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디지털정보 디스플레이

Search Result 213,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The Study of Usability Evaluation in the EPG design of Interactive TV Programs (쌍방향 TV프로그램의 EPG 디자인 사용성 평가 연구)

  • 김종덕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6 no.2
    • /
    • pp.345-354
    • /
    • 2003
  • Digital TV broadcasting technology is recognized as a very encouraging technological development by koreans because of high-definition, multi-channel and interactive services which would broaden the viewers choice and promote people's prosperity.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of digital TV service is a drastic change for people's convenience and would be a major media of‘e-government’in Korea. Digital TV Program UI will affect to people's esthetic sense and information efficiency. The information search pattern in TV is different from it of computer which has lead interactive media so far This research verifies the reasonable information display method through the usability test based on former related researches. For the case study, Interactive EPG design of SkyLife is selected and reviewed. This research includes the design development of interactive EPG of DVB-MHP.

  • PDF

A study of data management system of customer's interest/preference information on interactive DID device (인터렉티브 DID 장치에서 고객의 관심/선호 정보 데이터 수집 기능 개발 연구)

  • Jeon, Sooji;Kim, Dongyeong;Yang, Jinhong;Jung, Sungk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9.10a
    • /
    • pp.253-255
    • /
    • 2019
  • 디지털 사이니지는 생활 속에서 소비자들과 소통할 수 있는 디지털 매체로서 사용자와의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고, 활용범위가 다양하기 때문에 효과적인 광고 매체로서 활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고화질의 디스플레이가 스마트폰과 센서를 이용한 사용자 맞춤형 기술로 개발되면서 스마트한 형태의 디지털 사이니지로 변화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관심과 선호 정보에 기반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바탕으로 소비자에게 맞는 콘텐츠 및 광고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을 개발함으로서 향후 점점 확대되고 있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장에 필요한 고객 참여형 정보제공 기술 개발에 기여하고자 한다.

A Study on Digital Signal Content System for Facility Management (시설 관리용 디지털 신호 컨텐츠 시스템 연구)

  • Park, Kyeongmo;Ahn, Byeong-T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5.10a
    • /
    • pp.1030-1032
    • /
    • 2015
  • In this paper, we developed a system that output and service using vairous contents with the inspection and management industry facilities in the operating system based on wireless network. This system can output to the display device at the same time, work management and a variety of content to the inspection facilities. And it outputs received contents of the advertising service provider in real-time. Therefore, this system support real-time facility management and various contents in the building at the same time.

  • PDF

Retargeting method from panorama image for Mobile device (모바일 기기를 위한 광시야각 영상의 Retargeting 기법)

  • Kim, Jung-Un;Kang, Hang-B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04a
    • /
    • pp.469-472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기기의 디스플레이 비율을 고려한 복합적 Image retargeting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기법은 다양한 비율을 가지는 광시야각 영상을 모바일기기에서 디스플레이하고자 할 때 줄어드는 과정에서 영상 내의 주요 영역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자연스러운 결과 영상을 만들어내기 위해 영상의 saliency를 분석하여 에너지 분포와 gravity center를 구한다. 분석된 에너지 분포를 통해 영상을 동일한 에너지량을 가진 n개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각 영역의 분포 특징에 따라 crop, linear scaling, seam carving의 기법을 최적의 영역에 복합적으로 적용하여 영상을 retargeting한다. 끝으로 제안하는 기법의 결과영상과 기존 기법의 결과 영상을 비교하여 제안 기법의 강점을 검증한다.

A Method for Digitizing and Restoring Artwork (미술품의 디지털화와 복원 방법)

  • Sim, Kyudong;Kim, Changseob;Park, Jo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8.06a
    • /
    • pp.136-138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미술품의 물리적 특징을 디지털화 하는 방법과 디지털 정보를 사용한 미술품 복원 방법을 다룬다. 미술품으로부터 취득할 수 있는 물리적 특성은 색상정보, 기하정보, 반사특성 등이 있고 미술품의 종류에 따라서 필요한 물리적 특성을 획득하기 위해서 미술품을 크게 2D, 2.5D, 3D 로 분류할 수 있다. 2D 미술품은 평면에 그려진 미술품으로 높은 해상도와 정확한 색상 정보 취득을 주 목적으로 하고, 2.5D 미술품은 평면의 미술품에 깊이가 추가된 유화나 판화의 형태로 2D 미술품의 특징에서 깊이표현 정보와 반사특성 정보를 추가로 취득한다. 3D 미술품은 입체적인 미술품으로 3 차원의 기하정보를 중심으로 디지털화 한다. 이렇게 취득한 미술품의 물리적 정보는 2D 미술품은 프린터로, 2.5D, 3D 미술품은 3D 프린터로 출력하여 복원하거나 디스플레이를 통해 가상으로 재현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다루는 디지털화 기술과 복원 기술은 높은 정확도를 위해 연구되었기 때문에 다양한 미술품의 디지털화와 복원에 사용될 뿐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Digital Signage System using Serverless Computing (서버리스 컴퓨팅 기반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연구)

  • Park, Daeseung;Kim, Changhoon;Lee, Wonhee;Kim, Cheong-Ghi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1.11a
    • /
    • pp.426-428
    • /
    • 2021
  • 반도체 디스플레이 기술과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디지털 사이니지는 기존의 단순 옥외 광고매체에서 탈피하여 이용자 맞춤 광고나 정보를 제공 및 스마트폰과 연동하여 콘텐츠 제공 가능한 시스템으로 발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디지털 사이니지의 작동오류의 위험성을 낮추며 비용절감을 할 수 있도록 제어 서버의 역할을 축소시키고 엣지 영역으로 서버의 역할을 최대한 분담하는 서버리스 기반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구축 가능성에 대해 연구한다.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Bibliographic Interface Based on the FRBR Model (FRBR 모형에 기반한 서지정보 인터페이스 개발에 관한 연구)

  • Seo, Eun-Gyo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23 no.4 s.62
    • /
    • pp.317-339
    • /
    • 2006
  • New concept of bibliographic data and its scheme are needed to accommodate a change resulting from the emergence of new forms of electronic publishing, and the advent of networked access to information resources. FRBR model was developed for defining functions performed by the bibliographic data with respect to various media, various applications, and various user needs. Several institutions including OCLC and RLG or vendors have tried to implement the FRBR on OPAC syste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strategies for developing bibliographic interface based the FRBR model. This study is to review the representative FRBRized systems and compare the systems regarding on search interface and display interface.

Development of Augmented Reality Tool for Architectural Design (건축설계 검증을 위한 증강현실 설계지원도구 개발)

  • Ryu, Jae-Ho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0 no.1
    • /
    • pp.49-62
    • /
    • 2015
  • In this study we have proposed the prototype of design support device for architectural design assessment using the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BIM) data and the augmented reality(AR) technology. The proposed system consists of novel hardware composition with the transparent display, the mock-up model and the digital architectural model in the new shape of frame. The removal of background and the correction of viewer point in the capture video are proposed in order to use the transparent display in AR application. The BIM data formats are reviewed to be converted for using in AR application. Also the proposed system can be expanded to multi-user collaboration system from two user system through the suggested hardware and software composi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applied to use the mock-up model and digital architectural model in order to carry out the design assessment process efficiently and economically in the architectural design field.

Personalized Multimedia content adaptation system in Ubiquitous Computing Supported Residential Environment (유비쿼터스 주거 환경에서의 개인화된 컨텐츠 적응 시스템)

  • Choi, Jeong-Hwa;Suh, Dong-Jun;Ryo, Yong-Ma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a
    • /
    • pp.1325-1330
    • /
    • 2006
  • 유비쿼터스 켬퓨팅 환경에서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나 컨텐츠를 소비할 수 있도록 다양한 환경에 맞게 능동적으로 적응변환 시켜주는 기술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가정에서 여러 종류의 디스플레이에 색각인 사용자에게 필요한 서비스와 정보를 제공해 주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단순히 세션 정보를 이용하여서 다양한 위치의 디스플레이에 정보를 제공해주는 기능에 '사용자의 취향과 색각 유무에 따라 변형되어진 정보' 를 제공해주게 되는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제안한 시스템은 크게 사람의 위치 정보를 인지하는 센서 입력부, LCD 모니터나 TV 브라운관과 같이 영상 정보를 출력해 줄 수 있는 출력부, 사용자에 대한 세션 정보 관리와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서버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용자의 위치에 대한 정보는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으로 구성된 테스트 베드 내부 센서를 통해 각 디스플레이의 해당 서비스 지역에 사용자가 들어가게 되면 사용자를 인지하도록 하였다. 제공되는 영상은 인지된 사용자 정보를 통해, 색각자인 경우, 색각자를 위해서 변환 되어진 영상을 사용하며, 또한 미리 설정되어진 사용자의 취향에 관련되어진 장르로 구성되어진 메뉴를 통해서 제공된다. 제안한 시스템은 가정에서 유비쿼터스 컴퓨팅이 가능하도록 한 구성한 Active Home상에 구현하였다. Active Home에서는 서버에서부터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제공 받으며, 사용자의 색각 유무에 따라 색각자를 위해 변환된 영상 또는 원본 영상을 보여준다. Active Home에서의 실험을 통해, 제안한 시스템은 유비쿼터스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자연스러운 인터렉션과 세션 정보를 Seamless하게 제공해주는 도구로 사용 가능함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