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디지털정보서비스

검색결과 2,796건 처리시간 0.066초

전자프로그램 가이드를 위한 음성 인터페이스 (VoiceEPG: Speech Interface for Electronic Program Guide)

  • 김한수;황인준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3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2 (3)
    • /
    • pp.589-591
    • /
    • 2003
  • 최근 디지털 TV 방송의 활성화에 힘입어 수많은 채널을 통한 TV 프로그램 방송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디지털 TV 시청자들은 신문 또는 TV 가이드와 같은 기존 인쇄매체를 통해 자신이 원하는 TV 프로그램 스케줄을 얻기가 사실상 매우 어렵게 되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디지털 TV 환경에서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PG: Electronic Program Guide)를 제공한다. 현재 제공되고 있는 EPG 서비스들은 대개 디지털 TV 화면 또는 각 방송사 웹 사이트 그리고 이동 단말기 등을 통해서 서비스 되고 있다. 대부분의 기존 연구들은 EPG 정보를 화면상에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측면에만 초점을 두고 있다. 하지만 실질적으로 사용자 입장에서는 원하는 방송 프로그램의 스케줄 정보를 찾기 위해서 수백 채널에 달하는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일일이 검색하는 것은 매우 힘든 일이다. 게다가 사용자가 원하는 키워드를 직접 입력하는 방식 또한 사용자를 매우 번거롭게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EPG 서비스 방식에 VoiceXML 관련 기술을 접목하여 이동 단말기상에서 간단한 음성입력을 통해 EPG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음성 인터페이스를 제안한다.

  • PDF

통합가상항로표지 정보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스템 설계방안 연구

  • 여지민;박종현;채정근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2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91-92
    • /
    • 2022
  • 해상 ICT의 발전과 e-Navigation 및 자율운항선 도입에 따라 해상 통신망의 종류와 범위가 확장되어 가상항로표지 서비스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으며, 이러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국가 정책적으로 스마트 항로표지 개발에 관한 연구가 추진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e-Navigation 및 자율운항선 도입에 대비하여 디지털 항로표지 정보의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제공을 위한 통합가상항로표지 정보서비스 시스템 상세 설계 방안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 PDF

국립디지털도서관 정책수립에 관한 문헌 및 사례고찰 (A Review of Literature and Cases for Developing National Digital Library Policies)

  • 장윤금;노동조;곽승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95-117
    • /
    • 2008
  • 국립중앙도서관의 국립디지털도서관 설립이 추진되면서 디지털도서관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한 정책수립에 대한 관심과 기대가 고조되고 있다. 그동안 국내의 경우 도서관정책과 관련된 연구나 지원은 매우 한정적이었으나 앞으로 급변하는 정보환경에서 발전해가야 하는 디지털도서관 환경과 문제점을 고려할 때 체계화되고 구체화된 정보서비스정책의 수립은 선행되고 지속적으로 발전되어야 할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도서관 정책수립과 관련된 문헌조사와 해외 사례조사를 통하여 앞으로 국립디지털도서관을 비롯한 디지털도서관 정보서비스정책 수립을 위한 핵심요인과 과제를 추출함으로써 디지털도서관 정보서비스정책수립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국방 디지털 아카이브의 효율적 연관정보 검색을 위한 자동화된 비즈니스 서비스 식별 (An Automatic Business Service Identification for Effective Relevant Information Retrieval of Defense Digital Archive)

  • 변영태;황상규;정찬기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3-47
    • /
    • 2010
  • 정보기술혁명 및 네트워크 기반 정보공유 대중화는 국방 분야 디지털콘텐츠 수를 증가시켰다. 이에 따라 급격하게 그 수가 증가한 장기 보존된 디지털화된 공공정보 가운데 사용자 본인에게 적합한 공공정보를 찾는 것은 매우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디지털콘텐츠는 원 자료의 출처 및 생산 시기에 따라 그 형태가 매우 다양하고, 디지털콘텐츠간에는 많은 상호 연관 관계가 존재한다. 비즈니스 서비스 온톨로지는 공공분야 디지털 아카이브 정보 생산자와 정보 이용자 간의 상호 지식을 명시화하고 지식을 공유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함으로써 디지털 공공정보 검색능력을 증진시키는데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비즈니스 서비스 온톨로지는 정보 생산자와 정보 이용자 간의 교량과 같은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그러나 업무 처리절차에 대한 의미 지식 추출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비정형의 업무 활동들로부터 정형화된 비즈니스 서비스로의 매핑 정보를 제공하는 비즈니스 서비스 온톨로지 자동화는 실용화하기가 매우 힘든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비즈니스 서비스 온톨로지 구축을 위한 첫단계로써 전사적 아키텍처(ITA/EA)로부터 단위 비즈니스 서비스 식별 자동화 방안을 제안한다.

ASF 파일 보호를 위한 DRM 툴킷 설계 (Design of DRM Toolkit to Protect ASF Files)

  • 박지현;김정현;윤기송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241-1244
    • /
    • 2004
  • 디지털 정보의 생성과 배포의 용이성은 디지털화된 동영상의 제작을 증가시키고 있다. 그러나 디지털 콘텐츠는 복제가 쉽고 누구나 접근이 가능한 인터넷을 통해 전달될 수 있으므로 저작권 침해가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특히 사용자의 PC에 저장되어 재생되는 동영상에 주로 발생하였으며, 종래에는 사용자의 PC에 저장된 동영상 파일의 보호를 위해 동영상 파일의 전체를 암호화한 후 적법한 사용자에게만 암호화된 동영상 파일을 복호화 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사용자의 PC에 저장되어 재생되는 동영상에 비하여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하여 재생되는 동영상은 사용자의 PC에 저장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불법 복제등의 문제를 해결하였다. 하지만 근래 스트리밍을 통하여 서비스되는 동영상을 저장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속속 등장하면서 스트리밍을 통하여 서비스되는 동영상에 대한 보호 방안도 필요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스트리밍 컨텐츠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마이크로소프트의 멀티미디어 파일 포맷인 ASF를 기반으로한 스트리밍 시스템에 DRM을 적용하는 방안에 대하여 설명한다.

  • PDF

위성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대화형 위성통신방송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Interactive Satellite Communications and Broadcast System for Satellite Multimedia Services)

  • 김환철;전경재;최경수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0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1 (A)
    • /
    • pp.385-387
    • /
    • 2000
  • 디지털 기술 및 통신 기술의 발달로 방송.통신.컴퓨터.가전의 경계가 불확실해지고 사용자에게 다양한 형태의 융합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게 되어, 일방적으로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데 그치지 않고 사용자가 서비스를 직접 선택하고 서비스 공급자에게 자신의 정보를 제공하는 대화형 방송 기술이 주요한 디지털서비스 요소로 자리잡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외의 대화형 방송 기술 개발 현황을 살펴보고, 한국전자통신연구원에서 개발중인 대화형 위성통신방송 시스템 기술, 대화형 위성통신방송 단말기술, 대화형 위성원격교육 기술에 대하여 기술한다.

  • PDF

개방형 홈서비스 분배관리시스템 플랫폼 (Open Digital Home Service Management Platform)

  • 박호진
    • 정보통신설비학회논문지
    • /
    • 제3권1호
    • /
    • pp.46-55
    • /
    • 2004
  • 방송과 통신이 융합됨에 따라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출현하고 있으며 가정에서도 다양하고 질 좋은 홈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증대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홈 서비스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지능형 홈네트워크 플랫폼이 제안되고 구축되고 있으나 댁내부의 홈게이트웨이나 홈서버 등의 가입자 장치를 통한 응용 프로그램만으로는 다양한 서비스 제공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외부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디지털 홈서비스를 사용자에게 편리하고 안전하게 전달하고 사용자의 개입 없이 외부의 서비스 제공자가 개발한 홈서비스를 제공 수 있는 개방형 서비스 관리 구조가 요구된다. 본고에서는 다양한 홈서비스가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사용자 장치에 분배, 운용, 관리될 수 있는 환경인 개방형 디지털홈 서비스 분배관리 체계를 소개하고, 홈네트워크 상의 서비스 사용자 뿐 아니라, 외부에서 댁내의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편리하고 안전하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디지털 홈 서비스 플랫폼인 분배관리시스템 플랫폼을 제안한다.

  • PDF

디지털도서관의 e-서비스품질 평가에 관한 연구 (Assessing E-service Quality of Digital Libraries)

  • 황재영;이응봉;김종환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55-79
    • /
    • 2007
  • 본 연구는 도서관 정보서비스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른 새로운 서비스품질 평가 척도의 필요성을 이해하고, 디지털도서관에 적용할 수 있는 e-서비스품질 평가 차원과 모형을 개발하는 연구이다. 이론 연구를 통해 개발된 차원과 모형을 검정하기 위해 실제 NDSL 정보시스템을 적용하여 개발된 차원과 이를 구성하는 선행요인을 분석하였으며, 제안한 e-서비스품질 모형을 토대로 변인간의 인과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아울러 서비스품질에 대한 고객의 이상적 기대치와 실제 지각된 성과치 간의 갭(차이)을 분석하고 마지막으로 고객 관점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디지털도서관 서비스품질 요소가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식별체계 기반의 과학기술분야 전자원문 연계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Digital Contents Service System in Science and Technology Field Based on Identification System)

  • 이상환;신동구;김재수;최진영;정택영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4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1 (A)
    • /
    • pp.415-417
    • /
    • 2004
  • 정보통신 및 인터넷의 급속한 발전으로 디지털 콘텐츠의 유통이 활발해지고 있으나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서비스 방식이 위치정보를 가지고 서비스하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방식의 문제점과 기존의 물리적인 저작물r이 디지털 콘텐츠로 전환되면서 기존의 식별자로는 디지털 콘텐츠의 특성을 충족시키는 식별이 미흡하고 한계가 있다. 따라서, 해외 주요 디지털 콘텐츠 서비스기관의 식별체계 활용사례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고유 식별자인 KOI(Kisti Object Identifier)를 개발하고 개발된 KOI를 기반으로 과학기술분야 전자원문 연계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 PDF

TPEG 서비스 추진 동향 (A Study on Tranport Protocol Experts Group Service)

  • 전황수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22권6호
    • /
    • pp.170-181
    • /
    • 2007
  • TPEG는 디지털방송 매체를 통해 교통 및 여행정보를 전송하는 표준 프로토콜로 이동환경에서 운전자들에게 실시간으로 교통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킬러 애플리케이션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교통정보를 데이터화해 지상파 DMB, DAB 등의 매체를 통해 이용자의 위치와 주변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하는 기술로 데이터의 부호화, 복호화 및 필터링 등 다양한 규격을 포함한다. TPEG는 DMB 등 휴대이동방송이 시작되면서 디지털 방송신호를 통해 개인 단말기에 멀티미디어 교통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최근 각광을 받고 있다. 본 고에서는 TPEG 서비스의 개요 및 개발현황, 사업자들의 TPEG 서비스 추진현황을 살펴보고, TPEG 서비스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