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디자인 전문인력

Search Result 60,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The Status and Demand for Design Professional People in Daejeon/Chungcheong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제4차산업혁명을 위한 대전/충청지역 디자인 전문인력 현황과 수요 전망)

  • Kim, jeong-a;Noh, hwang-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173-174
    • /
    • 2018
  • 본 연구는 4차산업혁명의 성공 핵심 키워드 중 하나인 '융합'을 통한 디자인의 역량 강화를 위하여 전문인력의 양성현황, 대전/충청지역의 디자인 전문회사 현황 및 대전지역의 전략사업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해 예측된 수요맞춤형 전문인력의 공급 방안을 제시하며, 디자인 전문인력의 양성과 운용에 대한 세부적 방안 마련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PDF

A Study on the Reeducation of Design Specialists by the Construction of Daejeon Regional Design Center (대전 지역디자인센터(RDC)건립에 따른 디자인 전문인력 재교육 연구)

  • Kim, Jeong-A;Noh, Hwang-Wo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9 no.11
    • /
    • pp.451-461
    • /
    • 2019
  • Daejeon metropolitan city is rich with opportunity factors for the growth of the design industry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aims at complet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Special City'. As design is located at the center of convergence and the concept of design is closely related to the industrial structure, its importance is being emphasized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Meanwhile, there was a limit to the development of the design industry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due to the absence of the Regional Design Center(RDC), but Daejeon started constructing the Daejeon design center in June 2018 and aims to complete the construction by the end of 2019. This study analyzed and compared the 2018 Design Specialists Reeducation of KIDP and each RDC with the present conditions of industrial structure, design industry and reeducation of Daejeon to derive and suggest the plan of reeducation by the establishment of Daejeon Regional Design Center(RDC).

뉴미디어 시대 전문대학 디자인 교육 전략과 문제점 연구 - 커뮤니케이션 툴 학습기능을 중심으로 -

  • 명광주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2 no.3
    • /
    • pp.55-71
    • /
    • 1999
  • 본 연구는 전문대학 디자인 교육의 문제를 점검하고, 전문대학만의 차별화 된 디자인 교육을 위한 전략과 방향을 정보화에 기반한 커뮤니케이션 툴 학습기능을 중심으로 찾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 방법은 주로 문헌 조사 방법을 사용 했다. 전문대학 디자인 관련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새로운 학습체제의 대안을 제시 했다. 연구에서 도출한 결론은 첫째, 전문대학 디자인 교과과정은 중견 직업인 양성 목적 보다는 4년제 교과과정의 모방이며 둘째, 학과목의 연계성 부족과 과도한 학과목으로 전문성 양성과 거리가 있고 셋째, 정보화와 멀티미디어화 등에 대한 대응력에서 취약하며 넷째, 학교 시설과 교수 인력에 한계가 있다. 이에 인터넷등 네트워크 미디어를 통해 가상학교를 구축, 상호 시너지를 확보하는 전략 전개의 필요성을 제시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 논문은 전문대학의 현실적 디자인 교육 진단을 근거로, 국가적인 교육 정보화 정책과 세계적인 사이버 교육의 트렌드를 접합하여 현실적인 대안을 제시했다.

  • PDF

A study on College Education for Korean Textile Design (한국 섬유디자인 교육에 관한 고찰)

  • 한상혜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3
    • /
    • pp.67-80
    • /
    • 1996
  • The textile industry, accounting nearly 25% of total industrial output, has progressed steadily in the last 30 years contributing greatly to the export driven economic development of Korea. Althought the textile industry has some competitiveness in the international market in terms of production capability through the ongoing restructuring effort, the area of textile design lags far behind compared to that of advanced industrial countries. This is believesd mainly due to the inadequate college education in addition to the social indifference toward the design. The current curriculum of textile design in most universities put more emphasis on the artistic aspects of design, rather than preparing the students as design specialists as required by the industries. The education system for textile design should, therfore, be restructured for the purpose of producing professional designers integrating the needs of sosiety, culture, art, economy, and advancing technology.

  • PDF

Professional Engineer Packaging (인터뷰 - 2013년도 포장기술사 합격자)

  • (사)한국포장협회
    • The monthly packaging world
    • /
    • s.243
    • /
    • pp.118-125
    • /
    • 2013
  • 기술경쟁력에 의한 신제품 개발과 더불어 제품의 외형적인 포장 및 포장디자인도 기업의 경쟁요소로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포장기술의 지속적인 개발을 통해 해당상품의 특성을 충분히 살림으로써 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상품의 품질과 구매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전문지식과 실무경험을 갖춘 기술인력 양성이 요구되어 포장기술사 자격제도가 제정되었다. 국내 포장산업의 최고 전문가인 포장기술사는 한국산업인력공단이 주관하고 있으며 1974년 생산관리기술사(디자인 및 포장)로 신설되어 1983년 생산관리기술사(포장)로 변경된 후, 1991년 현재의 포장기술사로 자리잡게 됐다. 포장기술사는 포장기술분야에 관한 고도의 전문지식과 실무경험에 입각하여 포장을 개발하거나 개발된 포장을 진단하며, 물류부문과 연계성을 갖추기 위해 포장 표준화 업무 및 신규사업을 조사하는 등 기술업무를 수행한다. 포장기술사 자격시험은 단답형 및 주관식 논술형인 필기시험과 구술형 면접을 통해 시험이 이뤄진다. 2013년도에는 총 10명의 포장기술사가 합격했다. 본 고에서 2013년도 포장 기술사 최종합격자들을 소개한다.

  • PDF

Professional Engineer Packaging (인터뷰 - 2014년도 포장기술사 합격자)

  • (사)한국포장협회
    • The monthly packaging world
    • /
    • s.255
    • /
    • pp.90-95
    • /
    • 2014
  • 기술경쟁력에 의한 신제품 개발과 더불어 제품의 외형적인 포장 및 포장디자인도 기업의 경쟁요소로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포장기술의 지속적인 개발을 통해 해당상품의 특성을 충분히 살림으로써 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상품의 품질과 구매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전문지식과 실무경험을 갖춘 기술인력 양성이 요구되어 포장기술사 자격제도가 제정되었다. 국내 포장산업의 최고 전문가인 포장기술사는 한국산업인력공단이 주관하고 있으며 1974년 생산관리기술사(디자인 및 포장)로 신설되어 1983년 생산관리기술사(포장)로 변경된 후, 1991년 현재의 포장기술사로 자리잡게 됐다. 포장기술사는 포장기술분야에 관한 고도의 전문지식과 실무경험에 입각하여 포장을 개발하거나 개발된 포장을 진단하며, 물류부문과 연계성을 갖추기 위해 포장 표준화 업무 및 신규사업을 조사하는 등 기술업무를 수행한다. 포장기술사 자격시험은 단답형 및 주관식 논술형인 필기시험과 구술형 면접을 통해 시험이 이뤄진다. 2014년도에는 총 10명의 포장기술사가 합격했다. 본 고에서는 2014년도 포장기술사 최종합격자들을 소개한다.

  • PDF

인터뷰 - 2015년도 포장기술사 합격자

  • (사)한국포장협회
    • The monthly packaging world
    • /
    • s.266
    • /
    • pp.85-89
    • /
    • 2015
  • 기술경쟁력에 의한 신제품 개발과 더불어 제품의 외형적인 포장 및 포장디자인도 기업의 경쟁요소로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포장기술의 지속적인 개발을 통해 해당상품의 특성을 충분히 살림으로써 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상품의 품질과 구매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전문지식과 실무경험을 갖춘 기술인력양성이 요구되어 포장기술사 자격제도가 제정되었다. 국내 포장산업의 최고 전문가인 포장기술사는 한국산업인력공단이 주관하고 있으며 1974년 생산관리기술사(디자인 및 포장)로 신설되어 1983년 생산관리기술사(포장)로 변경된 후, 1991년 현재의 포장기술사로 자리잡게 됐다. 포장기술사는 포장기술분야에 관한 고도의 전문지식과 실무경험에 입각하여 포장을 개발하거나 개발된 포장을 진단하며, 물류부문과 연계성을 갖추기 위해 포장 표준화 업무 및 신규사업을 조사하는 등 기술업무를 수행한다. 포장기술사 자격시험은 단답형 및 주관식 논술형인 필기시험과 구술형 면접을 통해 시험이 이뤄진다. 2015년도에는 총 4명의 포장기술사가 합격했다. 본 고에서는 2015년도 포장 기술사 최종합격자들을 소개한다.

  • PDF

Graphic Design Curricula to Improve Practical Skills Contents (실무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시각디자인 교과과정 연구)

  • Kim, Hee-Jun;Park, Seong-Hyoe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6 no.4
    • /
    • pp.76-87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university graphic design curricula to cultivate creative specialized manpower equipped with practical skills. To attain the goal, this author investigated the curricula of four-year, three-year, and two-year universities located in the capital area including Seoul and interviewed those working in 10 specialized design companies located in Seoul and Incheon.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analyzing the curricula, four-year, three-year, and two-year universities all emphasize practices based on projects and inquiries more rather than the mastery of basic design. Among the areas, publication graphic designs are emphasized the most, and the next are visual multimedia designs. However, advertising marketing designs are not or hardly emphasized in the curricula. But specialized university education demanded by those specialized design companies is the education emphasizing the mastery of basic design more rather than practices based on projects and inquiries. Concerning the cultivation of specialized graphic designers having central roles as the pillars of knowledge industry or creative industry demanded in this age, it is needed to have a new perspective to reorganize specialized education grounded on close cooperation and favorabl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ies in charge of specialized education and those specialized companies.

A Study of Fashion and Textile Design Education in the UK (영국의 패션 및 직물 디자인 교육에 관한 연구)

  • Choo, Tae-Gu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
    • v.33
    • /
    • pp.55-72
    • /
    • 1997
  • 우리나라 복식산업의 전문인력 양식은 주로 대학교나 전문학원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수적인면에서는 충분한 인력이 양성되고 있다. 그러나 질적인 면에서 산업체에서 요구되는 역량을 가진 전문인은 부족한 편이다. 이에 따라 산업체의 요구에 부합하는 인력야성을위하여 교육과정의 개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기교육 산학협력 및 산업체 현장실습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영국의 복식관련학과에 대하여 조사해 봄으로써 우리 교육의 개선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영구의 경우 다양한 자격증 및 학위과정이 개설되어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학사학위에 해당되는 BA 및 Bsc만대상으로 하였으며 설문조사 문헌조사 및 사례연구를 통하여 현황 및 교과과정을 분석하였다 영국의 복식관련학과들은 그 교과과정 및 내용에 따라 크게 6개 전공분야로 분류되었으며 각 하과는 다시 세분화되어 전문성이 있는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또한 수업연한 및 과정의 형태에 따라 5개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이유형 중 특히 일년간의 현장실습을 학위과정으로 포함시켜 의무적으로 산업체에 근무하도록 되어있는 Sandwic Mode는 적극적인 산학협력의 한 형태로 매우 효율적으로 평가되는 교육체계이며 여러다른 학문 분야에서도 널리 활용되고 있는 체계이다. 교수진의 경우 전임교원이 수적인 면에서 다소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관련 산업체 인사 등을 시간강사로 고용함으로써 이를 보완 할 뿐 아니라 산학연계를 이루고 있었다. 또한 전임교원의 경우 주로 학사 혹은 석사의 학력을 가지고있었다. 그러나 모든 전임교수 뿐 아니라 시간강사의 경우도 산업체 경력을 필수 적으로 가지고있어 고학력위주의 우리나라 실정과는 매우 상이했다. 교과과정에 대한 사례연구에서 직물디자인에 집중된 2개 과의 교과과정을 보았으며 그중 한 개 과는 다시 편물 프린트 및 직물 디자인의 3분야로 세분화되어 심도 있는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을 살펴보았다 또한 다른 3개의 예에서 볼수있듯이 2개 이상의 전공코스를 도입하여 공통과목과 전공 코스 과목을 둠으로써 시설 및 인적 자원의 활용 등 운영상 효율성을 추구함을 알수 있었다 또한 학생들의 경우 전문화된 코스의 선택을 할수 있게 하였다 이런 실례는 전문인력양성이 매우 필요하고 따라서 전공코스제의 도입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이시점에서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수 있으리라고 생각된다. 영구의 교육이 우리나라 실정에 그대로 적용될 수는 없지만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고려하여 우리교육을 개선해 나갈 수 있으리라고 생각한다. 첫째 교수진 인적 물적상황 및 지역적 상황등을 분석하여 각 대학별로 그 특성에 맞는 세분화되고 심도있는 전공교육과정을 개발 발전시켜 야 할 것이다 둘째 산업체 방문 산업체인사와의 면담 및 특강 등 산학협력을 좀더 적극적으로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학생들의 산업체 현장 연수를 실질적으로 도입하여 산업체의 인력요구에 적극적으로 대처 할수 있어야 하겠다.

  • PDF

A Study on the Specialized and Differentiated Eucation in Mltimedia-related Department of Technology Institute (전문대학 멀티미디어 관련학과의 전문화와 차별화 방안 연구)

  • 이화종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1 no.3
    • /
    • pp.91-99
    • /
    • 1998
  • In 1995, the department of multimedia-related study was first founded in Technical Institute and has carried out the fundamental education at academic level in trial and error. Following a bubble situation of multimedia-related industries, the education of multimedia-related departments has mass-produced hurriedly prepared multimedia designers and programmers. With the current IMF economic crisis, demand for the multimedia expert manpower has shrunk drastically and competitiveness for getting a job becomes intense. Therefore, it is an urgent problem to specialize the multimedia education of Technical Institute and to differentiate it from the education of Universe. In this paper, I am going to analyze the cause of various practical problems occurring in the multimedia education in Technical Institute and to suggest the solution and education goal for the specialized and differentiated education in multimedia-related department of Technical Institut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