 OAIS 참조 모형을 통해 서지 정보와 미디어 형태의 메타데이터 표준이 추가되어야 한다는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미지 정보의 효율적인 디지털 아카이빙 및 활용을 위한 클래스 기반 다단계 메타데이터 모델 관리를 제안한다.

  • PDF

디지털 아카이브의 위키데이터 활용방안 연구 (A Study on Wikidata Utilization for Digital Archives)

  • 한상은;박희진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201-217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위키데이터를 활용하여 디지털 아카이브에서 소장하고 있는 기록 자원에 대한 접근을 높이고 구축한 데이터를 공유, 재사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기록학 분야에서 논의되고 있는 디지털 환경에서 기록 자원의 기술(description) 표준과 디지털 아카이브의 데이터 관리 및 공유와 관련된 연구들을 통해 국내외 디지털 아카이브의 기록 데이터의 현황을 파악하였다. 위키데이터의 구조와 특성을 파악하고 위키데이터를 적용한 해외 디지털 아카이브의 사례들을 조사하였다. 사례 분석을 통해 위키데이터 기반의 기록 데이터 개방, 공유와 재사용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 위키데이터를 디지털 아카이브에 적용할 때 고려할 사항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에 있어서 최근 데이터 개방, 공유 관련 기술의 동향을 이해하고 실제 아카이브 현장에서 위키데이터를 활용한 서비스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1997 외환위기 지식그래프: 디지털 아카이브의 관계 중심적 접근 (A Knowledge Graph of the Korean Financial Crisis of 1997: A Relationship-Oriented Approach to Digital Archives)

  • 이유경;김학래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1-17
    • /
    • 2020
  • 정보기술의 발전에 따라 아카이브의 디지털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그런데 전통적인 방식의 디지털 아카이브는 기록을 효과적으로 검색하고 연계하고 이해하는 데 한계가 있다. 본 논문은 디지털 아카이브의 활용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관계 중심의 지식그래프 방식을 제안한다. 디지털 아카이브의 사례인 '1997 외환위기 아카이브'의 특징을 검토하고, 아카이브에 포함된 모든 개체와 개체 사이의 관계는 RiC-O(Records in Contexts-Ontology) 기반의 지식그래프로 구축한다. 본 연구의 결과인 외환위기 지식그래프는 1997 외환위기 아카이브의 모든 개체를 기계가 처리할 수 있는 형식으로 구축한다. 디지털 아카이브와 비교해 지식그래프 접근은 개체의 정보, 개체 사이의 관계를 정확히 탐색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의미검색, 지능형 서비스에 활용될 수 있다.

사건 아카이브의 시론적 연구 (A Preliminary Study on Event Archives)

  • 임지훈;오효정;김수정
    • 기록학연구
    • /
    • 제51호
    • /
    • pp.175-208
    • /
    • 2017
  • 본 연구는 특정 사건을 중심으로 기록을 수집 관리하는 '사건 아카이브'의 개념을 정립하고 사건 아카이브 구축 시 고려사항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사건 아카이브의 정의를 내린 후, 사건 아카이브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기존의 민간 기록물 아카이빙 연구방법인 공동체 아카이브와 로컬리티 도큐멘테이션과의 차이점을 파악하였다. 또한 사건 아카이브는 인물, 공간, 시간으로 구성되며, 다른 연구방법과 비교하여 시간적 요소를 특히 중요하게 여기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시간을 축으로 나머지 요소를 접목한 팽이 모형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사건 아카이브 구축 시 세 가지 고려사항을 제시하였다. 첫째, 사건 발생 시기에 따라 사건 아카이브의 구축 방법을 다르게 제시하였다. 둘째, 사건 아카이브의 세 요소인 인물, 공간, 시간에 따라 기록 수집 및 관리 영역을 제안하였다. 셋째, 오픈 아카이브로 발전하기 위해 디지털 아카이브를 지향할 것을 제안하였다.

디지털 아카이브 시스템 구축을 위한 공개 소프트웨어 활용방안 연구 (A Study on Using Open Source Software for Building a Digital Archive System)

  • 안대진;임진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345-370
    • /
    • 2016
  • 최근 국가기록원은 표준영구기록관리시스템 개발 계획을 검토하였다. 서울시 등의 지방기록물관리기관 건립에 따라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영구기록관리시스템 구축을 지원하기 위함이다. 또한 국가기록원은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과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한국정보화진흥원과 업무협약을 체결하였다. 이러한 움직임은 디지털 아카이브에 대한 국내 수요에 기반한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의 디지털 아카이브 시스템 구축 수요에 대응하여 지속 가능하며 효율적인 시스템 구축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외 디지털 아카이브 시스템 현황과 공개 소프트웨어 분석 프로젝트를 조사하였다. 도출된 시사점을 바탕으로 디지털 아카이브 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능 모듈 도출 방법과 각 기능모듈에 공개 소프트웨어를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공개 소프트웨어 기반으로 시스템을 설계할 때 필요한 재정적, 운영적 요건과 모듈 간의 연계 등 기술적 고려사항을 정리하였다.

해외 전자저널의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전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rategies for Building a Digital Archive of Electronic Journals)

  • 최호남;이응봉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61-183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현재의 라이선스 기반의 전자저널 구독모델 하에서 서비스 중단 등 미래의 예기치 못한 불확실성을 해소하고 영속적인 원문 엑세스의 보장을 확보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해외 전자저널 원문자료에 대한 디지털 아카이브의 구축과 보존을 수행하는 데 예상되는 제반 위험요소와 핵심 성공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도서관 현실에 맞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모델과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노근리 디지털 아카이브 수집정책 연구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for the No Gun Ri Digital Archive)

  • 신동희;김유승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30
    • /
    • 2016
  • 수집정책은 기록관리기관에서 장서를 구축하는 데 있어 법적 당위성과 내용적 일관성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문서다. 특히, 구조적, 재정적 지속성이 부족한 디지털 아카이브에서는 장서 구축의 가이드라인이 절실하다. 하지만, 디지털이라는 태생적 특성과 대다수 프로젝트 형식으로 이루어지는 디지털 아카이브의 특이성으로 인해 수집정책의 요소와 내용은 실물 기록물을 수집하는 기관의 수집정책과는 달라지게 된다. 본 연구는 노근리 디지털 아카이브를 위한 수집정책을 마련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선행연구와 이론적 배경의 분석을 바탕으로 기존의 디지털 아카이브 수집정책 사례를 조사하고, 노근리사건과 노근리 디지털 아카이브의 성격과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렇게 탐구된 내용을 기반으로 노근리 디지털 아카이브의 수집정책을 구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