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등온흡착곡선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029초

입상 활성탄에 의한 Quinoline Yellow의 제거 (Removal of Quinoline Yellow by Granular Activated Carbon)

  • 이종집;이창용
    • 청정기술
    • /
    • 제16권3호
    • /
    • pp.206-212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입상활성탄에 의한 quinoline yellow의 흡착특성을 회분식 흡착과 충전층 흡착을 통해 조사하였다. Quinoline yellow에 대한 활성탄의 흡착능은 산성 pH영역과 보다 높은 흡착온도에 의해 크게 증가하였으며, $60^{\circ}C$, pH 3에서 초기농도(10 mg/L)의 97%를 제거할 수 있었다. 입상활성탄에 대한 quinoline yellow의 흡착평형은 $25{\sim}60^{\circ}C$범위에서 Freundlich의 흡착등온식에 잘 맞았다. 흡착등온식으로부터 평가된 k와 ${\beta}$ 값은 각각 38.71~166.60과 0.380~0.490이었다. 활성탄 충전층에서의 파과곡선은 초기농도, 충전층의 높이, 유입속도 등과 같은 설계변수의 영향을 받았다.

수분활성과 온도변화에 따른 커피의 흡착특성 및 흡착량 예측모델 (Adsorption Characteristics and Moisture Content Prediction Model of Coffee with Water Activity and Temperature)

  • 윤광섭;최용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690-695
    • /
    • 1990
  • 커피의 저장 중 흡착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는 수분활성 및 온도이다. 따라서 커피의 제조공정 중 추출시 건조방법의 차이에 따른 세 종류의 제품에 대한 흡착 특성을 조사하고 수분활성, 온도 및 시간의 변화에 따른 흡착량을 측정하여 조건변수의 변화에 따른 흡착량의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예측모델식을 수립하였다. 흡착거동은 전형적인 Sigmoid 형태를 나타냈으며 평형수분함량과 단분자층 수분함량은 동결 건조제품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건조방법에 의해 생성된 다공성구조에 기인된 것으로 사료된다. 기 발표된 여러 형태의 등온흡착곡선 모델식에 적용시켜 본 결과 Halsey 모델식의 상관계수 r값이 $0.98{\sim}0.99$로 가장 적합하였다. 또한 예측모델식은 SPSS COMPUTER PROGRAM을 이용하여 가장 오차가 적은 범위에서 수분활성, 온도 및 시간의 변화에 따른 흡착량의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최종적인 모델식을 수립하였다.

  • PDF

고정층 흡착탑에서 석탄비산재로부터 합성한 Zeolite의 VOCs 흡착 해석 (Adsorption Analysis of VOCs of Zeolite Synthesized by Coal Fly Ash in a Fixed-bed Adsorber)

  • 김성수;이창한;박상욱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8권6호
    • /
    • pp.784-790
    • /
    • 2010
  • 고정층 반응기에서 비산재로부터 합성한 제올라이트와 4종류의 활성탄을 사용하여 질소 기류에서 아세톤, 벤젠, 톨루엔, 에틸벤젠 증기의 파과곡선을 측정하였다. 흡착실험은 101.3 kPa, $40^{\circ}C$에서 혼합 가스의 유량 $70cm^3/min$, 흡착제의 공급량 5 g, 그리고 VOCs 증기의 농도는 포화조의 온도를 $30^{\circ}C$로 하여 행하였다. 실험으로부터 얻은 파과곡선의 비선형해석으로부터 VOCs의 흡착과 흡착제의 비활성화를 동시에 고려한 비활성모델의 흡착속도상수와 비활성속도상수를 구하여 문헌의 다른 흡착등온모델과 비교하였다. 검토한 모델 중 비활성모델이 실험결과와 가장 일치하였고 다음으로 Freundlich, DRK 모델 순으로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파과곡선으로부터 구한 흡착제의 흡착용량은 VOC의 끓는점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증기압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토양의 다중이온체계내에서의 황산이온의 이동을 고려한 흡착기작 (Mechanisms of Adsorption with Respect to Sulfate Mobility in Multispecies Systems of Soils)

  • 정덕영
    • 농업과학연구
    • /
    • 제27권2호
    • /
    • pp.135-140
    • /
    • 2000
  • 토양내에서 황산이온의 이동성은 산화환원전위, 토양광물 특성, pH, 그리고 환산이온과 토양입자 표면에 흡착에 관여하는 타 음이온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고 알려져 있 다. 제시된 황산이온의 흡착 기작은 토양입자 표면과 수용성상태의 음이온간의 상관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그러므로 흡 탈착연구로 부터 얻어진 적정한 계수를 적용함으로서 다중 이온이 존재하는 토양내에서의 일반적 등온흡착 곡선을 적용할 수 있는 이 동모형은 실험적 접근 방법을 수용하게 된다.

  • PDF

벤젠과 그 유도체들의 흑연표면 위의 흡착메카니즘 (Adsorption Mechanism of Benzene and Its Derivatives on Graphite Surfaces)

  • 김윤수;안영수;박형석;장세헌
    • 대한화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79-84
    • /
    • 1974
  • 진공미량저울을 써서 벤젠과 그 유도체들의 흑연화카아본블랙, Spheron6 위에서의 흡착등온 곡선을 얻었다. 이로부터 각 흡착질의 Spheron6 위에서의 분자단면적을 계산했다. 이 값들을 비교하여 흡착질이 Spheron6 표면에 흡착될 때, 벤젠고리는 흡착체 표면에 평행으로 되며 흡착질 분자는 이 평면 상에서 제한된 각도로 회전하고 있음을 밝혔다.

  • PDF

흡착공정 개발을 위한 다중규모 모사: 활성탄에서의 n-Hexane 흡착에 관한 사례연구 (Multiscale Simulation for Adsorption Process Development: A Case Study of n-Hexane Adsorption on Activated Carbon)

  • 손혜정;임영일;유경선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6권6호
    • /
    • pp.1087-1094
    • /
    • 2008
  • 본 연구는 활성탄을 사용한 n-hexane의 흡착공정에 있어서 분자수준에서 시작하여 공정단계에 이르는 다중규모 모사에 관하여 기술한다. 분자모사에서는 GCMC(Grand Canonical Monte Carlo) 방법을 이용하여 활성탄에서 n-hexane의 등온흡착식을 예측하고, 2차원 전산유체역학(CFD;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모사를 통하여 흡착컬럼 내 유체흐름에 대한 수력학적 특성을 파악한다. 공정모사단계에서는 분자모사 및 유체역학 모사에서 각각 얻은 등온흡착식과 축방향 확산계수값을 이용하여 n-hexane의 용출곡선을 얻는다. 이러한 3단계 다중규모 모사기법을 활용하여 얻은 공정모사 결과는 펄스응답의 실험결과와 비교해볼 때, 온도와 유량변화에 따른 1차 모멘트(평균 체류시간)에 관하여 약 20% 미만의 오차범위에서 일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결과로부터 분자수준에서 시작하는 다중규모 모사는 필요한 실험횟수를 줄이면서 흡착공정 개발을 가속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M(Cd, Cu)-활성탄의 표면 특성과 항균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urface and Antibacterial Properties for M(Cd, Cu)-Activated Carbon)

  • 오원춘;김종규;김명건
    • 분석과학
    • /
    • 제12권2호
    • /
    • pp.105-110
    • /
    • 1999
  • 금속이 처리된 활성탄에 대한 물리 화학적 흡착특성과 항균효과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Cd 및 Cu가 처리된 활성탄에 관한 물리 흡착 연구로부터 대표적인 Type I의 등온곡선을 얻었다. 이들 금속이 처리된 활성탄의 BET 비표면적 값은 Cd-AC의 경우 $1101-1418m^2/g$의 사이에 분포하였으며, Cu-AC의 경우 $1084-1361m^2/g$의 범위에 분포하였다. 또한 흡착 등온곡선으로부터 ${\alpha}_s$-방법을 도입하여 미세 동공 부피 값과 대표적인 동공 크기 분포를 얻었다. SEM 연구로부터 활성탄의 많은 미세 동공들이 처리된 금속에 의하여 가리움 현상을 일으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Escherichia coli에 대한 항균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결과로부터 Cd와 Cu의 양을 증가시켜 처리함에 따라 항균 활성 면적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Atrazine의 토양 흡착 및 탈착에 미치는 접촉시간의 영향 (Aging Effects on Sorption and Desorption of Atrazine in Soils)

  • 박정훈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0권1호
    • /
    • pp.26-34
    • /
    • 2005
  • 토양과 유기화합물의 접촉시간은 흡착과 탈착의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atrazine의 토양 흡착과 탈착에 미치는 접촉시간의 영향을 연구하였다. 등온 흡착실험을 수행하여 토양과 수용액 사이의 분배계수를 구하였고, 탈착에 대한 동력학 실험을 수행하고 three-site desorption모델을 이용, 회기분석 하여 탈착속도 계수들을 추산하였다. atrazine과 토양의 접촉시간은 2일에서부터 8개월까지 변화시켰다. 2일 흡착에 대한 atrazine의 흡착등온 곡선은 거의 선형이었고$(r^2>0.97)$, 흡착분배계수는 토양의 유기탄소 함량과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가졌으며 사용한 모든 토양에서 접촉시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였다. 흡착곡선에서의 비선형성은 Houghton muck토양을 제외하고는 접촉시간에 따라 증가하지 않았다. 탈착실험 분석으로부터 접촉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equilibrium site분율은 감소하고 non-desorbable site 분율은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사용한 모든 토양에서 토양유기탄소 함량으로 표준화한 경우 desorbable sites 에서의 atrazine농도는 접촉시간에 따라 비교적 일정한 것에 비해 non-desorbable site에서의 atrazine농도는 접촉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페놀레진으로부터 유도된 탄소질 수분 흡수제의 특성 (The Properties of Carbonaceous Desiccant Derived from Phenolic Resin)

  • 오원춘
    • 분석과학
    • /
    • 제13권3호
    • /
    • pp.332-337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페놀레진으로 부터 유도된 탄소질 수분 흡착제의 질소흡착, 표면 특성 및 수분 흡착량을 통하에 물리화학적인 특성을 제시하였다. 탄소질 수분 흡착제의 질소흡착에 관한 연구로부터 각각의 시료에 대하여 Type II의 흡착등온곡선을 얻었다. 이들 시료에 대한 흡착량은 물을 사용하여 세척한 후에 감소함을 나타내었다. BET식을 사용하여 계산된 $S_{BET}$값은 수세 전에 $648.7m^2/g$를 나타내었고, 수세 후에 $189.3m^2/g$를 나타내었다. SEM 모폴로지의 결과로부터 탄소질 수분 흡착제의 표면구조는 수세 전에 침상구조의 성상을 보였고, 수세 후에는 구형입자의 성상을 관찰 할 수 있었다. 최종적으로 수분흡착 효과를 측정한 결과, 수분 흡착량은 25-63%의 흡착량을 나타내었다. 또한 이들의 효과는 낮은 상대습도에서도 좋은 특성을 보였다.

  • PDF

나노 크기 적철석 입자 피복 모래를 이용한 비소 3가와 비소 5가의 제거 (Removal of Arsenite and Arsenate by a Sand Coated with Colloidal Hematite Particl)

  • 고일원;이상우;김주용;김경웅;이철효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9권1호
    • /
    • pp.63-69
    • /
    • 2004
  • 금속광산 일대의 비소오염 지중 복원기술로써 투수성 반응벽체의 흡착제로 철산화물인 적철석 피복 모래의 적용가능성을 평가했다. 이를 위해서 흡착곡선실험, 비소제거속도실험 및 컬럼내 비소 제거 실험을 통해서 철산화물 피복 모래에 의한 비소 3가와 비소 5가의 제거 효율 및 유동환경에서의 비소 제거능력에 대해 고찰하였다. 적철석 피복 모래는 1.0 mg/L 수준의 낮은 비소 농도에서 높은 흡착력을 보이는 선형 등온 흡착곡선을 보였다. 컬럼실험에서 높은 피복모래의 안은 비소제거효율을 높였으나, 비소 3가가 비소 5가보다 흡착력이 떨어지고 지하수의 유동적인 환경에서 비소의 물리적 확산 현상으로 흡착반응속도의 저하 때문에 제거양이 감소했다. 따라서, 유동적인 환경에서 피복모래의 상대적인 양, 비소화학종의 흡착력, 흡착반응속도가 제거 효율을 좌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