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드론산업

Search Result 276,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드론을 통해 보는 다목적 스마트 이동기기 산업의 미래

  • Lee, Gyeong-Jeon
    • The Optical Journal
    • /
    • s.158
    • /
    • pp.58-60
    • /
    • 2015
  • 드론이 인기다. 드론이 뜨고 있다. 드론은 왜 인기인가? 왜 드론이 인기인지를 인식해보아야 한다. 결론부터 이야기하면 드론이 인기인 이유는 드론이 MMM이기 때문이다. MMM은 필자가 2년 전 쯤에 만든 신조어로 Multipurpose Mobile Machine의 약자다. 다목적 이동 기계라는 말이다. 우리말로 줄이면 다이기(多移機)쯤 된다. 드론은 다목적 이동 기계, 즉 다이기이다. 인터넷이 군용으로 사용되다가 민간이 사용하게 된 것처럼 드론 역시 정찰, 감시, 폭격 등의 군사용으로 출발했지만, 민간이 사용하는 드론의 용도는 무척 다양하다. 사진 촬영, 영화 제작, 드라마 촬영, 음식 배달, 씨앗의 파종과 농약의 살포, 현장 탐사, 경계 근무 등 정말 다용도에 사용되고 있다. 중요한 것은 드론 각각이 다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드론이 단지 물리적 기계인 것이 아니라 스마트 기계로, 스마트폰과 같은 SW중심 기기와 드론에 내장된 OS와 SW에 의한 제어를 통해 비로소 실현된다. 즉, 드론은 MMM이기도 하지만, 정확히 SMM(Smart Mobile Machine)이기 때문에 그 잠재성이 인정받고 있는 것이다. 지금까지 스마트 폰, 스마트 워치, 스마트 TV 등은 모두 스마트 기기이기는 하지만 스마트 이동 기기는 아니다. 한편, 로봇 청소기 등 기존의 가정용 로봇이나 산업용 로봇은 대부분 단일목적 이동기기이거나 다목적 고정 기계이므로, 로봇이라 부르기가 민망한 기계들이었다. 필자는 드론이 이렇듯 새로운 스마트 기기 산업과 기존의 로봇 산업이 갈 길 또는 가고 있는 길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관심을 갖는다. 스마트 기기 산업의 관점에서는 이제 비로소 고정형(스마트TV), 부착형(스마트 워치), 휴대형(스마트 폰) 스마트 기기 산업에서 다목적 스마트 이동 기계라는 새로운 블루 오션 창출 산업이기에 의미가 있다.

  • PDF

The Effect of Local Residents' Recognition Factors on Drone Capability on Industry Revitalization - On the basis of demand satisfaction - (지역주민의 드론 역량 강화요인 인식이 산업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 수요만족도를 매개로 -)

  • Han, Gab-Su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0 no.11
    • /
    • pp.125-130
    • /
    • 2019
  • The utilization and value of drones are increasing throughout society. However, there was a lack of government support and investment such as lack of technology of domestic drone companies, regulation of loans and lack of technology evaluation items. Therefore, this paper conducts statistical analysis to derive what drone capacity should be strengthened for the drone industry activation in Daegu. As a result, the demand satisfaction(price, quality, service) of drones leads to revitalization of drone industry when the physical, social, and policy factors among drones are strengthened. In conclusion, drone capacity to be strengthened in order to revitalize the drone industry in Korea is based on physical factors(drone demand, development, number of registrations, number of businesses and workers), social factors(national level public relations, establishment of public education institutes, correct understanding of drone occupation, preception), policy factors(privacy measures, government funding, legislation and system easing). As for the three factors, the government, industry, and drone operators are expected to have a bright future when the trinity is improved and complemented.

드론의 발전과 기술혁신

  • Jang, Tae-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865-873
    • /
    • 2017
  • 사람의 역할을 대신하기 위해 등장한 무인기는 최근 취미용 드론의 발달과 함께 다양한 분야로 확산되어, 기계가 인간을 대체하는 4차 산업혁명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다. 그리고 4차 산업 혁명에 따른 지능화, 자율화는 드론의 능력과 확장성을 향상시켜 다시 드론의 발달과 확산을 강화하고 있다. 전자 및 SW 등 드론 산업 외부에서 진행된 기술혁신의 결과가 드론의 자율비행 및 자료 분석, 활용 등 드론의 발전을 선도하고 있다. 따라서 드론 분야의 발전을 위해서 타 산업 분야의 혁신 결과가 쉽고 빠르게 반영될 수 있도록 보다 개방적이고 유연한 연구개발/산업화 구조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 PDF

Market Structure Analysis of Drone Experience Pavilion (드론 체험관의 시장 구조 분석)

  • Kwon, You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301-302
    • /
    • 2019
  • 드론산업은 항공 SW 통신 센서 소재 등 연관 산업이 융합된 차세대 전략산업이며,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 창출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특히, 드론 체험관산업은 다양한 수요에 대응한 IT 센서 등 융 복합이 요구되는 융합의 특징을 지닌다. 드론 체험관 구성을 위해서는 드론제어/운영 SW, 배터리, 센서 융합기술이 필요하다. 시장구조분석은 마이클 포터의 5가지 산업구조 분석요소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 PDF

드론식별모듈(DIM) 기술 및 표준화 동향

  • Kang, Yousung;Kim, Keonwoo;Kim, Juhan;Lee, Sangjae
    • Review of KIISC
    • /
    • v.30 no.2
    • /
    • pp.5-9
    • /
    • 2020
  •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드론산업은 4차 산업혁명을 견인하는 13대 혁신성장 동력 산업 중 하나이다. 드론은 조종사가 탑승하지 않는 무인/원격조종 비행장치로 영상촬영, 감시, 조사, 물품배송 등의 서비스에 활용되고 있다. 드론을 이용한 서비스가 안전하게 상용화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드론 자체 및 드론 기반 서비스를 보호하는 드론 보안기술이 적용되어야 한다. 드론은 피해자임과 동시에 가해자가 될 수 있는 양면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특성을 고려한 보안기술이 필요하다. 최근 드론 보안의 양면성을 고려한 핵심요소로 드론식별모듈(DIM)이 개발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드론식별모듈 개념을 정의하고, 주요 기능 소개 및 국제표준화 추진 현황을 설명한다.

산업경쟁력을 위한 드론과의 쉬운 상호작용 기술

  • Jo, Gwang-Su
    • The Optical Journal
    • /
    • s.158
    • /
    • pp.55-57
    • /
    • 2015
  • 여기저기서 드론이 뜨고 있다. 아마존이 날아오른 드론으로 고객의 문 앞까지 배달하는 모습은 일대 장관이었다. 이제 웬만한 방송에서 하늘 높이 오른 드론으로 내려다본 모습을 전송하는 것은 그저 일상일 뿐이다. 뿐만 아니라, 사람이 직접 닿을 수 없는 곳에서 드론으로 사람을 찾는다거나, 드론을 통해 고층건물의 안전도를 검사한다거나, 정찰을 하는 등 다양한 활용도가 돋보인다. 라스베가스의 세계가전전시회(CES)에서 바르셀로나의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에서 그리고 뉴욕의 장난감전시회 에서도 드론은 스타로 부상했다. 이제 드론은 대중화와 상업적 성공의 기로에 서 있다. 이를 위해서는 기계적 성능이상으로 중요한 것이 드론과 사용자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내는 사용자 경험이다. 즉 드론을 얼마나 쉽고 편하고 정확하고 안전하게 조종할 수 있도록 만드는가가 차별화와 경쟁력의 시작이다. 만약 드론이 지금처럼 조종하기 어렵고 심지어 인명과 재산을 위협한다고 인식되면 산업적 잠재성은 그저 한여름 밤의 꿈으로 사그러들 수밖에 없다. 몇 가지 사례를 보자. 지난 2월 미국 Fox TV 생방송에서 Popular Science 잡지 편집장 Dave Mosher는 드론의 안전성에 관해서 말하고 있었다. 그 때 데모를 위해 날던 드론이 갑자기 균형을 잃으면서 추락하였다. 이 사고로 인해 드론이 안전하지 않을 수 있다는 인식이 퍼지게 되었다. 경미한 사고지만 심각한 위협감을 일으키기도 한다. 레이더에 탐지되지 않던 드론이 미국 백악관 앞마당에 추락한 것이 그런 예이다. 어떤 사용자는 재미삼아 드론을 구름 위까지 날려 보냈다. 그러더니 드론이 제어력을 상실하였고, 결국 추락하고 말았다. 다행히도 누군가의 머리 위로 떨어지지는 않았다.

  • PDF

Airborne Wireless Charging System between Drones (드론 간 공중 무선 충전 시스템)

  • Moon, Hyun-Kyun;Kim, You-Min;Kim, Ju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95-98
    • /
    • 2017
  • 드론 산업이 발전하면서 이제는 남녀노소 누구나 드론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드론의 배터리 관련 부분은 드론 산업의 큰 발전에 편승하지 못하였다. 사람들은 드론을 많이 사용하지만 배터리로 인해 오랫동안 드론을 사용할 수 없어 불편함을 느끼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시키기 위해 드론 간 공중에서 무선충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The Issues and Requirements of the Establishment of Regulation and Standard for Drone Safety (드론 안전성 관련 법 제도 및 표준 수립을 위한 이슈와 요구 분석)

  • Choi, Bo-yoon;Lee, Byong-gul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22 no.1
    • /
    • pp.79-88
    • /
    • 2021
  • As drone industry increase with the adv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yet ensured the safety of a drone crashing and incurring accidents which may result in significant damage to human life and assets. Thus, the authentication of drone safety is very urgent. For this reason, many countries are in need of institutional improvement in the aspect of authentication/legal systems by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safety for drone. In this study, the regulations, research, and standards concerning drone safety are compared and analyzed. The analysis results can be used for improving the regulations of drone safety and standardization. The study can be contributed to invigorate drone industry by ensuring drone safety.

A Study on the collision avoidance system between aircraft and drones due to the activation of the drone industry (드론 산업 활성화에 따른 항공기와 드론 간 공중 충돌 회피 시스템에 관한 고찰)

  • Kim, Sa-Woong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6 no.5
    • /
    • pp.969-974
    • /
    • 2021
  • South Korea is making efforts to select a drone industry, a type of unmanned aerial vehicle, as one of the 7 major industries in the country, to select a drone-specific liberalization zone and to establish and revise a drone-related bill. Through these efforts, drone delivery and drone taxis are expected to be operated in the future. Therefore, a multilateral collision avoidance system with existing aircraft such as drones, fixed-wing and rotary-wing should be established to prepare for possible drone and air-borne collisions.

Development schemes of operating platform for river management linked with a Drone (드론 연계 하천관리 운영플랫폼 개발 방향)

  • Seong, Hoje;Rhee, Dong Sop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42-342
    • /
    • 2020
  • 최근 소형 무인비행장치(UAV; unmaned aerial vehicle)인 드론을 이용한 신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다. 국외에서는 이미 드론을 이용한 농업관리와 물류배송, 공공부문 모니터링 등 다양한 산업 분야의 드론 이용을 적극 장려하고 있다. 드론 이용에 관한 관심도가 높아짐에 따라 국내외적으로 드론 응용 관련 기술 개발과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환경모니터링과 시설물 점검 등 일부 제한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2024년까지 드론 응용서비스로 확장되는 산업 변화에 대응, DNA(Data, Network, AI) 기술을 접목한 새로운 개방형 플랫폼 구축을 목표로 기술개발 및 산업 육성을 촉진하고 있다. 이러한 국내 기술 개발 방향에 맞추어 드론과 첨단기술을 이용한 하천조사와 관련해 드론을 연계한 하천관리 플랫폼 개발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드론 기반 하천조사 및 모니터링 수행을 위한 하천관리 운영플랫폼 개발을 목표로 국내외 요소기술을 분석하고 기술수준을 조사했다. 특히, 드론 기반 하천관리에 필요한 임무를 영역별로 분리해 요소기술 기반의 플랫폼 서비스를 정의하고 하천관리 부문 개방형 플랫폼 구축을 위한 시스템 구성 및 운영에 필요한 요소기술을 선정했다. 최종적으로 선정된 플랫폼 서비스와 요소기술을 기초로 시스템 적용방안을 검토하고 하천관리 운영플랫폼 구축을 위한 시스템 아키텍처를 정의 및 설계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