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둔치

Search Result 50,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pplication of Two-Dimensional Flow Analysis Model for Flood Risk Assessment in Flood Plain (둔치에서의 홍수위험도 평가를 위한 2차원 흐름해석모형의 적용)

  • Ku, Young Hun;Song, Chang Geun;Kim, Young D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40-40
    • /
    • 2015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홍수의 발생빈도와 홍수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여름철 집중호우 및 태풍에 의해 하천의 둔치가 침수됨으로써 다양한 침수피해를 야기한다. 대하천 사업 이후 하천의 둔치를 활용한 체육시설, 자전거도로 및 생태공원과 같은 친수시설들이 조성되었으며 태풍으로 인한 하천의 홍수위 상승은 이러한 친수시설에 대한 직접적인 피해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침수피해를 예측하기 위해서는 둔치를 포함한 복단면에서의 흐름해석을 통한 수리학적 영향을 분석해야하며, 둔치에서의 흐름양상은 주수로에 비해 수심이 얕고 흐름에 대한 저항이 크기 때문에 2차원 수리해석이 바람직한 것으로 제안되고 있다. 2차원 수리해석에 있어 하천의 홍수위 상승과 하강으로 인해 발생하는 둔치구간에서의 마름과 젖음 현상은 수치해의 발산을 야기하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마름/젖음 해석 기법에 대한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으며 일반적으로 마름/젖음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은 마름/젖음에 상관없이 모든 부분에서 방정식을 푸는 박막기법과 해석영역으로부터 마름 부분을 제거하는 이동경계법으로 나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단기간에 수위가 급변하는 태풍사상에 대한 둔치에서의 홍수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해 마름/젖음 해석이 가능한 2차원 유한차분모형인 Nays2D 모형을 이용하여 마름/젖음에 대한 과거 선행연구들의 결과와 적용된 모형의 결과를 비교하여 모형의 적용성을 검증하였고, 검증된 모형을 강정-고령보에서부터 달성보 사이 구간에 적용하여 수리학적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모형의 결과를 이용하여 홍수위험지수를 산정하였으며, 이를 통해 둔치구간에서의 홍수위험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 PDF

A Physical Model Test of Flood Level Changes by the Vegetation on the Floodplain of Urban River (도시하천 둔치내 식생의 평면적 분포에 따른 홍수위 변화의 실험적 연구)

  • Jo, Hong-Je;Choe, Hyeon-Geun;Lee, Tae-Yeo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5 no.2
    • /
    • pp.203-212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vegetation on the flood plain in the Taewha river on the changes of flood level using a hydraulic physical model experiment. To simulate 9.0 km river, 1/300 horizontally and 1/72 vertically distorted model was used. The vegetation areas were divided by three sub -areas and the flood level changes were examined according to the locations of vegetation as well as the transverse Profile. As a result, the flood level changes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densely distributed vegetation. It was concluded that additional adjustable vegetation in urban river could make useful hydrophilic space.

Development of a Method for Integrated Standards for Prediction and Warning of Floodplain Flood Level by Urban River Section (도시하천 구간별 둔치 범람 수위 예·경보 통합기준 산정 기법 개발)

  • Moon, Hyeon-Tae;Lee, Jung-Hwan;Yoon, Jun-Seo;Moon, You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297-297
    • /
    • 2021
  • 전 지구적 기후변화에 따른 돌발성 집중호우의 증가와 급격한 도시화로 인해 도시홍수의 위험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침수로 인한 인명 및 재산피해가 급증하고 있다. 특히 중·소규모 도시하천은 대부분 홍수유출 도달시간이 매우 짧고 수위가 급격히 상승하는 특성이 있어 집중호우에 매우 취약하여 더욱 선제적이고 정확한 홍수 예·경보가 요구된다. 현재 중·소규모 도시하천의 경우 실시간 하천수위가 위험수위에 도달할 시 하천을 통제하고 위험경보를 발령하는 방식으로 대응하고 있지만, 둔치 침수에 이르는 시간이 매우 짧아 통제가 어려우며 이마저도 행정 자치구별로 예경보 운영 및 통제기준이 상이하여 실질적인 대응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강우 발생 시부터 즉각적 대응을 위해 강우-수위 관계 및 상류 돌발홍수와 강우강도의 영향을 분석하여 구간별 둔치 범람 기준을 제시하고 자치구별로 상이한 예경보 수위 기준을 통합하여 산정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시의 주요 침수취약지구인 도림천을 대상으로 수행하였으며, 도시하천 특성의 내외수를 연계한 강우-유출모형(SWMM)을 이용하여 확률강우 시나리오에 따른 대상하천의 수위변화 및 도달시간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성과는 중, 소규모 도시하천에의 홍수예경보시스템 구축 및 효율적인 하천방재계획 수립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Cause Analysis and Improvement Suggestion for Flood Accident in Dorimcheon - Focused on the Tripping and Isolation Accidents (도림천에서 발생한 고립 및 실족사고의 원인분석을 통한 개선방안 도출에 관한 연구)

  • Lee, Kyung-Su;Jeon, Jong-Hyeong;Kim, Tai-Hoon;Kim, Hyunju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2 no.4
    • /
    • pp.25-36
    • /
    • 2021
  • This study analyzed the causes of flood accidents, such as isolation and lost footing accidents in Dorimcheon, to provide legal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s. For cause analysis, Field Investigation, Stakeholder Interview, Report, manual, Law et al. Review, Analysis of water level change characteristics, automatic alarm issuance standard level analysis, and evacuation time according to river control were evaluated. Dorimcheon has the characteristics of a typical urban river, which is disadvantageous in terms of water control. In addition, the risk of flood accidents is high because the section where fatal accidents occur forms sharply curved channels. Tripping and isolation accidents occur in the floodplain watch and evacuation stage, which is the stage before the flood watch and warning is issued. Because floodplain evacuation is issued only when the water level rises to the floodplain, an immediate response according to the rainfall forecast is essential. Furthermore, considering that the rate of water level rise is up to 2.62 cm/min in Sillimgyo 3 and Gwanakdorimgyo, sufficient evacuation time is not secured after the floodplain watch is issued. Considering that fatal accidents occurred 0.46 m below the standard water level for the flood watch, complete control is very important, such as blocking the entry of rivers to prevent accidents. Based on these results, four improvement measures were suggested, and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prevention of Tripping and Isolation Accidents occurring in rivers.

Estimated Toxic Metal Concentrations in Riverbank Soil of the Han and Anyang Rivers (서울한강 둔치 및 안양천 하류부 둔치주변 토양오염 조사연구)

  • Kim, Seol Ah;Lee, Jai-Young;Oh, Byung-Teak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 /
    • v.18 no.7
    • /
    • pp.12-17
    • /
    • 2013
  • Heavy metal contamination of soil and water from industrial sources remains a worldwide environmental concern. Concentrations of toxic metals were measured in soil from banks of the Han and Anyang rivers. Pre-monsoon samples contained the highest heavy metal concentrations (Cu > As > Pb > Cd > $Cr^{6+}$; up to 57.80, 38.23, 25.43, 2.21, 0.32 mg/kg, respectively), but concentrations decreased at all sites during the monsoon and post-monsoon seasons. Higher heavy metal concentrations in pre-monsoon samples may be attributed to dust pollution, especially from roads near the river. A gradual reduction in heavy metal concentrations during the rainy season may be due to washing out. The high concentration of metals could cause health problems, especially in residential are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