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등 마하수

Search Result 54,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기미부 형상과 엔진화염에 의한 유도탄의 항력 영향 수치해석

  • 정석영;안창수
    • 한국전산유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2.10a
    • /
    • pp.23-27
    • /
    • 2002
  • 천음속으로 비행하는 공기흡입유도탄의 경우, 비행거리 및 요구기동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추진제트에 의해 변화하는 기체 기미부의 압력항력을 정확히 예측하고 이 항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기미부 형상설계는 매우 중요하며 필수적이다. 제트 Plume에 의한 기체 기미부 및 base의 압력분포에 따른 항력해석을 난류모델링을 고려한 수치해석 결과를 제시한다. Jet plume의 크기 및 배기가스 조건에 따른 항력변화, 및 기미부 형상에 따른 항력변화 그리고 천음속 마하수에 따른 결과 등을 제시한다.

  • PDF

Analytical Study on Compressible Plow through Abrupt Enlargement and Contraction (급축소/확대관을 지나는 압축성 유동의 해석적 연구)

  • 김희동;김태호;서태원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 /
    • v.1 no.1
    • /
    • pp.55-63
    • /
    • 1997
  • The empirical factor and reaction force based on published data were involved to investigate compressible flows through sudden enlargement and sudden contraction passages. Analytical solutions of engineering interest were obtained from one-dimensional steady compressible gas dynamic equations. The effects of com- pressibility, cross-sectional area ratio, and inlet Mach number on the air flows were discussed with regards to the total pressure loss and flow choking. The present results provide available information necessary to design the compressible pipe flow systems.

  • PDF

FLAP DEFLECTION OPTIMZATION FOR TRANSONIC CRUISE PERFORMANCE IMPROVEMENT OF SUPERSONIC TRANSPORT WING (초음속 날개의 천음속 순항성능 향상을 위한 플랩 꺽임각 최적화)

  • Kim Hyoung-Jin;Obayashi Shigeru;Nakahashi Kazuhiro
    • Journal of computational fluids engineering
    • /
    • v.6 no.2
    • /
    • pp.9-21
    • /
    • 2001
  • 초음속 여객기의 천음속 순항 성능을 개선하기 위하여 날개의 플랩 꺽임각을 최적화하였다. 이를 위하여 3차원 Euler 코드와 adjoint 코드를 이용한 최적설계기법을 적용하였다. 설계변수로서, 앞전플랩 5개, 뒷전 플랩 5개 등 총 10개의 플랩의 꺽임각이 사용되었다. 설계과정중에 격자계 내부격자점의 수정을 위해 타원형방정식법을 이용하였다. 계산 시간의 단축을 위해 내부격자의 민감도는 무시하였다. 또한 본 설계문제에 근사구배기법의 적용가능성 여부를 조사하였다. 충격파가 없는 경우 앞전 플렙에 한하여 근사구배기법을 적용할 수 있음을 알았다. 최적설계기법으로 BFGS기법을 적용하여 항력을 최소화하였으며, 양력 및 날개 표면 마하수에 대한 제약조건을 적용하였다. 앞전 플랩의 최적화 및 앞전과 뒷전 플랩의 최적화 등 두 개의 설계 문제를 고려하였다. 성공적인 결과를 얻음으로써 본 설계방법의 타당성 및 효율성을 확인하였다.

  • PDF

Heat Transfer and Flow visualization of Supersonic impinging jet (초음속 충돌제트의 유동 가시화 및 열전달 특성)

  • 조용일;김병기;조형희;황기영;배주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0.11a
    • /
    • pp.31-31
    • /
    • 2000
  • 초음속 충돌제트(impinging jet)의 열 및 운동량 전달(heat and momentum transfer)은 로켓의 이ㆍ착륙, 다단 로켓의 분리, 로켓의 방향조절을 위해 배기 노즐에 부착되는 제트 베인(jet vane)이나 스포일러 탭(spoiler tab), 수직/단거리 이착륙기의 발진, 미사일 발사시스템, 전투기 동체, 날개, 후미 부분에서 발사되는 미사일의 배기가스가 주변장치 등에 충돌할 때 발생되는 문제점 등을 사전 예측하여 관련장비의 설계 둥에 유용한 자료로 이용된다. 따라서 이에 대한 기초 연구로서 초음속 유동 실험장치를 이용하여 마하수(Mach Number) 1.0 및 1.8인 경우에 대하여 수직/경사평판에서 팽창 비, 거리, 경사각에 따른 충돌 면에서의 단열 벽면온도를 측정하였다. (중략)

  • PDF

Assessment of the Counter-Flow Thrust Vector Control in a Three-Dimensional Rectangular Nozzle (3차원 직사각형 노즐에서 역유동 추력벡터 제어 평가)

  • Wu, Kexin;Kim, Tae Ho;Kochupulickal, James Jintu;Kim, Heuy D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 /
    • v.24 no.1
    • /
    • pp.34-46
    • /
    • 2020
  • Computational assessment of gas-dynamic characteristics is explored for a three-dimensional counter-flow thrust vector control system in a rectangular supersonic nozzle. This convergent-divergent nozzle is designed by Method of Characteristics and its design Mach number is specially set as 2.5. Performance variations of the counter-flow vector system are illustrated by varying the gap height of the secondary flow duct. Key parameters are quantitatively analyzed, such as static pressure distribution along the centerline of the upper suction collar, deflection angle, secondary mass flow ratio, and resultant thrust coefficient. Additionally, the streamline on the symmetry plane, three-dimensional iso-Mach number surface contour, and three-dimensional turbulent kinetic energy contour are presented to reveal overall flow-field characteristics in detail.

Freejet 타입 램제트 엔진 성능시험기 기본설계

  • Lee, Yang-Ji;Cha, Bong-Jun;Yang, Soo-Seok
    • Aerospac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3 no.1
    • /
    • pp.65-78
    • /
    • 2004
  • This research was conducted for an acquisition of the ramjet engine test facility design technique which are concerned about freejet type test facility. In this research, we concentrated on the design technique and the construction technique of the vitiation air heater(VAH), test section, diffuser and ejector. Based on the operating modes of the basic test facility, ten operating modes in coordinates "Altitude-Mach number" was regenerated from Mach 2, Altitude 0km to Mach 5, Altitude 15km. In this operating modes, we calculated a design parameter of the supersonic nozzle, VAH, diffuser and ejector and acquired a technique for the ramjet test facility operating and repairing.

  • PDF

Study on the Nozzle Surface Regression Mechanism (노즐 표면 삭마 미케니즘에 대한 고찰)

  • Lee Tae-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6.05a
    • /
    • pp.141-143
    • /
    • 2006
  • It is well known that there are three mechanisms in the nozzle surface regression, namely ablation, mechanical erosion and chemical corrosion. There are Analogies among these three mechanisms. In order to compare the order of the magnitude of these mechanism, the analogy was adapted and the Mach number of the gas flow was expressed by the nozzle shape(location).

  • PDF

Shock-Wave Effects on the Mixing and the Stabilization of Supersonic H$_2$-Air Flames for SCRamjet Applications (스크램제트 모델 연소기 내에서 초음속 수소-공기화염의 혼합과 연소안정성에 대찬 충격파의 영향)

  • 허환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98.10a
    • /
    • pp.15-15
    • /
    • 1998
  • 마하 수 6 이상인 극초음속 비행에는 스크램제트(SCRamjet : Supersonic Combustion Ramjet) 엔진이 가장 적합한 엔진으로 알려져 있고 현재 미국을 중심으로 이 엔진의 개발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스크램제트 엔진의 성공적인 개발을 위해서는 초음속 공기 내에서 연료의 분사를 통한 가장 효율적인 연소를 유도할 수 있어야 한다. 초음속 상태의 공기와 연료의 혼합을 증대시키고 연소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연소기 내에 인위적으로 경사충격파를 발생시키는 방안이 Marble 등에 의해 최초로 도입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스크램제트엔진 내의 연소기를 모델링하여 마하수 2.5의 초음속공기 유동 중앙에 수소 제트를 분사하여 초음속 수소-공기 화염을 만들고 연소기의 측면에 동일한 모양과 크기의 쐐기를 각각 부착시켜 평면 경사충격파를 발생시켰다 본 실험은 충격파가 초음속 화염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최초의 실험연구이다.

  • PDF

측추력기의 성능 향상에 관한 연구

  • 변영환
    • 한국가시화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4a
    • /
    • pp.9-18
    • /
    • 2004
  • 초음속 유동하에서 측추력기 주위의 유동 현상을 실험 및 수치해석을 이용하여 해석하였다. 실험은 버지니아공대의 초음속 풍동과 건국대의 초음속 풍동을 사용하였으며 계산 코드는 Aerosoft 사의 GASP(ver.4.0)과 건국대의 AADL3D를 사용하였다. 실험결과는 Schlieren, Shadow graph 등의 가시화 장치와 압력 센서와 PSP(Pressure Sensitive Paint)를 이용하여 유동장 특성과 압력분포를 구하여 실제 작용되는 힘과 모멘트를 구하였다. 실험조건은 자유류의 흐름이 마하수 4 이고 측추력기와 자유류의 압력비가 532 이었다. 성능향상 방안으로 측추력기 후방에 램프를 설치하는 것을 제안하였으며 이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여 수직력에 대한 변화는 없지만 피칭다운 모멘트가 약 $70\%$ 감소함을 보여주어 실제로 성능이 향상되었음을 입증하였다. 또한 측추력기의 성능에 영향을 주는 여러 가지 인자들에 대한 가시화실험을 수행하여 그 이해를 돕고자 하였으며, 현재 건국대에서 보유하고 있는 고속유동 관련 실험장치의 소개와 이를 이용한 연구들을 소개하므로써 압축성 유동장 연구에 이러한 실험장치의 필요성에 대한 이해를 구하고자 한다.

  • PDF

Computational Turbulent Models (난류유동의 계산모형)

  • 정명균
    • Journal of the KSME
    • /
    • v.34 no.9
    • /
    • pp.688-697
    • /
    • 1994
  • 유체유동이나 열전달 그리고 물질전달 (물질의 혼합 및 확산) 또는 이들 현상이 복합적으로 나 타나는 각종 기계의 설계와 성능 해석을 하기 위해서는 그 현상을 지배하는 편미분 방정식들의 해를 수치적으로 구해야 한다. 유동 상태가 충류 유동인 경우는 지배 방정식의 수가 알고자 하는 미지변수 즉 속도, 압력, 온도, 농도 등의 개수와 같고 또한 이들 변수들의 변동이 그리 심하지 않기 때문에 적절한 수치 해법을 사용하면 그 해를 구할 수 있다. 그러나 난류유동의 경우에는 변수들이 시간상으로 또한 공간적으로 대단히 심하게 변동(fluctuation)하기 때문에 공 학적으로 우리가 원하는 정보들, 즉, 표면 마찰저항이나 양력, 얼전달 계수, 물질 확산계수 등을 현재 수준의 전자계산기로 계산하는 데는 계산시간이 엄청나게 소요될 뿐만 아니라 변수 저장 메모리도 과도하게 차지하기 때문에 실제적인 계산 방법이 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변수들의 순간 변화 상태를 나타내는 지배 방정식들을 해석하는 대신에 이들 지배 방정식의 시 간평균을 취하여 유도한 난류 방정식들을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이 시간 평균 과정에서 파생 되는 또 다른 미지의 난류 변수들 때문에 난류 지배 방정식에 있어서는 그 지배 방정식의 개수 보다 미지 변수의 개수가 많아져서 난류 지배 방정식을 풀기 위해서는 시간평균 과정에서 나타난 난류 변수들을 원래 있던 미지 변수들의 함수나 방정식의 형태로 가정할 필요가 있게 되는데 이 가정되는 함수 관계들을 난류 계산 모형이라고 한다. 난류 계산 모형은 물리적인 통찰과 직관에 의해서 실용적인 형태로 가정되기도 하지만 최근에는 논리적으로 엄격한 모형 원칙에 따른 수 학적인 방법으로 유도되고 있는데 이 글에서는 일반 독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마하수가 낮은 2차원 비압축성 난류 유동을 예로 들어 x-y 직교 좌표계에서 표현되는 난류 계산 모형들을 소개하고 앞으로듸 발전 방향을 개관하며 현재의 응용 사례들을 예로 들어 모형의 성능을 비교 하여 보기로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