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디지털 리터러시

검색결과 171건 처리시간 0.03초

초등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petence for Digital Literacy of an Elementary School Pupils)

  • 김선태;남영호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151-161
    • /
    • 2008
  • ICT 활용은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수준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학생들에게 창의성, 팀워크, 비판적 사고, 독립적 학습 및 학습 동기 개발에 있어서 긍정적 효과를 제공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경상남도 초등학생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을 조사 분석하고, 서울시 초등학생들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경상남도 초등학생들은 사회 문화 리터러시 역량이 가장 높았으며, 정보 기술 리터러시 역량이 가장 낮았다. 경상남도 초등학생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은 서울시 초등학생들의 역량과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인문학 기반 데이터 리터러시 개념에 대한 연구 (A Study about the Concept of Data Literacy based on Digital Humanities)

  • 한상우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23-236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문헌정보학 중심의 인문학 기반 데이터 리터러시 개념과 세부 역량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외 데이터, 정보, 디지털 리터러시 등의 관련 연구를 비교 분석하여 데이터 리터러시의 개념을 정의하고, 인문학 관련 개념으로 디지털 인문학 주요 개념을 연계하여 11개 항목의 인문학 기반 데이터 리터러시의 기본 요소를 설계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데이터 리터러시 프레임워크 설계의 기초자료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정보 교육을 위한 중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 분석 (Digital Literacy of Middle School Students for Informatics Education)

  • 최정원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83-90
    • /
    • 2022
  • 원활한 정보 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어느 수준 이상의 디지털 리터러시를 갖추었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그러나 약 10여년 간 정보 교육의 부재에 따른 학습자의 낮은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으로 인해 원활한 수업이 어렵다는 학교 현장의 목소리가 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15 중학교 정보과 교육과정을 원활하게 운영하기 위해 필요한 디지털 리터러시 요소를 분석한 후 중학생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이 자주 사용하는 컴퓨팅 기기와 소프트웨어에 부분적으로 능숙한 편향된 사용을 보였고, 학습에 필요한 하드웨어 사용, 온라인 협업을 위한 기초 용어와 운영체제에 대한 이해, 정보 검색, 생산성을 위한 문서작성 등에는 많이 미숙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효과적인 정보 교육을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방향과 체계적인 교육 내용을 구성하는 가이드라인이 되는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K-대학교 학군사관 후보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분석 (Analysis of Digital Literacy Level of Reserve Officers' Training Corps in K-University)

  • 최철재;강동수;최진식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113-118
    • /
    • 2018
  • 본 연구는 K-대학교 학군사관 후보생(ROTC)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분석을 위해 기존에 개발된 디지털 리터러시 체크리스트를 이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응답결과를 바탕으로 수집된 측정결과에 대해 타당성과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통계분석프로그램 SPSS 21.0으로 문항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 대상 집단별로 각 요인별 능력수준을 분석하였다. 빈도분석, T-test와 One-way ANOVA를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를 근거로 학군사관 후보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 향상 방안을 제안하였다.

디지털 독서 및 정보 리터러시 평가 문항 분석을 통한 독서 및 정보 서비스의 방향 탐색 - PIAAC와 PISA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irection of Reading and Information Service through Analysis of Digital Reading and Information Literacy Competencies Evaluation Items: Focusing on PIAAC and PISA)

  • 박주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61-89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국제 성인 역량 평가(PIAAC)와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PISA)에서 측정된 디지털 독서 리터러시 및 디지털 정보 리터러시 문항의 측정 내용과 방법을 살펴보고 공공도서관의 사서와 초 중등학교의 사서교사가 독서 및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에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디지털 독서 리터러시나 디지털 정보 리터러시 측정 문항을 해결하기 위하여 응답자는 인지 전략과 더불어 ICT 기술 역량이 공통적으로 필요하였다. 다만 디지털 독서 리터러시 측정 문항에서는 텍스트를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비판적으로 사고하는 능력이 강조되었으며 디지털 정보 리터러시 측정 문항에서는 ICT 활용 능력과 항해(navigation) 능력 및 검색된 텍스트를 읽을 것인지를 평가하는 능력이 강조되었다. 사서나 사서교사들은 이용자들의 독서를 더욱 권장할 필요가 있으며, 특정한 집단의 성취결과나 특성을 반영하여 맞춤형 역량 향상 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또한 자료 검색시스템과 한국십진분류법에 대한 이해와 활용이 가능하도록 도서관 환경을 정비하고 개발할 필요가 있다.

디지털 협력수업이 독서 리터러시에 미치는 효과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Digital Co-Teaching on Reading Literacy)

  • 박주현;강봉숙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7권3호
    • /
    • pp.211-230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으로 진행된 교사 간 디지털 협력수업이 학생들의 독서 리터러시 향상에 어떠한 효과가 있었는지를 확인하는 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사전검사를 하였고, 2차시에 걸쳐 교사 간 디지털 협력수업을 실시한 후 사후검사를 하였다. 통계분석을 위해 사전과 사후 검사에서 결측값이 없는 101명의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OECD의 PISA 독서 리터러시 평가틀과 요인분석을 통해 표현능력과 이해능력 및 정보활용능력으로 구성된 독서 리터러시 검사 도구를 개발하였으며 자기보고 식으로 독서 리터러시 역량의 변화도를 측정하였다. 분석결과, 디지털 협력수업은 고등학생의 표현능력과 이해능력 및 정보활용능력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OECD가 주관하는 PISA의 독서 리터러시를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디지털 협력수업이 적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초등 교과서의 디지털 리터러시 현황 분석을 통한 초등 정보 교과 독립 적용 탐구 (Exploring the Independent Application of Elementary Information Education through Analysis of Digital Literacy in Elementary School Textbooks)

  • 성영훈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5권2호
    • /
    • pp.265-277
    • /
    • 2021
  • 기술의 발전에 따라 디지털 리터러시의 개념이 기능과 도구 활용 중심에서 사회, 문화적 맥락에서 의사소통과 참여의 범위까지 확장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와 같은 원격학습환경에서 학습자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은 더욱 중요하고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과서에 나타난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분석과 점검을 통해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개선 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디지털 리터러시를 구성하는 기초적 지식, 기술 및 역량으로 구성된 준거를 통해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학교 교과서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내용은 기능과 도구 중심으로 제시되고, 특정 영역 등에 편중되어 있고 체계성, 연계성 등에서 부족한 부분이 발견되었다. 이에 초등 정보교과 독립을 통한 디지털 리터러시의 교과 체계 구성과 교육과정의 구체적인 구성 방안 및 예비교사의 실천 역량 강화를 위한 방안에 대해 제시하였다.

디지털 리터러시 측정도구의 개발 및 예측타당성 검증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Digital Literacy Measurement Tool)

  • 정미현;김재현;황하성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51-63
    • /
    • 2021
  • 최근 코로나19로 인한 언텍트 시대를 맞아 비대면 소통이 일상화되었고, 온라인상에서의 소통역량이 매우 중요한 역량으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의 변화와 요구를 반영하여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디지털 리터러시 측정도구를 개발하고자 기존 디지털 리터러시 측정도구들을 유형화하여 구성 변인들을 도출하였다. 각 변인의 개념에 부합하는 34개 문항을 개발하였으며,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에 해당하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한 후 탐색적, 확증적 요인분석을 통해 신뢰도와 타당도 등을 확인하여 5개 하위요인, 25개 문항으로 디지털 리터러시 측정도구를 최종 확정하였다. 이후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디지털 리터러시 하위 요인들의 예측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의 자기진단 평가도구 개발 (Development of Self Assessment Tool for Digital Literacy Competence)

  • 양길석;서수현;옥현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7호
    • /
    • pp.1-8
    • /
    • 2020
  • 이 연구에서는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이 현재와 미래사회를 대비한 핵심역량의 하나라는 판단 하에 이를 자가진단하거나 교육용 프로그램에서 효과성 검증의 도구로 활용할 수 있도록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의 자기보고식 평가도구를 개발하였다.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에 대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2개 영역, 8개 구인, 총 45개 문항으로 구성된 도구를 구성하였다. 약 3천 명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평가를 실시한 후 적합성 판단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전반적으로 만족할 만한 수준이었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평가도구는 일차적으로 초중등학교 및 성인교육 분야에서 활용 가능하다. 이 도구를 토대로 후속 연구를 통해 누구나 온라인으로 접근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개발하고 축적된 데이터를 통해 각 개인의 자기계발에 필요한 교육 정보를 제공한다면 우리 국민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본다.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정보과 교육과정 및 수업 사례 분석 (Analysis of Informatics Curriculum and Teaching Cases for Digital Literacy Education)

  • 이재진;김성욱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11-25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정보과 교육과정에서 디지털 리터러시와 관련된 내용이 어떻게 수용되었는지를 파악하고, 실제 정보과 수업에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이 어떠한 방식으로 실현되고 있는지를 수업 사례 분석을 통해 탐색하여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특히 성취기준 측면에서 전체 17개의 성취기준 중에서 13개의 성취 기준이 직접적으로 디지털 리터러시와 관계된 내용을 포함하고 있으며, 관련된 교육과정 내용 분석을 통해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핵심 교과로서의 정보 교과의 위치를 확인하였다. 또한, 수업 사례 분석을 통해 정보 교과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되는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적용모습과 가능성을 파악하였고 이러한 과정에서 드러난 제한점 및 개선 방향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