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디지털정보 디스플레이

Search Result 213,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Sensors-type healthcare content system with virtual trainers (가상트레이너와 함께하는 센서형 헬스케어 콘텐츠 시스템)

  • Hyeon, Uijoo;Kim, Dongyoung;Yoon, Seonj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9.07a
    • /
    • pp.151-152
    • /
    • 2019
  • 운동 기구를 이용한 운동의 경우 바른 자세와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적외선 감지센서가 부착된 디스플레이형 전신거울과 프리웨이트 운동기구에 부착된 센서를 이용하여 이용자의 정보를 인지하고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되는 가상 트레이너를 통해 균형 운동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하는 게임형 콘텐츠를 설계하였다. 본 콘텐츠의 목표는 운동 시에 중요한 바른 자세를 잡기 위하여 균형 상태를 알 수 있게 하며, 가상트레이너에 의해 보다 효과적이고 흥미로우며 지속적인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 PDF

A Study on Collaborative Visualization Framework for Multiple Tiled Displays (다중 타일드 디스플레이 간의 협업 가시화 프레임워크 연구)

  • Kim, Seokhwan;Kim, Minyoung;Park, Heechan;Cho, Yongjoo;Park, Kyoung Sh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9.04a
    • /
    • pp.242-245
    • /
    • 2009
  • 현재 대형 디스플레이는 여러 공공장소에 설치되어 장소의 목적에 맞는 정보를 제공한다. 이러한 대형 디스플레이는 가까운 미래에 더욱 많은 장소에 비치되어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을 통해 개인화된 정보를 제공하거나 원격지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간의 상호작용도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최근 대형 디스플레이로 고해상도의 타일드 디스플레이가 관심을 끌고 있다. 그러나 타일드 디스플레이는 분산 환경 시스템을 사용하므로 소프트웨어 개발의 복잡도가 높다. 본 논문에서는 분산환경의 타일드 디스플레이의 응용프로그램과 타일드 디스플레이들 간의 사용자 인터랙션을 통한 협업을 지원하는 확장된 iTILE 프레임워크를 살펴보고, 시스템 구조와 실험결과를 분석한다.

A Study on fusion design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Flexible display base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기반의 융합형 디자인개발에 관한 연구 -Head-Up Display 가상시나리오 구현을 중심으로-)

  • Kim, Hwoi-Kwa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4 no.1
    • /
    • pp.399-405
    • /
    • 2016
  • Head-Up Display, an information-providing display, is a device that provides necessary information through a vehicle window for a driver when driving, with which the driver secures the visibility and acquires information necessary for driving. Head-up displays in early days were mostly installed in imported vehicles but increasingly, being installed in medium and large-sized domestic vehicles, they secures convenience of driving and information acquirement. The information display element of each of currently released brand cars not only has limits in consistency and in displaying interface but also reveals the limitation of a way to apply GUI, being applied to dot reflective form in terms of the technology type. Accordingly, this study draws real time information element described as necessary during driving through case survey and analysis, and aims to provide a user with new GUI guideline through transparent display technology recently developed based on results analyzed with priority of POI(Point of Interest) information.

A Study of Integrated Digital Signage Management System Implementation (Digital Signage 통합관리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 Kang, Hee-Yong;Lee, Jina;Shin, Yong-Tae;Kim, Jong-B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4.10a
    • /
    • pp.82-85
    • /
    • 2014
  • With high speed communication network and supplement of high quality multimedia devices, large demand of multimedia service stimulates digital signing industry to step forward to new opportunities. But in order to provide competitive quality services,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is required. Digital signs use technologies such as LCD, LED and Projection to display content such as digital images, video, streaming media, and information. Digital signs rely on a variety of hardware to deliver the contents. The components of a typical digital sign installation include one or more display screens, one or more media players, and a content management server for each player. To improve the existing high cost and less efficient management system, this paper suggest cost effective Integrated Digital Signage Management System with the results of analysis of existing system. Also this paper presents an actual implementation on entertainment company to evaluate the suitability, to prove the result of superior performance of proposed system.

  • PDF

Design of Photo Transmission System Using WPAN Platform and Digital Photo Frame (WPAN Platform과 디지털 전자액자를 이용한 사진 전송 시스템 설계)

  • Lee, Tae-Yang;Kim, Su-Hyun;Song, Young-Ho;Jeong, Gu-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9.11a
    • /
    • pp.509-510
    • /
    • 2009
  • 최근 디지털 카메라의 보급이 확산됨에 따라 다양한 디바이스에 접목되고 있는 추세이다. 휴대폰, PMP, MP3, 휴대용 게임기 등에 접목되고 있으며, 특히 휴대폰에서의 디지털 카메라는 필수 항목이 되어 버렸다. 이와 더불어 수많은 종류의 악세사리들도 출시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디지털 사진을 이용하는 전자액자를 꼽을 수 있다. 디지털 액자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디지털 사진을 저장하여 디스플레이 한다. 본 논문에서는 WPAN Platform을 이용하여 휴대폰에서 PC로 사진을 전송하고 PC는 이 사진을 다시 전자 액자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소형 반사형 액정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동향

  • Lee, Byeong-Ho;Choe, Gyeong-Sik
    • Information Display
    • /
    • v.3 no.3
    • /
    • pp.20-29
    • /
    • 2002
  • 본 소고에서는 개인용 휴대 전화나 PDA, 캠코더, 디지털카메라, 소형 PC나 휴대용 PC 등에 적용할 수 있는 소형 반사형 액정 디스플레이 시스템과 전면 광원 장치에 관한 기술들을 논의 하였다. 반사형 액정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가볍고 얇으며, 저 비용으로 낮은 전력소모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고휘도화와 높은 콘트라스트, 넓은 시야각등을 목표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반사형 액정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문제점들과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주요 방법들을 소개하였고, 국내외 관련 연구 동향에 대해 기술하였다. 또한 전면 광원 장치용 도광판을 설계하기 위한 기법과 설계 결과를 제시하였다.

Dynamic Textual Information Presenting Methods on Digital Displays (디지털 디스플레이에서의 동적 문자정보 제시 방법)

  • Lee, Kyong-Hee;Cheng, Hong-In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8 no.4 s.62
    • /
    • pp.45-52
    • /
    • 2005
  • Displays, playing an essential role in HCI, have been developed to deliver more vivid and live pictures. LCD and PDP have the most common usage among various displays to present the dynamic textual information in restricted and open places. Important and unsolicited information is being provided by hundreds of displays while we don't even perceive the information. Watching context, effective color combinations of the text and background, speeds of presentation, contexts, and types of display for leading method, moving words cross the display from right to left, were investigated with readability, comprehensibility, and overall satisfaction were compared. LCD peformed better than PDP on all comparisons u4th typical text (black, white) and background (white, black) color better than other color combinations. Normal and fast text presentation was believed more preferred when only textual information was given while slower presentation was evaluated more efficient if multimedia contents were presented with textual inform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