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디자인 컨셉

검색결과 239건 처리시간 0.028초

GUI 디자인에서 감성적 어휘를 이용한 컨셉 및 이미지 선택 -붐박스가 기능을 가진 휴대폰- (Approach to the Selection of Concepts and Images for GUI Design using Emotional Words -Mobile Phone with Boombox-)

  • 현혜정;고일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103-112
    • /
    • 2009
  • 제품 디자인 기술의 발달로 다양한 컨셉의 제품들이 개발되고 있고 사용자 맞춤형 디자인 컨셉에 따른 제품이 활발하게 출시되고 있다. 성공적인 개발을 위해서는 컨셉을 제품 개발 프로세스에 정확히 전달하여야 목표하는 디자인을 개발할 수 있다. 제품 개발 목적에 맞는 디자인 컨셉을 찾기 위해서 붐박스를 겸한 모바일 폰에 대한 디자인 컨셉을 감성적 어휘 표현으로 찾아내고 해당 목표에 맞는 시각적 이미지를 이용하여 컨셉 목표를 구체화했다. 컨셉 목표를 구체화하기 위하여 개발에 참여하는 이해당사자가 서로 합의할 수 있는 이미지를 선정을 목표로 참여자 간의 의견 조율을 위한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합리적인 선택을 위하여 테스트 결과를 클러스트링 기법을 이용하여 컨셉과 이미지 선정을 위한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방법은 디자인 컨셉을 설계하고 목표에 맞은 GUI 구현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지문인식도어락 디자인 개발 사례연구 (Case Study for Fingerprint ID Doorlock Design Development)

  • 서수웅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4권3호
    • /
    • pp.115-123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지문인식 도어락제품의 특징에 대해 살펴보고, 디자인 컨셉을 결정짓는 체계적인 방법론에 대해 알아본다. 디자인 개발 프로세스는 제품의 종류와 그 특성에 따라 많은 단계를 거치게 된다. 특히 개발 초기의 컨셉을 선택하는 단계는 시장에서의 성패를 좌우하는 매우 중요한 시기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소 주관적이고, 비논리적 일 수 있는 컨셉 선택과정을 보다 객관적이고, 체계적 인 프로세스로 정립할 수 있는 방법론을 모색한다. 컨셉 선택 프로세스는 크게 두 가지 단계로 나누어진다. 우선, 컨셉을 결정짓는 요소들을 매트릭스로 구조화하여 많은 대안이 제시되었을 때보다 신속하고 합리적으로 대안을 선별해 나가는 과정이 있다. 다음으로는 선택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평가함으로써 보다 이상적인 컨셉을 선택해가는 과정이 있다. 선택된 컨셉을 구체화하여 양산을 위한 디자인 확정안에 대한 렌더링을 결과로써 제시한다.

  • PDF

창의적 웹디자인 컨셉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reative Web Design Concept Development)

  • 서미라;박상진;곽훈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6권6호
    • /
    • pp.136-143
    • /
    • 2006
  • 다양한 미디어의 출현과 변화가 가속화되어가는 현대사회는 디자이너에게 경쟁력 있게 변화에 대처 하는 능력을 요구한다. 현대사회의 핵심 디자인 산업분야 중 하나인 웹 디자인 분야도 제작 기술 전문화에서 창의적 디자인 개발 구도로의 전환을 절실히 필요로 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창의적 디자인 개발 능력은 학습을 통해 익힐 수 있다. 따라서 창조적인 디자인 개발을 위한 창의력 개발 교육이 필요한 것이다. 창의적 사고훈련이 경쟁력 있는 디자인을 위한 핵심 요건으로 인식되면서 이에 대한 교육방법이 다각도로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구체적으로 디자인 컨셉을 위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은 새로운 사고방식을 자극하는 방법으로 디자인 컨셉 도출을 보다 창의적으로 설정하는데 도움을 되는 모델을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 과정에서 제시된 컨셉 개발 프로세스는 창의적인 웹 디자인 컨셉 도출을 위한 과정을 체계화시키며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디자인 개발에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PDF

광고에 있어서 컨셉트의 중요성 (The Importance of Concept Advertising)

  • 신용순
    • 디자인학연구
    • /
    • 제11권1호
    • /
    • pp.89-98
    • /
    • 1998
  • 광고는 비 대인적(非 對人的)인 환경에서 목표 소비자에게 정확한 컨셉트를 제공함으로써 설득을 목적으로 하는 활동이다. 본 연구는 광고현장에서 다양하게 사용되는 컨셉트의 개념을 명확히 하고 단계별 컨셉트의 추출과정을 정립함으로써 광고제작에 있어서 컨셉트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강조하였다. 따라서 광고제작과정에 따른 프로덕트 컨셉트, 광고 컨셉트, 크리에이티브 컨셉트의 개념과 특성을 살펴보고, 이들 상호간의 유기적인 관계에 대하여 연구함으로써 광고에 있어서 컨셉트의 전략적 위치를 분명히 하고자 하였다. 또한 기존TV광고 중에서 일부를 선정하여 컨셉트 개발 사례를 살펴보고 비교하여 봄으로써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컨셉트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시나리오 기반 분석을 이용한 사용자 중심의 신제품 컨셉 평가 방법론 (A User Centered Framework to Evaluate Design Concepts of New Product Using Scenario-Based Analysis)

  • 서영보;송주봉;이철;윤명환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7년도 학술대회 2부
    • /
    • pp.105-111
    • /
    • 2007
  • 본 연구는 신제품 개발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개념 설계(conceptual design) 단계에서의 효과적인 평가 방법론 제안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현재 사용자가 경험하지 못한 미래형 제품설계를 위한 개념 설계 내용이, 사용자의 잠재적 요구사항을 반영하고 사용자가 수행해야 하는 과업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지의 여부를 평가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디자인 컨셉 평가 프레임웍은 3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Phase 1에서는 제품의 미래 사용환경을 예측한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사용 사례를 도출하고 사용 사례에 대한 과업 분석을 수행, 사용자의 수행 과업을 파악한다. Phase 2에서는 이러한 사용자의 수행 과업을 지원하기 위해 필요한 기능적 요구사항을 구현할 수 있는 기술을 체계적으로 파악하여, 기술 지도(Technology Roadmap)로서 전개한다. 이를 통해 디자인 컨셉을 구현하기 위해 현재 활용 가능한 기술 대안을 파악한다. Phase 3에서는 기술 지도를 통해 파악한 현재의 요소 기술 및 미래의 기술 대안과 사용자 요구사항간의 연관관계를 분석, 제품 개념 설계에 반영되어야 할 설계 요구사항을 도출하여 평가항목을 구성한다. 본 연구의 디자인 컨셉 평가 방법은 CSCW(Computer Supported Cooperative Work)기반 시스템의 실감 사용자 인터페이스(tangible user interface) 개발 사례를 통해 검증하였다.

  • PDF

팝아트를 활용한 레트로디자인 연구 (Style of Retro Design Using Pop Art)

  • 유명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185-196
    • /
    • 2011
  • 본 연구는 팝아트를 활용한 레트로디자인 작업 시 어떻게 컨셉을 표현할 수 있을까를 이론적 고찰과 사례로 조사하고 작품제작에 응용할 수 있도록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진행하였다. 사례조사 결과 대중적인 이미지를 반영한 컨셉과 대중의 영웅을 표현한 컨셉에서는 팝아트의 특징을 단순하게 재현하였고, 정치적 삶에 드러난 상처를 표현한 컨셉은 조사된 사례가 없었다. 디자인의 각 영역에 대한 사례의 가장 큰 특징은 팝아트의 이념보다는 팝아트의 표현양식에 주로 치중한 점을 알 수 있었다. 원색을 사용하여 밝고, 경쾌한 분위기로 표현하거나, 반복적인 표현, 컴바인과 콜라주 기법, 실크스크린, 만화, 과장된 오브제로 표현하는 것 등이 다양하게 재현되었다. 그러나 팝아트를 활용한 레트로디자인은 팝아트의 단순한 재현이 아니라 팝아트의 이념과 조형적 재해석이 디자이너의 창의성과 만나 현대적으로 표현되어야 한다. 따라서 글로벌화 되어 있는 미디어나 이미지의 홍수 시대에 대중의 일상에 대한 탐색, 대중의 여가나 오락 및 환상의 결합을 활용하여 컨셉을 설정하고 팝아트의 표현양식을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컨셉도출 툴킷을 활용한 참여적 디자인 프로세스 - 백화점 유모차 및 대여 시스템의 디자인 사례연구 - (Participatory Design Process with Concept Generation Toolkits - A Case Study of Designing the Stroller and Its Renting System for Department Stores -)

  • 성기원;신현경;강학화;남택진
    • 디자인학연구
    • /
    • 제16권1호
    • /
    • pp.73-82
    • /
    • 2003
  • 본 연구는 제품 개발 단계에서 참여적 디자인 프로세스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이 과정에서 사용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개발된 컨셉도출 툴킷과 참여적 디자인 워크숍의 효용성에 대해 재고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유모차 디자인 사례를 선택하여, 컨셉도출 툴킷 (접착포 모형 유모차, 대여 코너를 위한 블록 배치 놀이)을 개발하고 세 차례의 워크샵을 통해서 디자인 개발을 하였다. 사례 연구를 통해서 참여적 디자인은 사용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사용 환경에 대한 보다 나은 이해를 제공하고, 디자이너의 선입견을 배제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디자인 팀의 간과할 수 있는 문제를 파악하게 해줄 수 있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또한 참여적 디자인 방법은 디자인 문제에 적합한 툴킷의 개발과 기획에 바탕을 두어야 한다는 점과 사용자들이 제시한 컨셉을 종합ㆍ분석해서 디자인에 적용하는 방법에 대한 필요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 PDF

패션 디자인 조형을 응용한 캐릭터 컨셉 디자인 (Character Concept Designs Utilizing Formative Methods in Fashion Design)

  • 최미정;김예진;백철호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103-112
    • /
    • 2018
  • 캐릭터 디자인에 있어 '패션'은 캐릭터의 정체성과 성격, 개성과 설정을 한눈에 뚜렷하게 제시해주는 강력한 도구이다. '특정한 시기에 유행하는 복식이나 두발의 일정한 형식'으로 정의되는 패션은 의상뿐만 아니라 다양한 장신구, 헤어를 포함한 메이크업 등을 아우르는 하나의 '이미지'를 창조해낸다. 현재의 트렌드를 선도하고 반영하는 실제 런웨이 위의 패션 디자인과 게임업계 내의 캐릭터 디자인은 서로 영향을 주고 받을 수 밖에 없다. 하지만 이러한 패션의 중요성에 비해 캐릭터 디자인에서 패션 디자인에 대한 분석적인 접근과 접목은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게임 캐릭터 디자인과 패션 디자인 사이의 상호 영향에 대한 고찰을 하고, 패션 디자인에 대한 이론적 분석과 조형적 고찰의 접목이 보다 응용된 시각적 시도의 캐릭터 컨셉 디자인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제시하고자 한다.

컨셉테스팅에서 제품디자인선호에 대한 디자인요소들의 영향 (The effect of design factors on product design preference in concept testing)

  • 양종열
    • 디자인학연구
    • /
    • 제14권3호
    • /
    • pp.69-76
    • /
    • 2001
  • 신제품개발 프로세스에서 컨셉테스팅은 신제품개발을 위해 산출된 아이디어들 중 가장 높은 시장 성공 가능성을 갖는 아이디어를 스크린하는 것으로 신제품의 성공을 예측하는데 아주 효과적이다. 그러나 실제적으로 컨셉테스팅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인 소비자 선호에 대한 인과 구조가 정량적 데이터로 제공되지 못함으로써 디자이너들이 신제품을 개발하는데 있어서 정확한 가이드라인을 제공받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컨셉테스트에 그러한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줄 수 있는 수단-목표 사슬이론과 제품 형태이론을 적용하여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제품은 어떤 혜택을 내포하는지 그리고 그 혜택은 어떤 디자인 속성이 충족시키는지에 대한 구조를 제공하여 신제품 컨셉 개발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수단-목표 사슬이론과 제품 형태이론에 대해 고찰하고 연구모델을 구축한 다음, 실증연구를 통하여 해당 카테고리제품(TV의 컨셉 개발에 대한 지침을 제공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