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디자인 평가

Search Result 1,995, Processing Time 0.048 seconds

A Development of a Design Prototype of Wearable Computer For a Daily Life-based Application (실생활 응용서비스를 위한 웨어러블 컴퓨터의 디자인 프로토타입의 개발)

  • 양은실;조현이;이주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3.05a
    • /
    • pp.141-147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사용성과 평가에 기초하여 사용성과 착용성 평가에 기초하여 웨어러블 컴퓨터의 디자인 프로토타입을 개발하는 것으로서, 실증적 자료를 토대로 하여 웨어러블 컴퓨터의 디자인 적합성 및 물리적 인터페이스 속성을 개선하는데 목표를 두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하여 웨어러블 컴퓨터에 디자인 시안 1종을 실물로 제작하고 컴퓨팅에 능숙한 일반 사용자 10명과 택배직에 종사하는 전문 사용자10명을 대상으로 디자인 시안을 사용하게 한 후, 디자인 시안의 사용성과 착용성을 평가하기 위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도출된 문제점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외관’, ‘관리의 용이성’, ‘컴퓨팅 기기 위치의 적절성’, ‘와이어 경로의 적절성’, ‘조작의 용이성’, ‘위험성’, ‘유용성’, ‘인지적 변화’, 의 9가지 항목별로 정성적, 정량적 분석결과를 도출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디자인 시안의 세부적인 디자인 수정안을 도출하였으며, 사용성과 착용성 평가를 바탕으로 한 현재의 기술을 통해 구현 가능한 웨어러블 컴퓨터의 디자인 프로토타입의 기본형을 그래픽 시뮬레이션으로 제시하였다.

  • PDF

A Study of Evaluation Index Development of Healthcare Rehabilitation Device Design (헬스케어 재활훈련기 디자인 평가 요소 개발에 관한 연구)

  • Cho, Jae Sang;Kwon, Tae Kyu;Hong, Jung Pyo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7 no.3
    • /
    • pp.129-142
    • /
    • 2014
  • Due to the increase of the aged population and population of the disabled today,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rehabilitation medical instruments. Furthermore,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evaluation indices for services that should be provided for uses of the rehabilitation medical instruments. In order to evaluate rehabilitation medical instrument designs in this study, the basic index for design evaluations shall be identified to search for assessment plans. Through this, new evaluation indices will be deduced through discussions and analysis of rehabilitation medical experts, biomedical engineers, and design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xisting design evaluation indic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o construct 10 rehabilitation medical instrument design evaluation indices and 44 sub-evaluation items. These will be important evaluation standards for designing rehabilitation medical instruments in the future. Second, the design evaluation indices that must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developing health care rehabilitation medical instruments are the 10 design evaluation indices of usability, cognition, safety, learning, motility, durability, economic feasibility, space, aesthetics and environmental aspects. Third, design evaluation indices of environment, space, cognition, usability, economic feasibility and aesthetics are indices that must be taken into consideration for product design, while learning, safety, motility and durability are factors that must be given special consideration for rehabilitation medical instrument design evaluation indices. Fourth, if existing product design evaluation indices placed importance on environment, space, cognition, usability, economic feasibility and aesthetics of products for design evaluation indices, rehabilitation medical instrument design evaluation indices placed importance on learning, safety, motility and durability on top of usability and economic feasibility, which ar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design evaluation indices of rehabilitation medical instrument and other product designs. The 10 rehabilitation medical device design evaluation indices and 44 sub-evaluation items were carried out in this study. This research is only on the overall rehabilitation medical device design evaluation indices. In future research, the evaluation indices will be applied in the actual rehabilitation medical design device through production of prototypes, while making revisions and supplementations where necessary.

A study on the Interface Evaluation Guidelines for Integrated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통합정보검색시스템의 인터페이스 평가지표에 관한 연구)

  • Lee, Too-Young;Yoon, Dae-J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20 no.3
    • /
    • pp.177-197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subject and standards of evaluation on integrated IR interface. For this study, we studied the preceding research about major IR interface models. We took the survey for interface elements which were verified by experts. These interface elements are divided twe viewpoints. One is the cognitive viewpoints which are the page design, content design, site design, output form, usability and aesthelic facet. The other is the objective viewpoints which are page design, dontent design, site design, output for and usability. We found that these evaluation elements have a crediblilty.

Fuzzy-Weighted Evaluation Method of Product Design (제품디자인의 퍼지가중평가방법 개발)

  • 정광태;박재희;김명석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3 no.1
    • /
    • pp.131-138
    • /
    • 2000
  • The evaluation of desig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steps in design process. However, because in most cases, design evaluation has been disregarded in comparison with other steps and has been performed by designer's subjective judgment. there are few studies for the development of systematic methodology. In this study, we developed the method of design evaluation using the fuzzy theory and the multi-criteria dedsion making model. This method consists of two steps. The first step is to obtain relative importance weights of design evaluation criteria, and the second step is to obtain and integrate scores for design evaluation criteria.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and fuzzy theory were applied to the first and the second step, respectively. We applied the developed method to the sensible evaluation of cellular phone design. As the result, we verified that the developed method could be effectively used in the evaluation of product design.

  • PDF

인터넷을 통한 사용성 테스트의 원거리 데이터 수집 시스템에 관한 연구

  • 이상화;이건표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8.04a
    • /
    • pp.76-80
    • /
    • 1998
  • 디자인 개발시 사용자 참여의 중요성이 날로 증가하고 있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그중 사용성 평가에 서의 사용자의 참여는 비교적 활발한 상태이다. 하지만, 현재 기본적으로 행해지고 있는 렙에서의 사용 성 평가는 여러 가지 면에서 극히 제한적이며 비용이 많이 들고, 시간 또한 많이 소비된다. 또한 이러 한 평가는 광범위한 데이터의 수집과 빠른 피드백을 얻는 데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우리가 사용성 평가에서 필요로 하는 것은 빠르고 정확한 피드백을 광범위하게 수집하여 디자인에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 개발에 있어 앞에서 설명한 빠르고 광범위한 사용자의 피드백을 얻기위한 방법으로 인터넷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직접적인 참여-사용성 평가 등-가 가능하게 되었다는 것에 초점을 맞추었다. 사용성 평가를 위한 프로토 타이핑과 사용자의 문화적 배경과 성향을 가늠할 수 있는 질문들을 인터넷의 홈페이지에 올려 각각의 서로 다른 문화권에 속해 있는 사용자들이 제품 디자인 개발 과정에서 되는 사용자의 테스트 데이터를 원격 수집하여 디자인 평가/개발에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시하여 디자인 프로 세스에서의 사용자의 참여를 극대화 시킨다. 이렇게함으로써 상당한 분량의 상용성 평가를 단시간에 시행 하는 것이 가능하며 서로 다른 문화권에 속해있는 사용자의 관념적 특성과 사용형태의 현상적 특성을 밝히 고 이들간의 관계를 연계 분석하여 데이터의 질적인 향상또한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UX Design Evaluation and its Approach to Mobile Applications for Smart Appliances (스마트 애플리케이션 UX 디자인 평가 접근 방법)

  • You, Si Cheon;Choi, Jinyoung;Sim, Mihee
    • Smart Media Journal
    • /
    • v.8 no.3
    • /
    • pp.70-79
    • /
    • 2019
  • Implementing UX design that meets user expectations has become an important variable that determines the prominence of smart home appliances. This study addresses the UX design evaluation issues in mobile application development of smart home appliances. As an experimental research subject, the UX design evaluation contents were set up for the mobile application of , the demand of which is surging recently.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explore the significance of the UX design user evaluation method in smart home applications, and to suggest how to achieve the mixing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valuation method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e found that user evaluation can positively impact the direction of UX design. Secondly, we found that the mixing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works complementarily to UX design evaluation. Research implications are as follows. The UX design evaluation process can be performed efficiently as long as we distinguish between the roles of quantitative evaluation and qualitative evaluation. For example, through qualitative evaluation such as 'Honeycomb model', can be identified in terms of 'exploratory', and through qualitative evaluation such as 'in-depth user interview', can be identified in terms of 'assessment' and 'validation'.

A Study on Correlation between Bidding Price Design Emotive Factors in Web-based Sales Auction (Web-based Sales Auction시 입찰가와 디자인 감성 요소와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 이은종;권오병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0.04a
    • /
    • pp.400-406
    • /
    • 2000
  • 인터넷 비즈니스의 가장 성공적인 모델로 평가받고 있는 경매사이트에 대한 감성적이고 정보디자인적인 평가를 통해 감성적 디자인 요소가 입찰 가격에 미치는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입찰가격에 디자인 요소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모델을 살펴보고 경매사이트에 대한 감성적 디자인 속성을 정의하여 정보디자인 속성 매트릭스를 제작하였다. 또한 여러 가지 평가속성을 선정하고 이를 평가하여 입찰가에 미치는 감성적 디자인 요소와의 관계를 밝혔다.

  • PDF

Analysis of Preferred Seat Design for Train (열차용 시트의 선호외형 디자인 특성 분석)

  • 박세진;이현영;한상찬;김지현;구재광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2 no.2
    • /
    • pp.11-16
    • /
    • 1999
  • 본 연구는 한국인들이 선호하는 열차용 시트 디자인에 대한 감성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실제 디자인으로 구체화하고자 실시되었다. 시트 디자인의 감성평가를 위해 형용사들을 추출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한국인들이 기대하는 열차용 시트 디자인의 감성특성을 조사하였다. 여기서 추출된 감성특성을 실제 디자인으로 보다 쉽고 구체화시키기 위하여, 특징적인 시트 디자인들을 시각적인 그림으로 제시하고, 각각에 대한 감성특성 및 선호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하여 선호되는 시트 디자인의 감성특성과 이러한 감성특성과 관련을 가지는 실제 디자인 특징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새로운 시트들을 디자인하여 2차 디자인 평가를 실시하였고, 가장 선호되었던 디자인을 최종 디자인 대안으로 결정하였다.

  • PDF

Usability test about immersion in the Augmented Reality based Product Design (증강현실 기반 제품 디자인에서의 몰입감에 대한 사용성 평가)

  • Ha, Tae-Jin;Chang, Yoon-Je;Woo, Woon-Tack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b
    • /
    • pp.118-123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증강현실 기반 제품 디자인 시, 논문 [1]에서 제안된 몰입감 향상 기법들에 대한 사용성 평가를 통해, 사용자에게 다차원 피드백(multimodal feedback)을 제공하는 것이 몰입감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알아본다. 우선 기존의 데스크톱 기반의 디자인 환경과 다차원 피드백을 가능하게 하는 증강현실 기반 디자인 환경과의 비교 후, 시각 피드백에 대한 사용성 평가로써 증강된 가상객체에 의해 가려진 손을 다시 보이게 함으로 얻게 되는 실재감 향상 정도와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컨텐츠의 시각적 맵핑의 적절성을 평가한다. 또한 청각 피드백에 대한 평가 기준으로써 시나리오 상의 상황에 따른 배경음/효과음 맵핑의 몰입감과 적절성을 평가한다. 마지막으로 촉각 피드백에 대한 평가로써, 물리적인 감각형 객체에 가상객체를 정합함으로써 얻게 되는 촉감과 시나리오 상의 이벤트에 따라 제시되는 진동-촉각 피드백에 의한 몰입감 향상 정도를 평가한다. 제시된 사용성 평가의 결과는 기존의 증강현실 기반 디자인 시스템의 몰입감을 향상 시키기 위한 구현에 있어, 고려될 수 있는 사항으로써 의미가 있다.

  • PDF

A Study on the Evaluation Methods of IRDS for Screening the Industrial Design Proposals (IRDS 시스템에 의한 디자인 컨셉트의 평가방법 연구)

  • 우흥룡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20
    • /
    • pp.51-58
    • /
    • 1997
  • This paper aims to aid a practical evaluation for screening out the design proposais under applying the IRDS system, which is developed a computer aided industrial design system as a computer application system. In this study, the author adopted 3 evaluation methods with criteria which hav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ttributes : the Intuitive Evaluation Methods(X), the Accumulative Evaluation Method(Y), the Benchmarking Evaluation Methods(Z). The results show that the 3 Methods have reciprocal relationships under reliability(r=0.0001). In analysis on the properties of the evaluation methods, the Evaluation Method (X) shows rapidity especially, the Evaluation Method (Y); relativity, the Evaluation Method(Z); importance respectively.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evaluation methods makes the null hypothesis denying, then we could adapt the research hypothesis. Therefore the correlation between them has positive relationship, and it shows thicker than the result of the 1st stud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