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디자인 설계

검색결과 1,994건 처리시간 0.035초

건축 프로세스에서의 Digital Design Tool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sage of Digital Design Tool on Architectural Design Process)

  • 전현우;최종천;김길채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09년도 정기 학술대회
    • /
    • pp.567-572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국외 설계사무실과 국내 설계사무실의 수행 프로젝트(표1)를 디지털 디자인 프로세스에서의 디지털 도구 활용 사례조사 결과를 일련의 설계 프로세스(기획(Pre-Design), 계획 설계(Schematic Design) 중간설계(Detail Design), 실시설계(Construction Design))를 11개의 설계 단위작업((1)자료수집, (2)도서화작업, (3)의사소통/프레젠테이션, (4)협력업체와의 협업, (5)디자인 실험, (6)디자인분석/유효성 검토, (7)빌딩시스템과 자재선정, (8)자재비교/견적, (9)디자인 발전, (10)RP를 이용한 모델 제작, (11)시공/제작)으로 분류하여(설계프로세스별로 디지털 디자인 툴의 활용 빈도를 조사 분석하는 것은 프로세스별로 중복된 설계 단위작업이 진행됨으로 연구결과의 의미가 잘못 해석될 수 있다.) 그 활용에 대한 유형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설계과정에서의 디지털 디자인 툴의 활용특성을 도출하여 실무설계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 PDF

XML 기반의 디자인 패턴관리 시스템에서 XML-QL 검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XML-QL Retrieval of Design Pattern Management System based on XML)

  • 김진향;최한용;송영재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상)
    • /
    • pp.379-382
    • /
    • 2001
  • 객체지향 시스템 개발환경에서 모델링의 표준화를 위해 UML을 이용하고 있으며, 설계정보 재사용을 위해 디자인 패턴을 이용하고 있다. 그리고 문서의 표준화로 XML을 제정하고 있으며, 분산객체개발 환경에서 설계정보의 재사용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XML로 표현된 설계정보의 효율적인 재사용을 위한 검색 방법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XML로 표현된 디자인 패턴 설계정보의 재사용을 위한 효율적인 검색을 목표 위해 XML-QL을 적용하여 재사용을 위한 검색효율을 높이고자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객체의 질의 효율을 놀이기 위해 XML로 표현된 디자인 패턴정보를 XML 계층구조로 변환하고 XML-QL을 적용하여 설계정보를 질의하도록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제안한 XML-QL 질의시스템을 이용하여 표준화된 디자인 패턴 설계정보의 효율적인 검색이 가능하여 분산객체개발 환경에서 설계정의의 재사용을 가능하게 하였다.

  • PDF

산업디자인-공학설계 융합 교육의 현황

  • 김관명
    • 기계저널
    • /
    • 제53권3호
    • /
    • pp.61-66
    • /
    • 2013
  • 이 글에서는 우리나라에서 'Design'이 갖는 의미와 '디자인'과 '설계'로 나누어진 우리나라 제품디자인 분야의 현실에 대해 짚어보고, 국내외의 산업디자인-공학설계 융합교육의 현황 및 융합설계 교육의 중요성과 방향에 대해 이야기 하고자 한다.

  • PDF

XMI 기반의 디자인패턴 합성 (XMI based Design-Pattern Composition)

  • 이돈양;최한용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6권11호
    • /
    • pp.235-242
    • /
    • 2006
  • 소프트웨어 생명주기의 각 단계에서 기존의 경험을 재사용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 져왔다. 그리고 추상화수준이 높은 단계에서 설계상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디자인 패턴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생명주기중 설계 단계에서는 잘 정의된 설계 정보를 정형화하여 새로운 설계자들이 재사용할 수 있도록 추상화된 설계 정보를 제공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 또한 기존의 설계 정보를 재사용하여 새로운 설계 정보를 합성할 수 있는 환경을 지원하지 못하고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설계상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디자인패턴을 합성하여 기존의 설계 정보를 재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정형화된 설계 정보를 확장해 나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XMI를 기반으로 디자인 패턴의 메타모델을 정의하였다. 그리고 XMI로 정형화된 디자인패턴의 메타모델을 이용하여 디자인패턴을 합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정형화된 디자인패턴의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설계상의 문제점을 정형화할 수 있고, 디자인패턴 기반의 설계를 위해서 디자인 패턴으로 설계된 기존의 설계 정보를 합성하여 재사용할 수 있다.

  • PDF

디자인 조형교육으로서의 건축설계수업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cess of Architectural Design Studio as a Formative Design Education)

  • 최동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4623-4628
    • /
    • 2010
  • 본 논문은 대학의 건축설계수업에서의 효과적인 디자인 교육의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는 연구로서 디자인 교육이론을 바탕으로 하는 건축설계 교육모형과 이를 적용한 수업사례를 중심으로 디자인 조형교육으로서의 건축설계교육의 가능성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교육모형과 건축설계수업은, 조형 표현력과 조형이론의 학습, 그리고 기본기능의 훈련과 같은 기초디자인 교육내용을 포함하고 있으며, 수업의 각 과정이 단계별 완성도를 갖고 연속되고, 심층적 발전의 형식을 갖는다는 점에서 건축설계를 위한 기초교육으로서 종합적인 디자인 능력 계발이라는 교육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교육모형의 하나가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플라스틱 제품의 효율적 리사이클링을 위한 설계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THOD OF DESIGN FOR THE EFFICIENT RECYCLING OF PLASTICS)

  • 맹형재
    • 디자인학연구
    • /
    • 제13권
    • /
    • pp.1-12
    • /
    • 1996
  • 환경을 고려하는 제품개발에 대한 시대적 요구는 자연스럽게 그린 디자인 개념을 형성하게 되었고, 이러한 그린 디자인에 대한 관심이 디자인의 가치기준을 근본적으로 변화시켜 나갔다. 또한 소비촉진을 부추겨 환경파괴에 일익을 담당했던 디자인은 환경문제를 고려한 새로운 디자인철학을 바탕으로 환경을 위한 실천노력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환경문제를 고려한 실천노력의 하나로 플라스틱을 주요 소재로 사용하는 제품 디자인의 제품설계단계에서 폐기물을 사전에 줄이고, 발생된 폐기물 중 재생 및 재활용이 가능한 재료를 최대한 회수하여 효율적으로 자원화 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재활용 설계방법을 모색해 보았다. 연구의 진행은 재활용 설계 시 고려해야 할 요소를 재료에 관한 문제, 구조에 관한 문제, 2차 가공에 관한 문제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재료의 문제는 플라스틱 재료의 재활용 범위를 검토해보고 재활용을 가능하게 하는 재료의 선택 및 활용방법을 제시해 보았으며, 재활용 재료의 분류를 돕는 재료표시방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어서 구조의 문제를 생산 및 재활용 시 조립과 분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임시고정구조와 영구 조임 구조의 디테일 설계방법을 정리하였고, 제품완성단계에서 필요한 2차 가공방법이 재활용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해 보았다. 이상과 같이 세 가지 연구방향을 토대로 재할용 설계를 위한 종합적 가이드라인을 추출하여 제시하였다.

  • PDF

컴포넌트 재사용을 늘리기 위한 전략 패턴의 활용 방법 (Strategies for Component reuse using Strategy Design Pattern)

  • 심준용;오정인;위성혁;김세환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194-1197
    • /
    • 2012
  • 디자인 패턴은 소프트웨어 설계 시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기술한다. 특히, 객체지향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컴포넌트 설계 시 디자인 패턴을 활용함으로써 특정 설계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재사용할 수 있다. 좋은 객체 지향 설계는 재사용성, 확장성 및 유지보수성을 제공하는 것이며, 디자인 패턴은 좋은 설계에 필요한 구성 요소들의 관계 구조를 제시한다. 본 논문은 객체지향 기반의 컴포넌트 프레임워크 설계 시 프레임워크의 확장성과 구현 컴포넌트의 재사용성을 늘리기 위한 방안으로 디자인 패턴의 활용법을 제시한다. 특히, 알고리즘 재사용의 구조를 제시하는 전략 패턴과 처리 절차 재사용의 구조를 제시하는 템플릿 메서드 패턴의 구조를 비교하고, 분산 통신 컴포넌트 설계 시 전략 패턴의 적용 사례를 보여준다.

디자인 패턴 컴포넌트의 명세와 조립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pecification and Composition of Design Pattern Component)

  • 하성민;송영재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3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Ⅲ
    • /
    • pp.1625-1628
    • /
    • 2003
  • 본 논문은 패턴 지향 설계를 함에 있어 필요한 구조적 디자인 패턴의 가시적 조립을 목적으로 하며, 재사용 가능한 패턴들을 명세 및 조립하는 방안을 제안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 설계의 복잡성을 감소시키고자 한다. 본 논문은 패턴 지향 설계를 함에 있어 필요한 구조적 디자인 패턴의 가시적 조립을 목적으로 한다. 디자인 패턴 컴포넌트의 명세에서 패턴 인터페이스들 사이의 관계를 명시적으로 정의하며 패턴의 내부와 인터페이스 사이의 관계를 기술한다 디자인 패턴 컴포넌트의 조런은 패턴 타입과 인스턴스 네임으로 구성되며, 두 패턴 사이의 관계는 종속으로 지시되고 저장소로부터 패턴을 선택하여 종속을 정의하고 방향을 정해주게 된다.

  • PDF

상호작용 기반의 VR 패션쇼 디자인 설계 (A Study on Design for the Interactive VR Fashion Show)

  • 안덕기;조성현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25-34
    • /
    • 2020
  • 본 연구는 상호작용이 사용자 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디자인 설계로서, 제작자 관점에서 Interactive VR 패션쇼 프로토타입을 분석하고 제작한 사례연구이다. VR 패션쇼 디자인 설계에서 네 가지 상호작용 요소로 선정된 카메라 시점, 의상, 이펙트, 그리고 사운드 UI 아이콘을 통한 Interactive VR 패션쇼를 제작하였다. 최종 디자인 설계는 VR 공간 설계에서 속도, 범위, 매핑의 세 가지 적용요소 중심으로 제안하고, Unity3D 엔진에 적용될 데이터의 포맷 변환을 3D 모델, 애니메이션, 2D UI 디자인, 그리고 시뮬레이션 과정에 맞추어 사용자 경험에 영향력을 전달하는 디자인을 설계하였다.

디자인 패턴지향 소프트웨어 개발 지원 도구 (Tool for Supporting Design Pattern-Oriented Software Development)

  • 김운용;최영근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29권8호
    • /
    • pp.555-564
    • /
    • 2002
  • 디자인 패턴은 과거에 잘 정의된 설계정보를 활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어진다. 이러한 디자인 패턴의 활용은 객체지향 패러다임에서 재사용성과 개발시간의 단축 그리고 소프트웨어 품질의 향상을 가져온다. 그러나 이러한 디자인 패턴의 광범위한 활용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디자인 패턴 정보는 수작업에 의해 활용됨으로써 일관성이 없고 활용능력이 떨어진다. 또한 설계자에 의해 적용된 디자인 패턴정보는 소프트웨어에서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디자인 패턴에 대한 추적성에 대한 문제를 가진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디자인 패턴지향 소프트웨어 개발 지원 도구를 제시한다. 이 시스템은 디자인 패턴의 관리와 소프트웨어 설계 및 자동화 소스코드 생성기능을 지원한다. 디자인 패턴 관리 기능은 존재하는 디자인 패턴을 저장관리 및 분석과 새로운 디자인 패턴 등록할 수 있는 기능을 담고 있으며, 소프트웨어 설계 기능은 UML 형태의 소프트웨어 설계기능과 디자인 패턴요소의 자동생성기능을 지원한다. 또한 이러한 설계정보를 이용한 소스코드 자동생성기능을 지원하는 소스코드 관리 기능을 가진다. 그 결과 기존의 CASE 도구에서 제시하지 못한 디자인 패턴요소의 추적성을 설계정보에 포함시킴으로서 소프트웨어 분석의 용이성을 제공하고 디자인 패턴 관리와 자동 소스코드 생성기능의 제공을 통해 보다 안정되고 효율적인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