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디자인 전문인력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33초

제4차산업혁명을 위한 대전/충청지역 디자인 전문인력 현황과 수요 전망 (The Status and Demand for Design Professional People in Daejeon/Chungcheong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김정아;노황우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8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73-174
    • /
    • 2018
  • 본 연구는 4차산업혁명의 성공 핵심 키워드 중 하나인 '융합'을 통한 디자인의 역량 강화를 위하여 전문인력의 양성현황, 대전/충청지역의 디자인 전문회사 현황 및 대전지역의 전략사업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해 예측된 수요맞춤형 전문인력의 공급 방안을 제시하며, 디자인 전문인력의 양성과 운용에 대한 세부적 방안 마련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PDF

대전 지역디자인센터(RDC)건립에 따른 디자인 전문인력 재교육 연구 (A Study on the Reeducation of Design Specialists by the Construction of Daejeon Regional Design Center)

  • 김정아;노황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451-461
    • /
    • 2019
  • 대전광역시는 4차산업혁명에서의 디자인산업 성장 기회요인이 풍부한 도시로 '4차 산업혁명 특별시'의 완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디자인은 융합의 중점에 위치하며, 디자인의 개념은 산업 구조와 밀접하게 연관되어있어 4차 산업혁명에서 중요성이 부각된다. 그동안 대전은 지역디자인센터(RDC)의 부재로 디자인산업의 발전에 한계가 있었으나, 2018년 6월부터 대전 디자인센터의 건립을 위한 공사를 시작하였고 2019년 연말 완공을 목표로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디자인센터(KIDP 및 각 RDC)의 2018년도 디자인 전문인력 재교육과정과 대전의 산업구조와 디자인산업 현황, 재교육 현황을 비교·분석하여 향후 대전 지역디자인센터(RDC)설립에 따른 디자인 전문인력 재교육 방안을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뉴미디어 시대 전문대학 디자인 교육 전략과 문제점 연구 - 커뮤니케이션 툴 학습기능을 중심으로 -

  • 명광주
    • 디자인학연구
    • /
    • 제12권3호
    • /
    • pp.55-71
    • /
    • 1999
  • 본 연구는 전문대학 디자인 교육의 문제를 점검하고, 전문대학만의 차별화 된 디자인 교육을 위한 전략과 방향을 정보화에 기반한 커뮤니케이션 툴 학습기능을 중심으로 찾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 방법은 주로 문헌 조사 방법을 사용 했다. 전문대학 디자인 관련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새로운 학습체제의 대안을 제시 했다. 연구에서 도출한 결론은 첫째, 전문대학 디자인 교과과정은 중견 직업인 양성 목적 보다는 4년제 교과과정의 모방이며 둘째, 학과목의 연계성 부족과 과도한 학과목으로 전문성 양성과 거리가 있고 셋째, 정보화와 멀티미디어화 등에 대한 대응력에서 취약하며 넷째, 학교 시설과 교수 인력에 한계가 있다. 이에 인터넷등 네트워크 미디어를 통해 가상학교를 구축, 상호 시너지를 확보하는 전략 전개의 필요성을 제시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 논문은 전문대학의 현실적 디자인 교육 진단을 근거로, 국가적인 교육 정보화 정책과 세계적인 사이버 교육의 트렌드를 접합하여 현실적인 대안을 제시했다.

  • PDF

한국 섬유디자인 교육에 관한 고찰 (A study on College Education for Korean Textile Design)

  • 한상혜
    • 디자인학연구
    • /
    • 제13권
    • /
    • pp.67-80
    • /
    • 1996
  • 우리 나라 전체 산업의 25%를 차지하고 있는 섬유산업은 지난 30 여 년 동안 수출증대와 경제성장을 거듭하면서 선진국과 같은 산업구조를 갖추게 되었지만 이를 뒤받침 하는 디자인 개발은 산업선진외국에 비해 낙후된 실정이다. 이와 같은 까닭에는 사회적 무관심에도 문제가 있지만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을 소홀히 하여 온 대학의 책임이 크다. 지금가지의 섬유디자인 교육은 전문인력을 절실히 필요로 하는 산업사회의 요구에 부응 하기 보다는 미술 중심적 교육에 치중되어 있을 뿐 디자인의 독자적 학문으로 독립하지 못하였다. 우리의 섬유디자인 교육이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그림 중심에서 벗어나 사회, 문화, 예술, 경제, 기술 등의 분야와 긴밀한 관계를 가진 실제적인 교육체제를 갖추어야 한다.

  • PDF

인터뷰 - 2013년도 포장기술사 합격자 (Professional Engineer Packaging)

  • (사)한국포장협회
    • 월간포장계
    • /
    • 통권243호
    • /
    • pp.118-125
    • /
    • 2013
  • 기술경쟁력에 의한 신제품 개발과 더불어 제품의 외형적인 포장 및 포장디자인도 기업의 경쟁요소로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포장기술의 지속적인 개발을 통해 해당상품의 특성을 충분히 살림으로써 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상품의 품질과 구매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전문지식과 실무경험을 갖춘 기술인력 양성이 요구되어 포장기술사 자격제도가 제정되었다. 국내 포장산업의 최고 전문가인 포장기술사는 한국산업인력공단이 주관하고 있으며 1974년 생산관리기술사(디자인 및 포장)로 신설되어 1983년 생산관리기술사(포장)로 변경된 후, 1991년 현재의 포장기술사로 자리잡게 됐다. 포장기술사는 포장기술분야에 관한 고도의 전문지식과 실무경험에 입각하여 포장을 개발하거나 개발된 포장을 진단하며, 물류부문과 연계성을 갖추기 위해 포장 표준화 업무 및 신규사업을 조사하는 등 기술업무를 수행한다. 포장기술사 자격시험은 단답형 및 주관식 논술형인 필기시험과 구술형 면접을 통해 시험이 이뤄진다. 2013년도에는 총 10명의 포장기술사가 합격했다. 본 고에서 2013년도 포장 기술사 최종합격자들을 소개한다.

  • PDF

인터뷰 - 2014년도 포장기술사 합격자 (Professional Engineer Packaging)

  • (사)한국포장협회
    • 월간포장계
    • /
    • 통권255호
    • /
    • pp.90-95
    • /
    • 2014
  • 기술경쟁력에 의한 신제품 개발과 더불어 제품의 외형적인 포장 및 포장디자인도 기업의 경쟁요소로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포장기술의 지속적인 개발을 통해 해당상품의 특성을 충분히 살림으로써 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상품의 품질과 구매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전문지식과 실무경험을 갖춘 기술인력 양성이 요구되어 포장기술사 자격제도가 제정되었다. 국내 포장산업의 최고 전문가인 포장기술사는 한국산업인력공단이 주관하고 있으며 1974년 생산관리기술사(디자인 및 포장)로 신설되어 1983년 생산관리기술사(포장)로 변경된 후, 1991년 현재의 포장기술사로 자리잡게 됐다. 포장기술사는 포장기술분야에 관한 고도의 전문지식과 실무경험에 입각하여 포장을 개발하거나 개발된 포장을 진단하며, 물류부문과 연계성을 갖추기 위해 포장 표준화 업무 및 신규사업을 조사하는 등 기술업무를 수행한다. 포장기술사 자격시험은 단답형 및 주관식 논술형인 필기시험과 구술형 면접을 통해 시험이 이뤄진다. 2014년도에는 총 10명의 포장기술사가 합격했다. 본 고에서는 2014년도 포장기술사 최종합격자들을 소개한다.

  • PDF

인터뷰 - 2015년도 포장기술사 합격자

  • (사)한국포장협회
    • 월간포장계
    • /
    • 통권266호
    • /
    • pp.85-89
    • /
    • 2015
  • 기술경쟁력에 의한 신제품 개발과 더불어 제품의 외형적인 포장 및 포장디자인도 기업의 경쟁요소로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포장기술의 지속적인 개발을 통해 해당상품의 특성을 충분히 살림으로써 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상품의 품질과 구매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전문지식과 실무경험을 갖춘 기술인력양성이 요구되어 포장기술사 자격제도가 제정되었다. 국내 포장산업의 최고 전문가인 포장기술사는 한국산업인력공단이 주관하고 있으며 1974년 생산관리기술사(디자인 및 포장)로 신설되어 1983년 생산관리기술사(포장)로 변경된 후, 1991년 현재의 포장기술사로 자리잡게 됐다. 포장기술사는 포장기술분야에 관한 고도의 전문지식과 실무경험에 입각하여 포장을 개발하거나 개발된 포장을 진단하며, 물류부문과 연계성을 갖추기 위해 포장 표준화 업무 및 신규사업을 조사하는 등 기술업무를 수행한다. 포장기술사 자격시험은 단답형 및 주관식 논술형인 필기시험과 구술형 면접을 통해 시험이 이뤄진다. 2015년도에는 총 4명의 포장기술사가 합격했다. 본 고에서는 2015년도 포장 기술사 최종합격자들을 소개한다.

  • PDF

실무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시각디자인 교과과정 연구 (Graphic Design Curricula to Improve Practical Skills Contents)

  • 김희준;박성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76-87
    • /
    • 2016
  • 본 연구는 실무수행능력을 갖춘 창의적인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대학의 시각디자인 교과과정을 연구하였다. 연구를 위해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소재 대학 중 4년제, 3년제, 2년제 대학의 교과과정을 조사하였으며, 서울과 인천에 소재한 디자인 전문 업체 10곳의 의견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대학의 교과과정은 4년제, 3년제, 2년제 모두 기초디자인 숙달훈련 과정보다 프로젝트 실습과 탐구과정에 많은 비중을 둔 교육이 진행되고 있었으며 그 중 출판 그래픽디자인 영역의 비중이 가장 높았고 영상 멀티미디어디자인 영역에도 많은 중요도를 두고 있었다. 반면 광고 마케팅 영역의 교과과정 비중은 없거나 적게 분포되고 있었다. 그러나 디자인 전문 업체에서 희망하는 대학의 전문교육은 프로젝트 실습 및 탐구과정 보다 기초디자인 숙달훈련 과정에 비중을 둔 교육을 희망하고 있었다. 시대가 요구하는 창의 산업이자 지식산업의 역군으로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는 전문적인 시각디자이너의 양성은 전문교육을 담당하는 대학과 전문 업체 간의 긴밀한 관계유지와 협업을 전제로 전문교육을 재구성하는 새로운 관점이 필요하다.

영국의 패션 및 직물 디자인 교육에 관한 연구 (A Study of Fashion and Textile Design Education in the UK)

  • Choo, Tae-Gue
    • 복식
    • /
    • 제33권
    • /
    • pp.55-72
    • /
    • 1997
  • 우리나라 복식산업의 전문인력 양식은 주로 대학교나 전문학원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수적인면에서는 충분한 인력이 양성되고 있다. 그러나 질적인 면에서 산업체에서 요구되는 역량을 가진 전문인은 부족한 편이다. 이에 따라 산업체의 요구에 부합하는 인력야성을위하여 교육과정의 개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기교육 산학협력 및 산업체 현장실습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영국의 복식관련학과에 대하여 조사해 봄으로써 우리 교육의 개선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영구의 경우 다양한 자격증 및 학위과정이 개설되어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학사학위에 해당되는 BA 및 Bsc만대상으로 하였으며 설문조사 문헌조사 및 사례연구를 통하여 현황 및 교과과정을 분석하였다 영국의 복식관련학과들은 그 교과과정 및 내용에 따라 크게 6개 전공분야로 분류되었으며 각 하과는 다시 세분화되어 전문성이 있는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또한 수업연한 및 과정의 형태에 따라 5개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이유형 중 특히 일년간의 현장실습을 학위과정으로 포함시켜 의무적으로 산업체에 근무하도록 되어있는 Sandwic Mode는 적극적인 산학협력의 한 형태로 매우 효율적으로 평가되는 교육체계이며 여러다른 학문 분야에서도 널리 활용되고 있는 체계이다. 교수진의 경우 전임교원이 수적인 면에서 다소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관련 산업체 인사 등을 시간강사로 고용함으로써 이를 보완 할 뿐 아니라 산학연계를 이루고 있었다. 또한 전임교원의 경우 주로 학사 혹은 석사의 학력을 가지고있었다. 그러나 모든 전임교수 뿐 아니라 시간강사의 경우도 산업체 경력을 필수 적으로 가지고있어 고학력위주의 우리나라 실정과는 매우 상이했다. 교과과정에 대한 사례연구에서 직물디자인에 집중된 2개 과의 교과과정을 보았으며 그중 한 개 과는 다시 편물 프린트 및 직물 디자인의 3분야로 세분화되어 심도 있는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을 살펴보았다 또한 다른 3개의 예에서 볼수있듯이 2개 이상의 전공코스를 도입하여 공통과목과 전공 코스 과목을 둠으로써 시설 및 인적 자원의 활용 등 운영상 효율성을 추구함을 알수 있었다 또한 학생들의 경우 전문화된 코스의 선택을 할수 있게 하였다 이런 실례는 전문인력양성이 매우 필요하고 따라서 전공코스제의 도입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이시점에서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수 있으리라고 생각된다. 영구의 교육이 우리나라 실정에 그대로 적용될 수는 없지만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고려하여 우리교육을 개선해 나갈 수 있으리라고 생각한다. 첫째 교수진 인적 물적상황 및 지역적 상황등을 분석하여 각 대학별로 그 특성에 맞는 세분화되고 심도있는 전공교육과정을 개발 발전시켜 야 할 것이다 둘째 산업체 방문 산업체인사와의 면담 및 특강 등 산학협력을 좀더 적극적으로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학생들의 산업체 현장 연수를 실질적으로 도입하여 산업체의 인력요구에 적극적으로 대처 할수 있어야 하겠다.

  • PDF

전문대학 멀티미디어 관련학과의 전문화와 차별화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Specialized and Differentiated Eucation in Mltimedia-related Department of Technology Institute)

  • 이화종
    • 디자인학연구
    • /
    • 제11권3호
    • /
    • pp.91-99
    • /
    • 1998
  • 95년도부터 시작되어진 전문대학의 멀티미디어 관련학과 교육은 질적으로 내실 있는 교육이라기 보다는 사회의 멀티미디어 관련산업의 거품현상에 편승(便乘)하여 무리하게 급조(急造)된 제작 실무자를 양산(量産)하고 있는 실정이다. IMF 이후 현 경제 상황에서 멀티미디어 관련 인력의 과다 공급과 소비 인력의 극한 감소는 우선적으로 선택되어지기 위한 교육의 질적인 전문화와 차별화를 필요로 하고 있다. 본 연구는 멀티미디어 관련학과의 전문화와 차별화를 이루기 위한 현실적인 문제점과 교육목표, 특히 전임교수에 대한 문제점과 해결방안(方案)을 제시하며, 이런 상황에 처해 있는 전문대학의 상황 극복 방법을 바탕으로 앞으로 전문대학이 추구해야할 미래 지향적이고 사회의 요구를 앞서가는 전문대학의 위상(位相)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