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디젤오염토양

검색결과 86건 처리시간 0.023초

$TiO_2$-MMT를 이용한 디젤오염 철도토양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mediation Method of Diesel-Contaminated Railroad Soil using $TiO_2$-MMT)

  • 양영민;허현수;이재영;이철규;전유미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11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870-2874
    • /
    • 2011
  • Soil pollution around railroad has been occurred mainly by diesel and lubricant oil, which is difficult to treat due to high carbon numbe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feasibility of inorganic-inorganic nanohybrid photo-catalyst for the remediation of diesel-contaminated railroad soil. Generally, the $TiO_2$ nanoparticle easily removes organic pollutants due to photo and natural clay of layer structure. Also, montmorillonite (MMT) have an excellent absorption property with organic component. So, we prepared $TiO_2$ pillared MMT nanohybrid photo-catalyst as a chemical oxidant through the integration of theses advantage. As a result, the removal efficiency of diesel was more than 45% at a laboratory-scale test with diesel concentration and the amount of $TiO_2$-MMT. In future, we will improve the removal efficiency of diesel to optimize experimental parameters and apply the field soil The remediation method using photo-catalyst can be used to clean up the railroad soil polluted with high concentration instead of common methods such as soil washing, bioremediation, etc..

  • PDF

초기농도가 파일럿 규모의 디젤 오염토양 콤포스팅 처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itial Concentration on Pilot-Scale Composting of Diesel-Contaminated Soil)

  • 임재량;박준석;황의영;남궁완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35-41
    • /
    • 200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initial concentration on pilot-scale composting of diesel-con-laminated soil. Sandy soi] was used in this study. Target contaminant, diesel oil, was spiked. at about 10,000, 25,000, and 50,000 mg TPH/kg of dry roil. Mit ratio of soil to sludge was 1:0.5 as wet weight basis. Removal efficiencies for initial concentrations of 12,966,23,894 and 51,042 mg TPH/kg were 90, 93 and 54%, respectively, during 33 days of composting. Normal alkanes in TPH ranged from 15 to 22% in initial soils. Volatilization of individual normal alkane in 1,999 mg n-alkanes/kgwas completed within 4 days, while n-alkane compounds of Cl1-Cl4 in 5,270 and 9,836 mg n-alkanes/kg were volatilized continuously during 33 days of composing operation. The first order degradation rate con-stants for 12,966, 23,894, and 51,042 mg TPH/kg were 0.058, 0.076, and 0.022/day, and those for 1,997 5,270, and 9,836 mg n-alkanes/kg were 0.093, 0.100, and 0.019/day, respectively. Considering TPH removal rate, $CO_2$porduction rate, and dehydrogenase activity, the concentration of 51,042 mg TPH/kg inhibited biodegradation of diesel-composting.

디젤유로 오염된 토양의 NaOH/H$_2$O$_2$ 분해를 이용한 토양세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oil Washing for Diesel-contaminated Soil by using Decomposition of NaOH/H$_2$O$_2$)

  • 황종현;최원준;김민철;정종현;하수호;오광중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0권10호
    • /
    • pp.999-1005
    • /
    • 2008
  • 토양 세척법 중에서 수산화나트륨(NaOH)과 과산화수소(H$_2$O$_2$)를 이용한 토양세척의 주된 반응은 H$_2$O$_2$ 분해시 발생되는 산소기포가 토양에 흡착되어 있는 유류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탈착 부상시킨다. 이로 인한 H$_2$O$_2$의 분해속도를 온도에 따른 반응속도 상수를 통해 증명하고, 운전인자를 최적화하기 위하여 NaOH 및 H$_2$O$_2$의 농도와 세척시간, 고액비(soil-water)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토양세척시 NaOH 수용액상에서 H$_2$O$_2$의 분해속도는 농도에 대해 1차 반응이고, NaOH 0.1 M 이하의 농도에서 반응속도상수 k$_1$은 0.9439 $\times$ exp(-1376.82/RT), 이상의 농도에서 반응속도상수 k$_2$는 17.3588 $\times$ exp(-2320.06/RT)이었다. 아울러, NaOH는 일정농도 이상에서 H$_2$O$_2$ 분해를 촉진시키며, 토양세척 시 최적 NaOH/H$_2$O$_2$ 농도를 반응속도상수를 통해 확인하였다. 또한, 토양세척 시최적조건은 세척시간 15 min, 고액비 1 : 3, NaOH 및 H$_2$O$_2$의 농도는 0.25 M과 0.1 M이 적절하였다.

석유 탈황용 미생물 분리 및 디젤유에 대한 탈황능 평가 (Isolation of Microorganisms for Petroleum Desulfurization and Evaluation of Its Desulfurization Activity for Diesel Oil)

  • 손호용;장제환;장용근;장호남;류희욱;조경숙
    • 청정기술
    • /
    • 제2권1호
    • /
    • pp.53-59
    • /
    • 1996
  • 석유 탈황을 위한 생물 촉매 개발 및 이를 사용하는 생물학적 공정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DBT(Dibenzothiophene)를 모델 화합물로 선정하여, 국내 정유회사 주변의 원유 누출 오염토양으로부터 3 개월간의 연속배양 및 집식배양을 통해 DBT를 효율적으로 탈황, 제거할 수 있는 60 여종의 균주를 분리하였다. 선별된 균들 중 A23-3은 DBT를 유일황원으로 성장 가능하면서, 탄소원으로 hexadecane은 이용하지 못하였으며, DBT와 포도당을 포함한 기본염 최소 배지에서 만족할만한 속도로 DBT를 탈황하였다. 또 yeast extract나 trace metal solution을 첨가한 경우 DBT 제거속도는 약 4.5~6.5 배 정도 증가하였다. 실제의 디젤유를 직접 처리한 경우, DBT 제거속도는 $0.045g\;DBT/g-cell{\cdot}hr$이었다. 특히 이 경우, DBT 이외의 $C_{14}$이상의 heavy aromatic 화합물의 제거도 효율적으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A23-3 균주는 저유황, 저방향족 청정 디젤유 생산에 매우 유용하게 이용되리라 사료된다.

  • PDF

디젤로 오염된 토양에의 펜톤 산화공법 적용을 위한 산화제의 주입비 영향 연구 (Treatment of Diesel-Contaminated Soils by Fenton Oxidation)

  • 임명희;손영규;윤준기;김지형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03-210
    • /
    • 2008
  • The batch tests were performed to determine the ratio of Fenton reagent on diesel contaminated soil. The objective of a column test was to determine and optimize the hydrogen peroxide requirements for the remediation of a soil contaminated with diesel fuel. The batch test were done on 5 g diesel contaminated soil containing hydrogen peroxide (35%) and Iron (II) sulfate. The $H_2O_2(g):Fe^{2+}(g)$ ratio varied 1:0, 30:1, 15:1, 5:1, 1:1, with contact reaction time 120min. Initial diesel concentration were 2,000 mg/kg, 5,000 mg/kg, and 10,000 mg/kg. Average diesel removal from the contaminated soil is 97% after 2hrs.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possible application of without addition of iron source. In column test, treatment of a diesel-contaminated soil (initial diesel concentration: 2,000 mg/kg, 5,000 mg/kg, and 10,000 mg/kg) with hydrogen peroxide (35%) only was containing natural-occurring minerals. The time required for the column test was approximately 90min, 180min, 270min; column length was 5 em, 10 em, and 15 em. The most effective stoichiometry (final diesel cone.: $200{\sim}300mg/kg$) of 0.2 g peroxide consumed/mg diesel degraded. Further investigation is required to identify the effect of soil organic matter and soil mineral.

수도권 지역에서 기상-대기질 모델링을 위한 VOC와 PM2.5의 화학종 분류 및 시간분배계수 산정 (Estimation of Chemical Speciation and Temporal Allocation Factor of VOC and PM2.5 for the Weather-Air Quality Modeling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 문윤섭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36-50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휘발성 유기화합물(VOC)과 먼지(PM)의 배출원 프로파일로부터 화학종 분류를 할당하고, 성김 행렬 조작자 핵심 배출량 시스템(SMOKE) 내에 배출원 분류코드에 따른 배출원 프로파일의 화학종 분류와 시간분배계수를 수정하는 것이다. 기솔린, 디젤 증기, 도장, 세탁, LPG 등과 같은 VOC 배출원 프로파일로부터 화학 종 분류는 탄소 결합 IV (CBIV) 화학 메커니즘과 주 규모 대기오염연구센터 99 (SAPRC99) 화학 메커니즘을 위해 각각 12종과 34종을 포함한다. 또한 토양, 도로먼지, 가솔린, 디젤차, 산업기원, 도시 소각장, 탄 연소 발전소, 생체 연소, 해안 등과 같은 PM2.5 배출원 프로파일로부터 화학종 분류는 미세 먼지, 유기탄소, 원소 탄소, 질산염과 황산염의 5종으로 할당하였다. 게다가 점 및 선 배출원의 시간 프로파일은 2007년 수도권 지역에서의 굴뚝 원격감시시스템(TMS)과 시간별 교통 흐름 자료로부터 구하였다. 특별히 점 배출원에 있어 오존 모델링을 위한 시간분배계수는 굴뚝 원격감시시스템 자료의 $NO_X$ 배출량 인벤토리에 근거하여 추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