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디자인 평가 요소

Search Result 541,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 Study of Evaluation Index Development of Healthcare Rehabilitation Device Design (헬스케어 재활훈련기 디자인 평가 요소 개발에 관한 연구)

  • Cho, Jae Sang;Kwon, Tae Kyu;Hong, Jung Pyo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7 no.3
    • /
    • pp.129-142
    • /
    • 2014
  • Due to the increase of the aged population and population of the disabled today,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rehabilitation medical instruments. Furthermore,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evaluation indices for services that should be provided for uses of the rehabilitation medical instruments. In order to evaluate rehabilitation medical instrument designs in this study, the basic index for design evaluations shall be identified to search for assessment plans. Through this, new evaluation indices will be deduced through discussions and analysis of rehabilitation medical experts, biomedical engineers, and design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xisting design evaluation indic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o construct 10 rehabilitation medical instrument design evaluation indices and 44 sub-evaluation items. These will be important evaluation standards for designing rehabilitation medical instruments in the future. Second, the design evaluation indices that must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developing health care rehabilitation medical instruments are the 10 design evaluation indices of usability, cognition, safety, learning, motility, durability, economic feasibility, space, aesthetics and environmental aspects. Third, design evaluation indices of environment, space, cognition, usability, economic feasibility and aesthetics are indices that must be taken into consideration for product design, while learning, safety, motility and durability are factors that must be given special consideration for rehabilitation medical instrument design evaluation indices. Fourth, if existing product design evaluation indices placed importance on environment, space, cognition, usability, economic feasibility and aesthetics of products for design evaluation indices, rehabilitation medical instrument design evaluation indices placed importance on learning, safety, motility and durability on top of usability and economic feasibility, which ar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design evaluation indices of rehabilitation medical instrument and other product designs. The 10 rehabilitation medical device design evaluation indices and 44 sub-evaluation items were carried out in this study. This research is only on the overall rehabilitation medical device design evaluation indices. In future research, the evaluation indices will be applied in the actual rehabilitation medical design device through production of prototypes, while making revisions and supplementations where necessary.

A Study on Correlation between Bidding Price Design Emotive Factors in Web-based Sales Auction (Web-based Sales Auction시 입찰가와 디자인 감성 요소와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 이은종;권오병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0.04a
    • /
    • pp.400-406
    • /
    • 2000
  • 인터넷 비즈니스의 가장 성공적인 모델로 평가받고 있는 경매사이트에 대한 감성적이고 정보디자인적인 평가를 통해 감성적 디자인 요소가 입찰 가격에 미치는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입찰가격에 디자인 요소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모델을 살펴보고 경매사이트에 대한 감성적 디자인 속성을 정의하여 정보디자인 속성 매트릭스를 제작하였다. 또한 여러 가지 평가속성을 선정하고 이를 평가하여 입찰가에 미치는 감성적 디자인 요소와의 관계를 밝혔다.

  • PDF

소비자 감성에 기초한 경기용 여자 수영복 디자인 기획의 제시

  • Lee, Ju-Hyeon;Jang, Jin-Hui
    • Journal of Global Scholars of Marketing Science
    • /
    • v.2
    • /
    • pp.183-202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1) 경기용 여자 수영복의 디자인을 분석하여 대표적인 디자인 요소를 도출하고 2) 경기용 여자 수영복 디자인에 대한 소비자의 감성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한 디자인 기획의 지침을 제시하며 3) 디자인기획의 지침을 토대로 하여 합리적인 경기용 여자 수영복 디자인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수행하기 위하여 오미겐타로의 디자인평가인자 이론을 개념적 모형으로 하여 경기용 여자 수영복의 이미지를 20개의 디자인 세부요소로 분해하여 디자인 특징을 기술하는 디자인 요소 분석 체계를 구성하였으며,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하여 디자인 요소 분석 체계를 보완하고 개발하였다. 경기용 여자 수영복디자인에 대한 소비자의 감성의 주요 하위 차원으로는 참신함, 발랄함, 심플함, 강함 차원 등이 도출되었다. 또한 경기용 여자 수영복의 디자인 세부 요소들 중 로고와 색체에 관련된 디자인 세부 요소들은 선에 관련된 디자인 세부 요소들보다 감성에 더욱 지배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결과는 기존의 스포츠 마케팅에서 로고를 중요한 수단으로 활용해온 것은 타당함을 의미하였으며, 경기용 여자 수영복 디자인 기획에서는 로고 뿐 아니라 색채도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함을 시사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의미 있는 감성 효과를 나타낸 디자인 세부 요소들은, 스포츠마케팅 및 디자인 마케팅 분야에서 경기용 수영복 디자인 제품에 대한 체계적인 소비자 평가 기준으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Evaluating design elements of Mobile devices with QWERTY keypad to guarantee physical and cognitive usability (물리적/인지적 사용성을 고려한 모바일 기기 QWERTY 키패드 디자인 고려 요소)

  • Song, Chi-Won;Lim, Min-Taik;Kim, Hu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b
    • /
    • pp.333-338
    • /
    • 2007
  • 모바일 기기의 디자인은 제약적인 물리적 조건하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자는 제품을 손으로 만지는 순간부터 제품 혹은 디자인의 물리적 사용성을 평가하게 된다. 근래 사용자들이 모바일를 장시간, 밀착해서 소지/사용하는 행태를 볼 때, 사용 초기에는 물리적 사용성 위주로 제품 사용성을 평가하고 이런 평가 결과는 사용 후반 까지 영향을 미친다. 이런 물리적 사용성에 관해서는 전 연구를 통해 제품 제품 개발 과정에서 모바일 기기의 물리적 사용성 문제 (PUI)가 발생하는 영역과 특성을 정의하였다. 또한, 물리적 사용성 문제가 개발 과정상에서 체크되고 개선 / 반영 하기 위한 하였다. 본 사례 연구에서는 QWERTY 키 패드 모바일 기기를 디자인 하기 위해 물리적 사용성 고려 요소를 평가 하고, 사용자의 인지적 사용성에도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 요소를 평가하는 과정을 소개한다. 제품 디자인 전제 벤치마킹/ 컨셉 회의는 의례적으로 이루어 지지만, 사용성 관점에서 디자인시 고려할 요소를 평가하는 과정을 논의하고자 한다. 본 사례 연구 결과 본 연구를 통해 사용자가 느끼는 컨텐츠 만족도를 제외한 모바일 기기의 만족도는 다분히 물리적 사용성 부분에 존재하며 제품 디자인시 물리적 사용성 고려 요소를 조사하고 반영해야 한다는 필수성을 증명하고 있다.

  • PDF

An Empirical Study on the Contextual Features of the Program Components during the Process of Social Work Program Design in the Social Service Agencies (사회복지 프로그램 구성요소개발활동의 실태 및 구성요소의 동질적인 범주성에 대한 실증적 연구 : 3단계 디자인 활동 중심으로)

  • Seo, In Hae;Kong, Gye Soon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 /
    • v.44 no.3
    • /
    • pp.237-269
    • /
    • 2013
  • The purposes of the study are to describe the feature of the program components, and to identify their changes in the process of designing the social work programs in the community service agencies in Korea. In order to achieve these purposes, the researchers constructed an analytical framework including 24 program components derived from the related literatures. Data was collected by questionnaires answered by the social workers who were in charge of the program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were applied to exam the features of the program components in 195 social service programs developed by the funds from the Community Chest of Korea and a private funding foundation.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the three noticeable features are found; (1) the agencies have very actively involved in the designing work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practice guideline, however they have less involved in the designing work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program; (2) program components which are low level in design activities are intervention models, staff education, and practical ethics; (3) 8 categories of components derived from the theoretical perspective are reduced to 6 categories in the process for developing practice guidelines, finally to 4 categories in the process for implementing the programs. The implications of major findings were discussed in academic and practical perspectives in Korea, including future research works in the area.

Evaluation Method for the Creativity Elements and Emotional design (창의성요소와 감성디자인의 평가방법 관계에 대한 연구)

  • Lee, Sung-Pil;Hong, Jung-Pyo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3 no.1
    • /
    • pp.259-268
    • /
    • 2010
  • This modern society is said to be more typical of an emotional society. In such a society, emotional design adds value to products, hence bringing about value-enhanced products. Despite many claims of little substance about emotional design, there have been only a few researches that have identified what criteria to be applied to distinguish between emotional products and generic products or even have clearly defined what emotional products are. This leads to a clear need for providing more definite criteria for defining and classifying design elements useful and available for users. To fill the ga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rst,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evaluation elements for creative design and emotional design, and, based on that, identify some of the most importantly valued elements, and secondly, to examine how the images importantly used for expression relate to creativity evaluation elements according to classified types of design. In this study, chosen products were presented to selected users so that they can choose what they think possesses emotional design elements. Then the products so chosen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design type for examination of their respective relationship with creativity evaluation elements. In addition, the identification was performed of perceived design images about the selected product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ose images and creativity evaluation elements.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a chance to be aware of the fact that essential creativity evaluation elements can vary depending on changing times, environments, and users, and as well, to offer an insight into what images design should be possessive of for it to be preferred by consumers.

  • PDF

Affective Scale for Textile Image (직물 디자인 강성 이미지 스케일(image scale))

  • 박수진;장준익;정찬섭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8.11a
    • /
    • pp.218-224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직물 디자인과 관련된 감성 어휘 모형과 디자인 요소 분석 체계를 통합하여 직물 디자인 감성 이미지 스케일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3차원으로 구성되었던 감성 어휘 모형을 수정하여 2차원-범주 모형으로 만들고 디자인 요소 분석 체계를 이용하여 개별 직물 표본에 대한 디자인 평가가 선행되었다. 두 체계를 토대로 33개의 직물 표본에 대해 76개의 감성 어휘를 사용한 감성 조사가 실시되었다. 직물관련 감성 평가시 개별 감성 어휘를 모두 비교, 판단하는 경우 생길 수 있는 과제의 어려움을 줄이고자 범주 평가 후 범주 내 개별 어휘를 평가하는 방식을 취했다. 설문을 연령대가 다른 일반인과 전문가에게 실시되었으며 설문 결과를 토대로 직물 표본을 2차원-범주 모형에 분포시키고 필수적인 디자인 요소에 대해 확인하였다.

  • PDF

Shape Schema representation for Evaluation of Aesthetic value on Shape (형태에 있어서 미학 특성의 평가를 위한 스키마 표현과 방법론의 이론적 고찰)

  • 차명열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6 no.2
    • /
    • pp.141-150
    • /
    • 2003
  • In estimating designed architectural buildings, many factors in various design domains such as function, structure, form, environment may be considered and then a building design might be selected or modified as final design. This paper proposed a method to obtain complexity values from two dimensional drawings which are floor plans or elevations. The method has been developed based on information theory, shape pattern representation and cognitive theory. Results of measuring complexity value can make the computer evaluate and select final results produced from automatic design processes by the computer That is to say, aesthetic values based on order and chaos can be measured using complexity values and then some results having superior values can be selected as final result.

  • PDF

Development of a Design Factor Matrix for Internet EC Interfaces (인터넷 전자상거래 인터페이스의 디자인평가체계에 관한 연구)

  • 박형근;임춘성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9.11a
    • /
    • pp.60-66
    • /
    • 1999
  • 최근 쇼핑몰을 통한 소비자 대상의 전자상거래가 확산되고 있으며, 많은 연구들이 쇼핑몰의 성공요인에 대해 다루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들이 주로 기술 및 마케팅 측면을 강조하고 있으며, 쇼핑몰 사용의 주체인 사용자를 다룬 연구는 그리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쇼핑몰과 사용자간의 상호작용을 대상으로 하여 사용자의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킴으로써 효과적인 전자상거래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디자인평가체계를 개발하였다. 디자인평가체계는 쇼핑몰과 사용자간의 상호작용을 다룬 4가지 영역의 디자인 요소와 디자인 요소들을 평가하기 위한 5가지의 평가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쇼핑몰의 개발자나 연구자들은 쇼핑몰 구축 및 관련 연구 수행시에 보다 효과적인 쇼핑몰을 디자인하고 적절한 연구방향을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Analyzing evaluation factors of multimedia interface design -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multimedia interface design (2)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평가 요소 분석 -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평가에 관한 연구 (2))

  • 이지수;임창영;권은숙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1 no.1
    • /
    • pp.153-160
    • /
    • 1998
  • User, contents exchanged between user and computer system, and media are axes among the vanous factors related to multimedia interface. The points of contact resulted by three mam factors bring many design problems. User factor is most important among and its cognitive constraints become mam design principle for multi-modality features of multimedia. Because media could be understoo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level of information delivery, it is necessary that various characteristics and representation mode of media are clarified. This thesis develops design evaluation process that tells multimedia interface as a entity integrated with contents, media, and representation elements and assesses its sub elements whether they are correspond with design principa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