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Overview and Analysis of Digital Services in Public Libraries

공공도서관 디지털서비스의 현황분석

  • Published : 2003.03.31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overview of computerization process in Korean public libraries and reviews several problems of digital services through the library homepage. It is pointed out that digital service level is very high in technical quality, but the difference by regional groups in service quality is severe. This study emphasizes that a specialized resource development based on the regional feature be the survival strategy of digital service in public library at the age of internet.

본고는 우리나라 공공도서관 전산화 과정의 현황을 분석하고, 홈페이지를 통한 디지털서비스의 몇 가지 문제점들을 검토하였다. 검토결과 디지털서비스의 기술수준은 매우 우수하지만, 지역간 격차가 심한 것으로 지적되었다. 본고는 지역특성에 근거한 특성화된 자원개발을 인터넷시대 공공도서관 디지털서비스의 생존전략으로 강조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영기. 2002. 도서관을 통한 정보격차해소방안. 제40회 전국도서관대회 주제발표논문집. 한국도서관협회. 379-400.
  2. 김종률 외. 2002. 공공도서관 디지털자료실 구축사업. 문화관광부 도서관박물관과.
  3. 서혜란. 2001. 한국공공도서관의 인터넷서비스:현황과 전망. 정보관리학회지, 18(1):23-39.
  4. 조찬식. 2001. 서울시 공공도서관의 웹페이지 콘텐츠 분석. 한국비블리아, 12(2):105-124.
  5. 차미경. 2001. 인터넷을 활용한 공공도서관 지역봉사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 12(1):157-169.
  6. 한국도서관협회. 1992. 한국도서관통계 1992. 서울:동 협회.
  7. 한국도서관협회. 2002. 한국도서관통계 2002. 서울:동 협회.
  8. 한국 문화관광부. 2002a. 도서관발전종합계획(2003-2011). 문화관광부. [cited 2003. 2. 3]. .
  9. 한국 문화관광부. 2002b. 도서관정보화 전략계획(ISP). 국립중앙도서관. [cited 2003. 2. 10]. .
  10.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2002. 문화기반시설 관리운영평가연구 2002. 문화관광부.
  11. 한국문화정책개발원. 2002. 도서관중장기발전방안연구. 동개발원. [cited 2003. 2. 3]. .
  12. 대구광역시중앙도서관. [cited 2003. 2. 15]. .
  13. 인천광역시화도진도서관. [cited 2003. 2. 17]. .
  14. 강원도 춘천시립도서관. [cited 2003. 2. 17]. .
  15. Chicago Public Library. [cited 2003. 2. 17]. .
  16. L. A. Public Library. [cited 2003. 2. 17]. .
  17. Smith, Allen E. 2002. “Building on sure foundations: the overlooked dimension of national information policies" 68th IFLA council and general conference August 18-24, 2002. [cited 2003. 2. 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