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디자이너

검색결과 979건 처리시간 0.025초

인터뷰 - 김지혜 롯데칠성음료(주) 디자인팀 디자이너

  • 김지혜
    • 월간포장계
    • /
    • 통권210호
    • /
    • pp.90-92
    • /
    • 2010
  • 지식경제부와 한국디자인진흥원은 대한민국 디자인 산업을 이끌어갈 우수한 신예 디자이너 발굴의 장이자, 국내 산업 디자인의 미래를 조망하는 "대한민국디자인전람회" 수상작을 발표했다. 대한민국 디자인계를 이끄는 학계 산업계의 초대 추천 디자이너 542명을 배출한 이 전람회는 1995년부터 집계된 출품 수만 2만5천여 점에 달하는 국내 최대 최고 규모의 공모전이다. 이번 전람회에서는 롯데칠성 디자인팀의 김지혜 씨가 바쁜 현대인들에게 안전하고 건강한 생활 식습관을 제안한 "요리하는 즐거움, 건강한 라이프스타일을 위한 패키지디자인연구"로 국무총리상을 수상하게 됐다. 김지혜 디자이너에게 작품 소개 및 패키지디자인에 대한 견해를 들어보았다.

  • PDF

디자인 컨설턴트 발전을 통한 디자이너의 가치 향상 (New Role of Designer's Value through Design Consultancy Developing)

  • 진향;강범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9호
    • /
    • pp.232-242
    • /
    • 2010
  • 세계 경제의 일체화, 공업 설계의 글로벌화, 그리고 세계 기술혁명과 사회경제의 발전으로 각 나라의 디자인 컨설팅업계 또한 흥기되기 시작하였는데 이는 새로운 제품의 창조와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는데 새로운 에너지를 주입시켜주고 있다. 동시에 디자이너들의 디자인 또한 단순히 제품을 디자인하는 단일한 행동으로만 가치를 창조하는 것이 아니라, 디자이너의 직능과 가치 창조의 경로를 통하여 디자이너의 직능과 가치 창조의 방법을 통해 다원화적인 방향으로 발전하기 시작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관련 문헌을 통해 현재 디자인 컨설팅의 기본적인 개념, 유형 등 내용을 살펴볼 것이다. 두 번째는 선행연구를 통해 영국, 일본, 한국의 디자인 컨설팅업계의 발전 상황, 발전 추세 및 경제발전 과정에서 디자이너의 발전상황과 직능의 전환 상황에 대해 고찰해볼 것이다. 마지막으로, 현재 기업에서 디자이너가 공업 디자인자문을 할 때 역할과 지위의 범주 확정에 있어서의 모호성에 대해서 본 연구의 결론을 제기할 것이다. 또한 전체적인 프로젝트의 기획자, 디자인 전략의 기획자, 전반적 디자인 프로세스의 제공자, 고객 사유의 인도자 등 넷 가지 측면으로부터 디자이너가 공업 디자인 서비스를 제공할 때 담당하는 역할에 대해 설명 할 것이다.

한국 광고디자이너의 직무만족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ternmining Factors of Korean Advertising Designer's Job Satisfaction)

  • 정무환;주지혁
    • 디자인학연구
    • /
    • 제17권4호
    • /
    • pp.337-346
    • /
    • 2004
  • 일반적으로 직무만족은 종업원의 생산성과 연관된다고 판단되기 때문에 광범위하게 연구되어왔다. 그러나 광고디자이너들의 직무만족에 대한 실증적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었다. 광고디자이너의 조직심리 또는 조직형태를 학문적으로 다룰 필요성이 있는 현실 속에서, 이 연구는 광고대행사에 조직관리차원의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학자들의 선행연구에 의하면 직무만족은 크게 개인적인 요소와 조직차원의 요소에 의해서 결정된다. 그러나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직무만족에는 개인적 성향 보다 조직적 요인인 승진과 보수 등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보수보다 승진에 더 크게 영양을 받고, 상사나 동료의 인정, 공간의 쾌적함이나 휴가활용 등과 관련 있는 업무환경의 영향력이 컸다. 이를 종합하여 광고디자이너는 이 직무만족결정요인에 대한 최종 모델을 마들어 본 결과 보수, 승진, 및 대인관계가 광고디자이너의 직무만족도를 결정하는 요인이 일반적인 것과 크게 다르지 않은 것은, 대행사가 디자이너의 고유성을 잘 반영하지 못하고 다른 조직원들과 동일한 직무환경과 시스템을 제공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디자이너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서는 광고대행사가 보수와 평가 등에서 광고디자이너의 고유한 특성과 정체성을 잘 반영하는 합리적인 인사정책을 수립하고 이를 통해 직무만족도를 상승시키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 PDF

미용사 헤어 국가기술 자격증 실기과제가 헤어디자이너의 직무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Hairdresser National Technology Certification Practical Tasks on Hair Designers' Job Attitude)

  • 오정선;박장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5호
    • /
    • pp.819-825
    • /
    • 2022
  • 전문 직업인으로서 자질과 실력을 검증하기 위한 미용사 국가기술 자격증의 중요성이 증가하는 가운데 헤어 실기과제에 대하여 헤어디자이너가 지각하는 직무 태도 연구를 통해 성취동기와 직무 태도 향상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헤어살롱에서 근무하는 헤어디자이너의 직무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결과 미용사 헤어 국가기술 자격증 실기과제 중 블로우 드라이는 헤어디자이너의 직무 효능감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두피 스켈링과 샴푸는 헤어디자이너의 직무만족도를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가발에만 국한되는 비현실적 실기기법이 아닌 미용산업체에서 고객에게 다양한 기법으로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는 실용성을 가미한 자격증 실기과제에 대한 다양한 제시가 가능해지며, 체계적인 교육과 헤어디자이너의 직무 태도 향상을 유도하고자 한다. 더불어 본 연구는 헤어디자이너의 성취동기 향상을 위한 다양한 실기과제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리라 사료한다.

조형예술을 응용한 현대 의상디자인 발상에 관한 연구 -몬드리안의 기하추상을 중심으로-

  • 조진숙
    • 복식문화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복식문화학회 2004년도 정기총회 및 춘계학술대회
    • /
    • pp.59-62
    • /
    • 2004
  • 조형예술은 의상디자인 창작에 있어서 디자이너들에게 가장 큰 영감을 주는 분야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많은 디자이너들이 자신의 영감을 조형예술에서 찾는다고 볼 수 있는데 20세기 초부터 Paul Poiret를 선두로 하여 디자이너들이 예술작품에서 영감을 얻었을 뿐만 아니라 예술가들과 공동작업을 벌여왔고 예술가들의 의상디자인 직접적 관여는 의상을 예술의 위치에 놓는데 한 몫을 담당하였다. (중략)

  • PDF

건축 디자이너 김종호-가장 트렌디하면서도 지역적인!

  • 정명효
    • 주택과사람들
    • /
    • 통권206호
    • /
    • pp.86-87
    • /
    • 2007
  • 건축 디자이너 김종호는 단언했다. "나는 인터내셔널리즘을 반대합니다."지역적인 코드 없이 전 세계 도시가 같아지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것이다. 베이징과 서울과 뉴욕은 엄연히 달라야 하지 않겠나. 유러피안 클래식 무드가 뒤엎은 정체불명의 하우징을 마주하면 그도 디자이너가 누구인지 궁금해진다고 했다. 그 웃음 안엔 날카로움이 서려 있다.

  • PDF

자연에서 찾은 건강_빛이랑 친구하자 - 빛을 디자인하는 사람 - 우리나라 최초 조명디자이너 고기영 사람에게 이로운 건강한 빛을 담다

  • 이윤미
    • 건강소식
    • /
    • 제35권2호
    • /
    • pp.10-11
    • /
    • 2011
  • 제주 나인브릿지 골프장, 용산의 국립중앙박물관, 남대문의 서울스퀘어, 충무로 대한극장 등. 이 공간의 공통점은 고기영 조명디자이너의 손길이 닿은 작품이라는 것이다. 밤이 낮보다 아름다운 공간을 수놓는 조명디자이너. 그녀가 생활하는 공간은 어떤 공간일까. 지난 1월 12일 한남동 '비츠로' 사무실에서 고기영 대표(48세)를 만났다.

  • PDF

CI개발에 있어 의뢰인과 디자이너간 갈등의 영향요인과 해소방안연구 (Research on Influencing Factors on Conflicts between Client and Designer in CI Development and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 정형식;최미순;김영심
    • 디자인학연구
    • /
    • 제18권1호
    • /
    • pp.185-194
    • /
    • 2005
  • 본 연구는 CI개발 의뢰인인 기업, 대학, 지자체와 CI개발 디자이너간에 관계를 중심으로 CI개발 디자이너의 특성 및 의사 소통과 갈등과의 관계를 조사하고 이를 통해 상호간에 존재하는 갈등과 갈등해소전략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함으로써 성공적인 CI개발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분석결과 CI개발에 있어 디자이너의 특성인 비밀유지성과 창조성은 CI개발 의뢰인과 디자이너 모두의 의사소통 인식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특히 CI개발 의뢰인측에서는 디자이너와의 원활한 의사소통이 갈등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CI개발의 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이들간의 갈등을 우선적으로 낮추고 가급적 제 3자를 개입시키는 정치적해결방식을 지양하여야 한다. 그러나 갈등이 심화될 때는 의뢰인의 경우 정치적해결방식을 취하고 디자이너의 경우 문제해결방식을 취하는 것이 비교적 높은 성과를 달성할 수 있다는 분석결과를 도출하였다.

  • PDF

디자인 조형언어에 대한 소비자의 감성적 인지특성 (Characteristic on the emotional recognition of consumer about the formative language)

  • 민경택;허성철
    • 감성과학
    • /
    • 제12권1호
    • /
    • pp.87-96
    • /
    • 2009
  • 디자인 조형화 과정에 있어서 최근에는 소비자들의 참여가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며, 소비자들은 제품의 형태에 대한 직접적인 평가나 제안을 하기도 하며, 기업에서도 이러한 소비자들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근본적으로 제품의 형태를 다루는 데에 있어서 소비자와 디자이너는 어느 정도의 시각 차이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곧 제품 조형화 과정에 있어서 소비자와 디자이너의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에 방해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소비자와 디자이너의 제품 형태에 대한 감성반응에 대한 특징을 통해 소비자의 감성반응을 이끌어 낼 수 있는 효과적인 가이드라인을 알아보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이러한 소비자와 디자이너의 제품 형태에 대한 감성반응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을 진행하였는데, 먼저 제품 형태 기반의 감성 이미지 어휘에 대한 정립을 진행하였다. 정립된 이미지 어휘를 기반으로 각각 소비자와 디자이너에게 동일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소비자와 디자이너의 형태에 대한 감성 반응은 유의한 성향을 띄게 되는데 이 때 디자이너가 소비자에 비해 보다 극적인 반응을 나타내는 특징이 나타났다.

  • PDF

웹 디자인의 요소 평가: 이용자 관점과 디자이너 관점의 비교 연구 (Designing and Evaluating Websites from both Users' and Designers' Perspectives)

  • 이지연;김성언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26
    • /
    • 2003
  • 웹사이트 디자인과 평가에 대한 연구는 정보과학분야, 컴퓨터분야, 인지과학분야, 산업디자인분야 등을 중심으로 활발하여 이루어져 왔다. 정보과학분야에서 웹사이트 디자인과 관련하여 중요하게 강조하는 부분은 이용자가 이용하기 쉬우며 이용자에게 친숙한 이용자 중심의 웹사이트를 디자인하는 것이다. 이러한 개념은 이용자와 디자이너를 별개의 집단으로 이해하고, 웹 디자이너들이 웹사이트를 디자인할 때에 이용자의 요구사항을 충분히 반영하여야 함을 강조한다. 이 연구에서는 이용자와 디자이너를 별개의 집단으로 보는 관점을 벗어나 최근 늘어나고 있는 집단인 웹사이트 이용자인 동시에 웹사이트 제작 경험이 있는 디자이너를 대상으로 하여 자신이 디자인한 웹사이트와 다른 연구 대상자들이 디자인한 웹사이트를 평가하도록 하였다. 질문지를 통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용자이면서 디자이너인 218명의 연구 대상자들은 이용자의 관점과 디자이너의 관점에서 모두 웹사이트의 내용전달, 디자인의 단순성과 일괄성, 링크와 접근성 측면을 공통적으로 중요시 여기고 있었다.반면, 내용의 체계성과 풍부성, 화면구성 측면은 이용자 관점에서 중요한 고려사항으로 제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웹사이트 제작 시 중요성이 간과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