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디자인 표준화 방법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24초

크로스레이어 디자인에서 사이드 인포메이션을 활용한 채널 추정 및 예측 (Channel Estimation and Prediction in Cross-Layer Design Using Side-information)

  • 조용주;차지훈;김욱중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797-800
    • /
    • 2011
  • MPEG에서 진행 중인 MPEG Media Transport(MMT) 표준화는 IP기반 방송통신융합망에서 효과적인 멀티미디어 전송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고에서는 MMT 제안 기술로서, 유선망에 비해 채널의 변화가 많은 무선망에서 효과적인 멀티미디어 전송을 위해 제안된 크로스레이어 디자인(Cross Layer Design-CLD)에서의 신호세기(signal strength information) 활용 방법을 소개한다. 무선환경에서 신호세기를 활용하면 매우 효율적인 멀티미디어 전송이 가능함은 관련 연구 논문[1]-[5]을 통해 증명되었다. 하지만, 무선채널의 특성상 서로 다른 신호세기의 범위를 사용함으로써 신호세기 정보의 유용성에도 불구하고 레이트 어댑테이션 애플리케이션에서 활용하는데 제한이 있어왔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MMT 표준화 기술 기고로 제안된 무선채널 신호세기 정보의 범위를 표준화된 형식으로 활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기술한다.

웹 기반 시스템의 개발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및 웹 서버 구축 (A Study of Development Process for Web-Based System and Web Server Construction)

  • 김만중;박만곤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상)
    • /
    • pp.16-21
    • /
    • 2002
  • 현재의 웹은 신문, 잡지, 책 등의 온라인 출판뿐 아니라, 전자상거래, 금융, 가상 공동체, 마케팅, 광고 둥의 다양한 분야에서 실생활과 밀접하고, 기업에서도 웹 사이트가 제품 홍보 뿐 아니라 제품의 판매, 마케팅 등 매출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웹 사이트의 규모가 커지고 복잡해져감에 따라서 소수의 웹 디자이너들이 웹 사이트를 개발했던 것에서 개발에 필요한 인력과 그 역할을 나누게 되었고, 다른 제품처럼 납기를 위한 일정 관리가 필요하게 되었다. 그동안 웹 사이트 개발에 있어서 일련의 과정들에 대한 정형화되고 표준화된 작업 방법을 별로 적용하지는 않았다. 소프트웨어 공학을 그대로 웹 사이트 개발에 적용할 수는 없지만, 점차 웹 사이트가 소프트웨어 처럼 되어 가고 있고, 현재 웹 사이트 개발에 있어서 필요한 표준 개발 방법론이나 프로젝트 관리 둥을 소프트웨어 공학에서 적용시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웹 사이트 개발에 있어서 더 나은 생산성과 품질을 얻기 위해 기획, 설계, 개발, 그래픽 디자인, 정보 설계, 컨텐츠, 테스트, 유지보수 등의 일련의 과정들을 프로세스화 하고, 구조적으로 접근하는 방법을 소프트웨어 공학의 표준 개발 방법론이나 프로젝트 관리, 품질관리 등에 관한 연구와, 실제로 이러한 방법론을 적용한 웹 서버을 구축하였다.

  • PDF

네트워크를 이용한 셀프디자인 시스템에 관한 연구 - 로고디자인을 중심으로 (Self-Design Producing System and Method for Logo Design Using Network)

  • 박진숙
    • 디자인학연구
    • /
    • 제14권1호
    • /
    • pp.187-197
    • /
    • 2001
  • 본 연구는 인터넷을 이용한 셀프디자인 방법으로서의 로고디자인에 대한 개발과정과 특징 및 문제점을 살펴본다. 로고디자인 서비스는 새로이 창업하는 기업들에게 기업과 제품의 시각적 이미지를 체계적으로 확립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창업기업의 가치를 높이고 사업의 성공가능성을 제고한다. 또한 기업 이미지디자인을 대중화함으로써 넓은 의미의 아이덴티티 디자인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이를 디자인분야 전반으로 파급시켜 기업가치 창출에 기여한다. 온라인 디자인 서비스는 다양한 기업과 제품을 대상으로 독창적인 로고마크를 온라인으로 판매하여야 하므로 표준화와 맞춤화를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풍부한 디자인 Database를 업종과 이미지특성에 따라 분류하여 수요자가 업종과 원하는 이미지특성을 입력하면 그에 맞는 로고가 조합되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온라인 상에서의 셀프디자인 서비스는 디자인 공급자와 수요자가 만날 수 있는 온라인시장을 제공함으로써 공급자는 판매비용과 디자인제작원가를 절감하여 저가격 고품질의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으며 수요자는 경제적인 비용으로 고품질의 다양한 디자인을 온라인으로 접근함으로써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고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PDF

디자인의 전유 행위에 대한 고찰 (Consideration over Appropriation Activity of Design)

  • 김양호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9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993-997
    • /
    • 2009
  • 모더니즘 시대의 디자인은 효율성과 기능성을 중심으로 사물과 기기의 표준화를 목표로 제작되었으며 생산보다 소비가 많았던 산업 시대에서 디자인 수용자의 의지는 소비의 대상으로서의 역할에 한정되어졌다. 그러나 포스트모더니즘 시대 이후 디지털 환경에서 디자인 수용자는 단지 주어진 것만을 수동적으로 수용하지 않고 적극적인 개입을 하고 능동적인 관리를 할 수 있도록 변화됨으로 디자인 수용과정에 우상화, 관여, 조율, 조작, 흉내 등의 전유행위를 수반하게 된다. 앞으로의 디자인은 전문가들만이 생성하고 관리하는 체계에서 벗어나 수용자들과 함께 협업하는 상황으로 변화되고, 수용자의 다양한 전유 형태는 디자인 생산물을 둘러싼 제작 방법, 배포 행위 등의 디자인 제반 환경을 변동시킬 것이다. 이에 디자인 수용자들의 전유 행위를 동일화, 해체화, 재의미화 등으로 구분하여 고찰함으로써 제작자와 수용자간의 원활한 인식을 통해 획일화, 구조화에 저항하는 수용자들의 문화 환경 변화를 읽어 효과적인 디자인 제작 행위를 유도하고자 한다.

  • PDF

픽토그램 읽기와 국제표준화 (A Study on Seeing Mechanism of Decoding Pictograms and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 박진숙
    • 디자인학연구
    • /
    • 제18권2호
    • /
    • pp.345-354
    • /
    • 2005
  • 20세기부터 교통과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국제적인 교류가 더욱 활발해지면서 각국에서 사용하는 픽토그램의 국제표준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하지만 근원적으로 서로 다른 배경과 문화를 가진 국가간의 합의를 이루어낸다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기 때문에 국제표준화기구에서는 1947년 설립 이래 국제표준(ISO)을 제정하는 기준과 절차에 대한 논의가 끊임없이 되풀이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ISO 9186이라는 그래픽 심볼의 평가방법은 그 절차가 까다롭고 비용이 많이 드는데 비해 기호를 읽고 해석하는 경험세계의 본질적인 변수를 반영하고 있지 못하기 때문에 점점 회원국의 호응을 잃어가고 있다. 본 연구는 그래픽 기호와 지각메카니즘에 대하여 그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고 네트 문화의 시대를 살고 있는 우리에게 과연 문화적 차이는 존재하는지 디지털 미학의 관점에서 현실세계의 사물이 갖고 있는 리얼리티는 어떻게 해석되는지를 고찰한다. 3장에서는 국제표준화 절차와 기준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지각메커니즘에 의한 그래픽기호의 전달과정이론에 바탕을 둔 픽토그램의 국제표준화는 어떻게 이루어져야하는지 또한 반드시 고려되어야할 사항은 무엇인지에 대해서 연구한다.

  • PDF

음료용기의 사용자 만족도 조사 연구 - Cap이 달린 유리 및 PET용기를 중심으로 - (Evaluation of User Satisfaction for Drink Bottle)

  • 김상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6권11호
    • /
    • pp.172-181
    • /
    • 2006
  • 유니버설디자인은 사물을 관찰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일상에서 무심코 사용하고 있는 음료용기를 통해 지금까지 발견할 수 없었던 모순이나 불합리성을 인식하고 유니버설디자인을 실천하기 위하여 문제점 도출과 방법에 대하여 사례를 통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최근 음료용기에 대한사용자는 어린이와 노인, 여성과 남성, 일반인과 장애인 등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제품들과 마찬가지로 음료용기의 설계는 건강하고 평범한 남자를 기준으로 표준화되어 있어 그 기준에 못 미치는 사람 즉, 어린이나 장애인은 Cap을 열 수 없거나 외부의 도움 없이는 마실 수 없는 상황에 처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에 착목하여 유니버설 디자인의 관점에서 음료용기를 대상으로 어린이에서부터 고령자에 이르기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는 문제점에 대한 정량과 정성적 평가를 하였으며 정량적으로는 설문지 결과를 토대로 빈도분석, 카이스퀘어 검증($X^2$)을 활용하였고 정성적으로는 선행연구결과 자료를 통하여 유니버설디자인 원칙에서 결과를 지적하였다, 그 대안으로써는 음료용기 디자인을 하기 위하여 유니버설디자인의 방법을 개념적 접근에서 사례를 통하여 제시하였다.

  • PDF

비즈니스 프로세스 타당성 검증 기법 (Validation Checking Mechanisms of Business Processes)

  • 설주영;박정업;김학수;신영재;장진근;박찬희;김태인;손진현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6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3 No.2 (C)
    • /
    • pp.1-5
    • /
    • 2006
  • 과거에 비해 최근에 비즈니스 프로세스가 다양해지고 복잡해짐에 따라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디자인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그로인해 비즈니스 프로세스 검증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지만 많은 검증 방법이 제안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한편, 최근 BPMI에서 주도하는 BPMN(Business Process Modeling Notation)은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위한 표준화된 그래픽 표기법으로써 BPMN을 지원하는 디자인 툴을 이용하면 다양하고 복잡한 프로세스 환경을 일반화된 형태로 디자인하고 분석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BPMN으로 디자인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들을 효율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몇 가지 검증기법을 제시한다. 이로 인해 비즈니스 프로세스 실행 시 발생할 수 있 문제점들을 효율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몇 가지 검증기법을 제시한다. 이로 인해 비즈니스 프로세스 실행시 발생할 수 있는 에러들을 사전에 검증하여 예기치 못한 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 PDF

컨트롤 흐름 경로 기반의 비즈니스 프로세스 타당성 검증 기법 (Verification Checking Mechanisms of Business Processes based on Control Flow Path)

  • 김학수;박찬희;설주영;손진현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4D권5호
    • /
    • pp.531-544
    • /
    • 2007
  • 과거에 비해 최근에는 비즈니스 프로세스가 복잡해짐에 따라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디자인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비즈니스 프로세스 검증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지만 많은 검증 방법이 제안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한편, 최근 BPMI에서 주도하는 BPMN은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위한 표준화된 그래픽 표기법으로써 BPMN을 지원하는 디자인 툴을 이용하면 다양하고 복잡한 프로세스 환경을 쉽게 디자인하고 분석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BPMN으로 디자인할 때 발생한 수 있는 문제점들을 효율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몇 가지 검증기법을 제시한다. 이로 인해 비즈니스 프로세스 실행 시 발생할 수 있는 에러들을 사전에 검증하여 예기치 못한 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UX/UI 아이콘 디자인 요소로서 특수 문자 체계 연구 (A Study on the Special Characters as UX/UI Icon Design Elements)

  • 송재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5호
    • /
    • pp.397-405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UX/UI 디자인에서 아이콘 요소로 활용되고 있는 특수 문자의 체계를 정리하여, 명확하지 않은 사용 규정에 대한 개선 방향의 근거를 마련하는 것이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방법으로 UX/UI 디자인과 특수 문자의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고, 특수 문자와 UX/UI 디자인의 연관성 및 당위 과제를 발견하였다. 그리고 사례연구로 기업의 UX/UI 아이콘 디자인 가이드라인에서 활용되고 있는 특수 문자의 체계를 정리하여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UX/UI에서 활용되고 있는 특수 문자 종류는 도형 문자, 수학 기호, 문장 부호, 괄호였다. 그리고 분석사례에서 공통으로 빈번하게 사용되는 특수 문자는 ▶, ♥, ★, ○, ⊙, +, ×, ⋯ 였고, 이에 대한 사용 체계를 정리하여 표준화 근거 자료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가 특수문자 체계화에 관한 연구의 관심도를 높이는 데 기여하고, 향후 기준의 틀을 마련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OLED 조명의 국내외 표준화 현황 (Current Status of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for OLED Lighiting)

  • 조두희;이정익;추혜용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27권1호
    • /
    • pp.113-121
    • /
    • 2012
  • OLED는 두 개의 전극 사이에 유기물층을 배열하고 전계를 가하여 주입된 전자와 정공이 유기물 내에서 재결합하여 형성되는 여기자가 기저상태로 떨어지면서 빛을 내는 소자이다. 최근 OSRAM, Philips, LG화학, Panasonic 등의 기업에서 매우 우수한 특성을 보이는 OLED 패널 광원을 발표하고 있어 가까운 장래에 예전에 볼 수 없던 디자인의 OLED 조명이 일반조명 시장에 나올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표준화 활동도 활발해지고 있다. OLED 조명은 기존 조명과 형태 및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기존 조명의 규격 사항을 그대로 적용할 수 없으며, 새로운 OLED 조명 표준 제정은 필수이다. 또한 국제표준화기구의 인증 마크의 유무는 자사 제품의 우수성과 안전성을 홍보하는 수단이고 해외로 진출하기 위해서는 해외의 주요 인증 획득이 필수적인 요소이므로 올바른 OLED 조명 표준 제정과 시험 방법 정립을 통하여 OLED 조명 제품의 국내외 신뢰를 확보하는 데 노력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