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드론활용사례

Search Result 80, Processing Time 0.03 seconds

안전보안드론(SFFP) 도입을 통한 항만 안전보안 역량 강화

  • Park, Se-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9.11a
    • /
    • pp.281-283
    • /
    • 2019
  • 항만은 국가 주요보안시설로 철저한 경비와 보안이 요구되며, 철저한 안전관리가 필요함.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로 드론의 범용성이 넓어짐에 따라, 드론을 활용한 항만 내 안전보안 체계 강화가 가능함. 본 발표를 통해 여수·광양항의 드론 활용 사례 및 향후 계획을 논의하고자 함.

  • PDF

Discussions on Regulation and Use of Police Drones (경찰활동상 드론규제와 활용을 위한 논의)

  • Park, Han-Ho;Kim, Sung-Hwa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7 no.7
    • /
    • pp.408-415
    • /
    • 2017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iscuss some of the prominent ideas which use drone for police works. Focusing on the extent of the utility and practicability of using drone in policing, this paper attempts to address both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in conjunction with related statutes and regulations. This study uses a qualitative case study approach and offers three practical implications including: (1) enacting a law that covers using drones in policing, (2) hiring technical professionals or training police officers to prevent illegal drones and to implement a variety of policing strategies, and (3) collecting data and information on crime and criminals and then developing the best way to respond to these problems.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ommercial drone for multi purpose (상용드론 기반의 다목적 전술드론 개발과 활용방안)

  • Jeong, Jin-Man;Oh, Se-Jin;Hwang, Yeong-J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11a
    • /
    • pp.289-291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최근 전투양상과 테러관련 사례를 바탕으로 미래 전장 환경과 테러에 대비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 무인비행체 드론을 중심으로 연구 과제를 도출하고자 한다. 그중에서 고가의 드론이 아닌 상대적으로 저가인 상용드론을 기반으로 프로그래밍과 구조변경 등으로 소부대 전술에 적합한 다목적 드론을 개발하고 활용하는 방안을 연구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PDF

Study on Possible Use of Navy's Future Military Drone (해군의 향후 군사용 드론 활용 가능방안 연구)

  • Kim, Jin-Gwang;Lee, Sa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1a
    • /
    • pp.83-86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해군의 향후 군사용 드론 활용 가능방안을 제안한다. AI, 자율주행 등의 4차 산업혁명 기술들과 함께 상용분야에서는 이미 다양한 드론 활용방안들이 제시되고 있으며, 육군은 이에 발맞춰 2018년 10월 드론봇 전투단을 창설하여 운용 중에 있다. 하지만 아직 해군의 군사용 드론 운용 및 활용방안 등에 관한 연구는 미진하며, 따라서 현재 해군의 군용 드론 활용현황을 살펴보고 객체인식, 자율주행 등의 최신기술과 상용활용 사례 등을 군에 접목시켜 앞으로의 활용 가능방안에 대해서 제안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Overseas Battle Cases Using Combat Drone (공격 드론을 활용한 해외 전투사례 연구)

  • Sang-Hyuk Park;Sung-Kwon Kim;Seung-Pil Namgung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9 no.5
    • /
    • pp.403-407
    • /
    • 2023
  • This study started with the background that future South Korean military organizations should develop a complex system linking unmanned systems by analyzing and considering cases using "drone," which has recently become an essential means of war. In 2014 and 2022, South Korea is facing serious security threats from North Korean drones that have recently invaded South Korea's airspace in a row. If a North Korean drone was loaded with explosives and poisonous gas and invaded our airspace, the damage would be more serious. Furthermore, what the Azerbaijan-Armenian War of 2020 and the ongoing Ukraine-Russia war have in common is that battles using "combat drones" are underway. Watching this shift in the domestic and overseas war paradigm, drones have become essential for military operations. In the context of a "ceasefire" and the military environment on the Korean Peninsula, South Korea should actively develop "Combat drones" that take into account precise strikes and portability against targets linked to military drones.

A Study on vulnerability analysis and solution of drones used by GPS (무인항공기 환경에서 별추적 카메라 기반 드론 운용 기법 연구)

  • Hong, Nam-Su;Lee, Jae-Seung;Gang, Jung-Ho;Jun, Moon-Soe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6.04a
    • /
    • pp.246-249
    • /
    • 2016
  • 최근 무인항공기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군사, 교통, 농업 등 드론의 활용분야가 다양해지고 있다. 하지만 드론이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다양한 취약점에 노출되어 다양한 피해를 야기 시키고 있다. 실제 현재 활용되는 드론의 경우 대부분 위치를 찾고 보정하기 위해 GPS가 활용되고 있지만, GPS의 경우 GPS스푸핑, GPS재밍 등 다양한 취약점에 노출되고 있으며, GPS 취약점에 기반 하여 드론의 추락 및 권한 획득 등의 다양한 사건사고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현재 GPS를 사용하는 드론들의 보안 사례와 취약성을 분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별추적 카메라 기반 드론 운용 기법을 제안한다.

Vulnerability Case Analysis of Wireless Moving Vehicle (무선이동체의 취약점 사례 분석)

  • Oh, Sangyun;Hong, Jinkeun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9 no.8
    • /
    • pp.41-46
    • /
    • 2018
  • As the industry related to drones has been activated, the public interest in drones has increased explosively, and many cases of drone-using are increasing. In the case of military drones, the security problem is the level of defense of the aircraft or cruise missiles, but commercial small and low cost drones are often released and utilized without security count-measure. This makes it possible for an attacker to easily gain access to the root of the drones, access internal files, or send fake packets. However, this droning problem can lead to another dangerous attack. In this regard, this paper has identified the vulnerabilities inherent in the commercial drones by analyzing the attack cases in the communication process of the specific drones. In this paper, we analyze and test the vulnerability in terms of scanning attack, meson attack, authentication revocation attack, packet stop command attack, packet retransmission attack, signal manipulation and de-compile attack. This study is useful for the analysis of drones attack and vulnerability.

A Case Study Civilian Drone (민간용 드론활용 연구)

  • Oh, Se-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5.07a
    • /
    • pp.315-318
    • /
    • 2015
  • 군사용으로 먼저 개발되어 시장을 형성했지만, 드론의 제작이 많아지면서 소비자 시장이 급속도로 확대되고 있다. 최근 중국의 DJI는 기업가치 100억 달러 이상을 넘볼 정도로 급성장 하였고, 드론용 소프트웨어나 플랫폼을 확보한 스타트업 기업들에 대한 투자도 활발하게 진행중이다. 구글이나 페이스북, 아마존 등 자사의 서비스 강화를 위한 목적으로 드론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드론의 시장 확대에 따른 드론 시장 생태계도 크게 확장하고 있다. 향후 민간용 드론 시대가 도래 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이에 맞춰, 본 논문에서는 민간용 드론의 국내 외 활용사례 중심으로 살펴보고, 민간용 드론 시대를 대비하여 국내 대응 방안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 PDF

Case Study for Virtual Reality-based Drone Racing Game (가상현실 기반의 드론 레이싱 게임 개발 사례)

  • Kim, Donguk;Kwak, Jeonghoon;Kim, Hyeok;Sung, Yunsic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6.04a
    • /
    • pp.671-674
    • /
    • 2016
  • 최근 비행이 자유로운 드론의 활용도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드론을 사용함에 있어서 시간 및 공간의 제약, 비용 등의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는 초급 사용자의 진입을 어렵게 한다. 가상 환경에서 드론을 조종하게 함으로써 초급 사용자의 진입 장벽을 낮추고 사용자의 간접 체험을 유도해서 흥미를 유도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가상현실 기반으로 드론 레이싱 게임을 즐기기 위한 게임 개발사례를 소개한다. 실제로 접하기 힘든 드론 레이싱 체험을 가상현실에 접목함으로써 드론의 관심을 높이고 조종 실력을 배양시킨다.

산업경쟁력을 위한 드론과의 쉬운 상호작용 기술

  • Jo, Gwang-Su
    • The Optical Journal
    • /
    • s.158
    • /
    • pp.55-57
    • /
    • 2015
  • 여기저기서 드론이 뜨고 있다. 아마존이 날아오른 드론으로 고객의 문 앞까지 배달하는 모습은 일대 장관이었다. 이제 웬만한 방송에서 하늘 높이 오른 드론으로 내려다본 모습을 전송하는 것은 그저 일상일 뿐이다. 뿐만 아니라, 사람이 직접 닿을 수 없는 곳에서 드론으로 사람을 찾는다거나, 드론을 통해 고층건물의 안전도를 검사한다거나, 정찰을 하는 등 다양한 활용도가 돋보인다. 라스베가스의 세계가전전시회(CES)에서 바르셀로나의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에서 그리고 뉴욕의 장난감전시회 에서도 드론은 스타로 부상했다. 이제 드론은 대중화와 상업적 성공의 기로에 서 있다. 이를 위해서는 기계적 성능이상으로 중요한 것이 드론과 사용자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내는 사용자 경험이다. 즉 드론을 얼마나 쉽고 편하고 정확하고 안전하게 조종할 수 있도록 만드는가가 차별화와 경쟁력의 시작이다. 만약 드론이 지금처럼 조종하기 어렵고 심지어 인명과 재산을 위협한다고 인식되면 산업적 잠재성은 그저 한여름 밤의 꿈으로 사그러들 수밖에 없다. 몇 가지 사례를 보자. 지난 2월 미국 Fox TV 생방송에서 Popular Science 잡지 편집장 Dave Mosher는 드론의 안전성에 관해서 말하고 있었다. 그 때 데모를 위해 날던 드론이 갑자기 균형을 잃으면서 추락하였다. 이 사고로 인해 드론이 안전하지 않을 수 있다는 인식이 퍼지게 되었다. 경미한 사고지만 심각한 위협감을 일으키기도 한다. 레이더에 탐지되지 않던 드론이 미국 백악관 앞마당에 추락한 것이 그런 예이다. 어떤 사용자는 재미삼아 드론을 구름 위까지 날려 보냈다. 그러더니 드론이 제어력을 상실하였고, 결국 추락하고 말았다. 다행히도 누군가의 머리 위로 떨어지지는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