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디지털정보서비스

Search Result 2,796,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이종 스크린간 협업 서비스를 위한 오픈스크린 서비스 플랫폼 기술

  • Lee, Seong-Hui;Sin, Il-Hong;Lee, Eun-Jun;Lee, Hyeon-U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3 no.5
    • /
    • pp.39-46
    • /
    • 2016
  •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는 불특정 다수에게 일대다 형태로 정보를 제공하는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Digital Information Display)에서 사용자의 상황을 인지하여 개인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하는 상황인지기반 텔레스크린(TeleScreen)으로 진화했으며, 앞으로의 디지털 사이니지는 옥내외에 위치한 다양한 형태의 사이니지들이 주변 환경과 사용자 상황에 따라 서로 협업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오픈스크린 서비스로 발전할 전망이다. 본 고에서는 오픈스크린(Open-Screen) 서비스의 등장 배경과 개념을 소개하고 하고 본 연구원에서 개발한 오픈스크린 서비스 플랫폼 기술을 소개한다.

A Study on Establishment of Information Service Policy of National Digital Library (국립디지털도서관의 정보서비스 정책 수립에 관한 연구)

  • Noh, Dong-Jo;Kwak, Seung-Jin;Chang, Yun-Keum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42 no.2
    • /
    • pp.295-308
    • /
    • 2008
  • For National Digital Library(NDL) to properly perform it's ideal function as a representative digital library in Korea, information service policy considering the IT and Ubiquitous environment shall be established. Information service policy of NDL was established with focus group interviews and a survey targeting the users and librarians in this study. To raise the propriety of information service policy, final draft of information service policy was proposed after the interim evaluation targeting the concerned parties of NDL and 1st & 2nd verification by external specialists and the consultation group. In this manner, vision, mission, goal, objective, strategy, etc of information service policy of NDL were proposed. Information service policy of NDL proposed in this study not only proposes the fact and base to other digital libraries that wishes to establish the information service policy and arrange detailed guidelines as a case study but also secures the direction and vision of global information service policy of NDL. Furthermore, it will contribute for NDL to build its reputation as a world renowned digital library.

The Digital Divide and Challenges on the Elderly in Intelligence Information Society (지능정보사회 노인층의 디지털 정보격차와 과제)

  • No-Min Park
    • Journal of Digital Policy
    • /
    • v.3 no.1
    • /
    • pp.11-20
    • /
    • 2024
  •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is expected to drastically change our lives. The purpose of this content is to derive tasks in the field of media education for the elderly for the realization of digital inclusion in an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To this end, the vision, goals, strategies, and tasks of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were examined through the 6th National Informatization Basic Plan(2018~2022) and the 2022 Education Informatization White Paper(2022). In addition, the current status of the digital gap among the elderly classified as vulnerable groups was identified through the results of the 2022 Digital Information Gap Survey. In order to ease the digital information gap between the elderly in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it is believed that the development of intelligent media education services using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provision of media education services for the elderly through learning online service channels, and support for digital intelligent media education for the elderly are necessary.

An Overview and Analysis of Digital Services in Public Libraries (공공도서관 디지털서비스의 현황분석)

  • Joung, Hyun-Tae
    •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 /
    • v.34 no.1
    • /
    • pp.77-98
    • /
    • 2003
  • This study analyzes the overview of computerization process in Korean public libraries and reviews several problems of digital services through the library homepage. It is pointed out that digital service level is very high in technical quality, but the difference by regional groups in service quality is severe. This study emphasizes that a specialized resource development based on the regional feature be the survival strategy of digital service in public library at the age of internet.

디지털 사이니지의 위치기반 서비스 기술의 현황 및 전망

  • Ryu, Chun-Yeol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3 no.5
    • /
    • pp.26-34
    • /
    • 2016
  • 최근 디지털 사이니지 분야는 광고분야의 한정적 매체 특성을 벗어나 첨단 기술과 서비스 콘텐츠를 결합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형태의 매체로 변화하고 있다. 특히, 광고 업계의 침체와 기존 단순 영상 송출의 한계를 증강현실, 동작인식, 다양한 매체간 목적성 연동, 위치기반 맞춤형 서비스 등을 제공하며 융합적, 결합적 서비스 매체로 진화하고 있다. 2000년대 초 디지털 사이니지의 국내 보급은 국외를 포함해서 보급이 매우 빨랐다. 디지털 사이니지는 광고 목적으로 시작됐지만, 외형적 성장 속도에 비해 매체를 통해 제공되는 콘텐츠, 서비스, 운용 기술 및 S/W 개발 등의 질적 성장은 상대적으로 소극적이었다. 그러나 최근 아시아를 중심으로 한류 열풍이 확산되면서 K-POP, 화장품, 의류, 바이오 등 산업을 중심으로 디지털 사이니지의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이며, IT와 융복합되면서 교육, 정보 제공, 예술분야에 적극 활용됨에 따라 국내 디지털 사이니지 산업이 새로운 전기를 맞고 있다. 특히, 위치 기반 서비스는 2000년 후반 차량용 네비게이션 시장을 시작으로 현재 스마트폰에 기본으로 장착되면서 이제는 서비스 전분야에 직/간접적으로 활용되는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디지털 사이니지는 첨단 기술과 결합하여 다양한 형태의 지능적 처리 능력을 이용함으로써 현재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위치 기반 기술과 서비스를 결합한 새로운 매체 인프라로 생활 공간에서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현재 뜨거운 화두가 되고 있는 디지털 사이니지와 위치 기반 기술의 기술 및 시장 현황을 살펴보고, 기술 및 서비스 융복합에 따른 앞으로의 디지털 사이니지 분야와 결합된 위치 기반 서비스의 미래를 전망해 본다.

未來中國檔案管理硏究 - 數字化檔案館建設初探 -

  • 유위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 /
    • v.2 no.2
    • /
    • pp.187-191
    • /
    • 2002
  • 디지털당안관을 건설하는 주요한 목표는 디지털당안 관리, 디지털당안관의 조작 및 전통당안의 디지털화에 대해 완전한 해결 방안을 제시하여 선진응용 시스템을 개발하고, 유관한 업무 규칙과 기준을 건립하며, 각 유형의 디지털 자료창고를 건설하는 것이다. 또한 그것의 최종목적은 당안관 관장의 정보에 디지털식 관리를 실현하고, 인터넷 서비스를 통하여 독자들이 언제 어디서나 열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주요 특징은 정보관리의 디지털화 자동화 서비스의 네트워크화와 다양화 정보내용의 광범성인데, 예를 들어 각 종의 매체 정보, 정보의 저장과 사용자 방문이 지역적인 제한을 받지 않는다. 정보자원의 집산처로서 당안관이 네트워크 운행을 실시하는 것은 필연적이며 필수적인 것이기 때문에 사회 발전의 수요에 따라 당안관은 새로운 운영 모델을 찾아 네트워크사회에서의 경쟁능력을 높여 사회대중을 위해 서비스하고 이로써 미래 사회의 공중 정보의 중심이 될 것이다.

A Study on Digital Identity Guidelines of NIST (온라인상에서 디지털 사용자 신원 확인 가이드에 대한 연구)

  • Kim, Jong-Ba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9.05a
    • /
    • pp.160-163
    • /
    • 2019
  • 본 연구는 미국 상무부 소속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에 의해 제시된 온라인상에서 디지털 신원 지침(digital identity guidelines)에 대한 내용을 살펴보고, 디지털 신원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기술적인 요구사항들에 대해 검토 후 국내 본인확인서비스에 적용이 가능한 방안을 제시한다. 온라인상에서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기 위해 다양한 방안이 제시되고 있으며 현행 국내 본인확인서비스의 경우 과도한 개인정보 제공으로 사생활 침해 이슈가 제시되고 있다. 따라서 NIST의 디지털 신원지침에서 제시하는 차등화된 서비스 제공 방안에 대해 검토하고 국내 본인확인서비스에 적용 가능한 방안을 모색한다. 제시한 방안에서 획일화된 본인확인서비스에서 본인확인수단, 인증, 정보제공에 대한 차별적인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보다 안전하고 건전한 본인확인서비스의 실현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A Study on the Re-Direction Technique to Contents in Digital Library (Re-Direction 기법을 이용한 전자도서관 디지털콘텐츠의 활용기법에 관한 연구)

  • 이두영;기명종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03.08a
    • /
    • pp.209-218
    • /
    • 2003
  • 인터넷의 발달과 정보화 기술의 발전에 따라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멀티미디어 정보, 원문자료, 웹 정보, 전자저널 등 디지털 화된 정보를 종합적으로 관리하면서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들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급증하고 있으며, 이런 요구로 인하여 디지털 컨텐츠를 가지고 있는 도서관에서는 컨텐츠의 효율적인 관리 방안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인터넷 정보 서비스의 대부분이 라이센스 협정에 의한 정보 이용형태의 수준을 탈피하지 못하고 있어, 이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 서비스를 단순한 링크 형태로 제공하는 것이 현재 전자도서관의 형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여 전자도서관을 통해 서비스되고 있는 인터넷 정보 서비스를 자관 환경에 맞게 재구성하고, 로컬 전자도서관 시스템과 연동할 수 있도록 상용 인터넷 정보 서비스 제어 및 이를 위한 제어 시스템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A Study on developing the guidelines for the Collaborative Digital Reference Service in Academic Libraries (국내 대학도서관의 협력형 디지털참고정보서비스 가이드라인 개발에 관한 연구)

  • Ko, Ah-Reu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10.08a
    • /
    • pp.111-116
    • /
    • 2010
  • 본 연구는 국내 대학도서관의 협력형 디지털참고정보서비스가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필요한 조건 중 가장 근본이 되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그동안 가이드라인이 필요하고 성문화되어야 한다고 지속적으로 논의되어왔지만 아직까지 체계화되지 못한 상황이다. 이를 위해 협력형 디지털참고정보서비스를 제공할 참고사서와 이용자를 대상으로 심층면담 및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국내 상황에 맞는 가이드라인 요소를 파악하고 개발하고자 한다. 본 연구가 제시한 국내 대학도서관의 협력형 디지털참고정보서비스 가이드라인은 향후 서비스 계획 및 운영에 있어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스마트 항로표지 신서비스 성능검증 환경 구축 방안

  • 강동우;오세웅;김영진;한재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06a
    • /
    • pp.48-49
    • /
    • 2022
  • 현재 해양수산부에서 발주하여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에서 주관하여 진행하고 있는 해양 디지털 항로표지 정보 협력 시스템 과제가 진행 중에 있다. 해양 디지털 항로표지 정보 협력 시스템 과제는 실증 센터 구축을 목표 중 하나로 잡고 있으며, 실증 센터 구축을 위해서는 실증센터 구축 이전에 연구개발 결과물을 유사한 환경에서 성능을 검증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해양 디지털 항로표지 정보 협력 시스템 과제는 외부의 정보를 활용할 필요가 있어 정보통신의 측면에서의 보안이 유지되는 공간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보안이 필요한 서비스 설치 공간와 일반사용자가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접근이 가능한 공간을 연결하고, 연결 방법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서비스 개발 기관에서 개발 중인 서비스 코드를 보안 공간으로 전송하여, 시스템 설치 및 SW 품질 테스트 등이 용이한 방안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