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두폭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6초

완전변태류 유충의 두폭분포 추정방법 (Characterizing Distribution the Head Width in a Holometabolous Insect Larvae)

  • 류문일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45-47
    • /
    • 1983
  • 완전 변태류 곤충에 있어서 각유충기의 구분은 두폭에 의하는 것이 상례이다. 그러나 분포의 특성이 정의되지 않는 재래적 방법으로는 객관성이 보장되지 못하며 때로 령기의 판정조차 어려울 경우가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 각 령기의 두폭분포의 특성을 통계적으로 기술하기 위해서 "d/w"비의 개념을 도입하는 것을 검토하였다. 쌀바구미 유충의 두폭분포를 이 비를 이용하여 정의하였으며 이러한 예는 다른 곤충의 경우에 있어서도 합리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사료된다.

  • PDF

배나무 줄기벌(Janus piri Okamoto et Mat.)유충의 두폭과 영기수와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Size of Head Capsule and Number of Instars in the Larvae of Pear Stem Sawfly, Janus piri Okamoto)

  • 윤주경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15-219
    • /
    • 1975
  • 배나무 줄기벌의 유충을 수체내에서 채집하여 두폭을 측정하여 영기를 판정함과 동시에 성충비를 알아본 바 다음과 같다. 1) 유충의 두폭의 변이곡선은 구분된 6개의 계곡으로 나타나는데 이것은 5회의 탈피를 하여 6영을 지내는 것으로 추정된다. 2) 두폭의 표준편차는 1영과 2영이외에는 영이 커짐에 따라 커졌으며, 변이계수는 영이 커짐에 따라 줄어지는 경향이었다. 그리고 성장비는 1-2영시는 크고, 영이 높아짐에 따라 적어졌다. 3) 배나무 줄기벌 유충의 두폭성장 추정에는 Dyar식 보다 Gains와 Campbell식이 더욱 적합하였다. 4) 유충 영기는 피해 정도로 보아서 다음과 같이 추정된다. 즉 2-4영의 유충 피해는 극히 적으며 피해증상이 나타나지 않으나 5-6영시 피해는 급진적이며 외형으로 피해가 나타난다.

  • PDF

파밤나방 유충의 영기별 생장율 비교 (The Larval Development of Beet Armyworm,Spodoptera exigua (Hubner),(Lepidoptera:Noctuidae) by the Widths of the Head Capsule)

  • 고현관;이상계;최귀문;김정화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54-57
    • /
    • 1991
  • 파밤나방 유충을 실내에서 5세대 동안 인공사육하여 탈피할 때마다 두폭의 최대치를 측정하여 영기별 생장율을 구한 결과 2령 유충의 생장율은 1.43 이었고, 3령은 1.55, 4령은 1.48, 5령은 1.54, 6령은 1.76이었다. 한편 두폭 평?치의 대수를 Ycnr, 령의 수를 X축으로 하여 회귀직선식을 구한 결과 LogY=-0.819+0.1872X($r^{2}$=)었고 Dyar의 법칙과 동일한 기하급수적 생장을 하였다. 각영기별 두폭의 평균치와 Dyar의 법칙과 적합도는 1령 유충이 94.7%, 2령은 98.3, 3령은 98.7, 5령은 94.6 6령은 92.2%었다. Dyar의 항수 (K)는 1.54였다.

  • PDF

밤바구미 (Curculio sikkimensis)의 발육단계별 형태측정 및 비교 (Measurement and Comparison of Morphology of Developmental Stages of Chestnut Weevil, Curculio sikkimensis(Coleoptera: Curculionidae))

  • 김영재;문상래;윤창만;김길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11-16
    • /
    • 2010
  • 2003년부터 2006년까지 실내 및 실외에서 사육하여 얻어진 밤바구미의 발육단계별 형태측정을 하였다. 알의 크기는 0.8${\pm}$0.03 mm 이었다. 탈출유충은 평균 생체중이 98 mg, 체장은 10.65 mm, 체폭은 3.99 mm, 두폭은 1.70 mm이었다. 번데기의 크기는 암컷이 7.01 mm, 수컷이 6.53 mm으로 측정되었다. 암컷과 수컷 성충의 생체중, 체장, 체폭, 두폭, 주둥이 길이와 더듬이 길이를 조사하였다. 암컷의 생체중, 체장, 체폭과 두폭은 수컷보다 큰 것으로 유의성이 있으며, 암컷의 주둥이 길이와 더듬이 길이도 수컷보다 긴 것으로 유의성이 있었다. 암컷과 수컷 성충의 평균 생체중은 0.343과 0.268 g, 체장 7.76 과 7.14 mm, 체폭 3.38 과 3.01 mm, 두폭 1. 60과 1.37 mm, 주둥이 6.53과 3.56 mm, 더듬이 5.47과 4.63 mm로 각각 조사 되었다. 유충은 1~3 년까지 월동하면서 생체중, 체장, 체폭이 줄었다. 이러한 형태를 비교한 결과 주둥이 길이와 체장의 비율, 주둥이에 붙은 기절의 위치, 미부 생삭기의 모양으로 암수를 구분할 수 있었다.

월동 끝동매미충(Nephotettix cincticeps)의 약충태별 두폭크기 및 밀도변화 (Head Capsule Width and Population Densities of Overwintering Nymphal Stages of the Green Rice Leafhopper, Nephotettix cincticeps Uhler (Hemiptera: Cicadellidae))

  • 강석민;백채훈;이건휘;최만영;;황창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65-170
    • /
    • 2009
  • 본 연구는 월동하는 끝동매미충의 충태별 분포를 두폭측정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끝동매미충 1령, 2령, 3령, 4령 및 5령 약충에 대한 두폭크기는 각각 0.381, 0.502, 0.673, 0.879 및 1.128mm였으며, 변이계수는 5.3, 4.0, 3.0, 4.5 및 5.3%였다. 성장률은 2령, 3령, 4령 약충에서는 1.31${\sim}$1.34로 큰 차이가 없었지만 5령에서 1.28로 약간 감소하였다. 두폭측정값의 회귀식을 구한 결과, LogY = 1.4627+0.1192X($r^2=0.9993$)으로 고도의 유의성이 인정되었고, Dyar 공식에 의한 적합도는 98% 이상으로 매우 적합하였으며, Dyar 계수(K)는 1.316이었다. 월동하는 끝동매미충의 밀도 및 충태 변화를 조사한 결과, 2006년 1월 하순에 0.25 $m^2$ 당 195마리가 채집되어 밀도가 가장 높았고, 월동 충태 조사에서는 90% 이상이 4령 약충이었다. 3월 중순부터 5령 약충의 발생량이 증가하였고, 월동 후 첫 성충발생은 4월 상순이었다.

솔수염하늘소(Monochamus alternatus) 성충의 형태 측정과 암수 구분 (Adult Morphological Measurements: An Indicator to Identify Sexes of Japanese Pine)

  • 이상명;정영진;김동수;최광식;김영걸;박정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85-89
    • /
    • 2004
  • 2001년부터 2002년까지 소나무재선충의 매개체인 솔수염하늘소 성충의 생체중과 체장, 체폭, 두폭, 더듬이의 길이 및 색깔 등을 조사하였다. 소나무재선충에 감염되어 고사된 소나무를 일정한 길이로 잘라 우화망실 안에 두고 우화하는 솔수염하늘소 성충을 채집하여 조사하였다. 분산분석결과 생체중, 체장, 체폭의 측정치는 암컷이 수컷보다 높았고, 두폭은 암수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촉각의 길이는 수컷이 더 길었다. 암컷(n=563)과 수컷(n=601)의 평균 생체중은 각각 0.305g과 0.277g, 체장은 20.97mm와 19.93mm 체폭은 6.52mm 와 6.18mm, 두폭은 3.78 mm와 3.70mm, 촉각의 길이는 31.19mm와 45.49mm이었다. 촉각의 길이나 체장과 촉각 길이의 비율은 암수간에 중복되는 범위가 많아서 이것을 기준으로 암수를 구분할 수는 없었다. 그러나 성충(n=4,033) 촉각의 털 색깔을 조사한 결과, 예외 없이 암컷 촉각의 모든 편절 마디의 기부쪽 절반 정도가 회백색의 미모로 덮여 있으나, 수컷 촉각의 편절 마디는 전체적으로 흑갈색의 미모로 덮여 있었기 때문에, 이 특징으로 암수를 쉽게 구분할 수 있었다.

광릉긴나무좀의 미성숙 충태별 형태특성과 유충령기, 균낭수의 지역별 변이 (딱정벌레목, 긴나무좀과) (Morphological Characteristic of Immature stage in Platypus koryoensis (Murayama) (Coleoptera, Platypodidae) and Local Variation in the Number of Mycangia)

  • 원대성;최원일;권영대;김경희;김종국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2권2호
    • /
    • pp.305-308
    • /
    • 2013
  • 참나무시들음병 매개충인 광릉긴나무좀 미성숙충태인 알, 유충, 번데기의 외부 형태와 유충 두폭을 활용한 령기구분, 지역 개체군 간 균낭수 변이를 조사하였다. 광릉긴나무좀의 알은 광택을 띠는 타원형이며 크기는 장경 $0.67{\pm}0.051$ mm, 단경 $0.41{\pm}0.053$ mm 이었다. 유충은 5령기를 거치며, 각 령기는 두폭의 크기 차이로 명확하게 구분되었다. 1령유충의 두폭은 $0.35{\pm}0.004$ mm, 2령유충은 $0.45{\pm}0.010$ mm, 3령유충은 $0.67{\pm}0.039$ mm, 4령유충은 $0.94{\pm}0.069$ mm, 5령유충은 $1.12{\pm}0.007$ mm 였다. 5령유충 체색은 유백색의 광택을 띠며, 큰턱이 잘 발달되었다. 번데기는 연한 황색이며, 체장은 $4.64{\pm}0.042$ mm 이었다. 개체당 균낭수는 변이가 있어 적은 개체는 5개, 많은 개체는 12개까지 관찰되었으며 83%의 개체들이 6-8개의 균낭을 가지고 있었다. 남양주지역과 홍천지역의 개체군간 개체당 균낭수 차이는 없었다.

감꼭지나방 (나비목: 감꼭지나방과)의 발육생태 (Developmental Ecology of Persimmon Fruit Moth, Stathmopoda masinissa Meyrick (Lepidoptera: Stathmopodidae))

  • 박은철;박형진;김길하;김정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41-43
    • /
    • 2001
  • 충북 영동의 감나무 가로수에서 감꼭지나방(Stathmopodamasinissa)을 태집하여 온도 $25\pm$$1^{\circ}C$, 광주기 16L:8D,상대습도 85%의 실내조건에서 이들의 발육생태를 조사하였다. 각 충태 별 발육일수는 알기간 7.4일, 유충기간 34.8일, 번데기기간이 15.5일이었다. 1령에서 5령의 영기간 은 각각 3.5일, 4.2일, 5.2일, 6.5일, 15.4일이었으며, 유충의 두폭은 각각 0.20, 0.40, 0.65, 0.87, 1.07mm이었다. 용화율과 우화율은 각각 68.0%, 59.9%이었다. 성충 수명은 수컷이 6.2일, 암컷이 10.1일이며, 암컷 한마리당 평균 산란수는 24.4개였다.

  • PDF

두폭, 체중 및 체장에 의한 뽕나무하늘소 유충의 성장율 비교 (The Estimate of Larval Growth of Mulberry Longicorn Beetle, Apriona germari Hope on the basis of the Larval Head Capsule Width, Larval Weight and Length)

  • 윤형주;마영일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74-179
    • /
    • 1997
  • The larval head capsule width, larval weight and length of mulberry longicorn beetle, Apriona germari Hope were measured when the larvae were exuviated in artificial diet rearing. The larval head capsule width from the 1st to the 12th instar was ranged from 0.12 to 0.69 cm, and growth ratio of each instar was significantly high between the 1st and the 2nd instars. The fitness to Dyar's law for the larval head capsule width was 87.6%. When the logarithum of the larval head capsule width is plotted against the number of instars, the calculated regression line was LogY=0.12086+0.06998X and Dyar's constant was 1.18. The larval weight was increased with larval developmental stages, and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of larval weight was apparently high. But the calculated regression line was LogY=-0.91592+0.25959X and Dyar's constant was 1.25. The growth ration of the larval length was clearly high between the 2nd and the 3rd instars, and that of larvae from the 4th instar was decreased. The calculated regression line was LogY=-0.16932+0.09841X and Dyar's constant was 1.25. In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ed that the larvae growth of mulberry longicorn beetle appeared to be highly related in the larval head capsule width, larval weight and length.

  • PDF

버들재주나방의 생태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Bionomics of the Black-Back Prominent, Clostera anastomosis (L.) (Lepidoptera; Notodonitidae))

  • 강전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95-98
    • /
    • 1970
  • 1) 버들재주나방은 년 3-4회 발생하는데 제 1회발생은 5월 중순내지 6월 초순경이며 유충으로 월동한다. 2) 성충의 평균수명은 숫놈이 5,8일이고 암놈이 5.9일이다. 3) 난기간은 약 4일이고 유충기간은 약 17.2일이며 용 기간은 5-8일이다. 4) 유충의 두폭은 1령기에 0.37mm 이고 최종령기에 2.45mm 이다. 5)실내 조건하에서 유충의 섭식량은 암놈의 경우 $95cm^2$이었고 숫놈의 경우 $60cm^2$이었다. 6) 유충의 배분수는 실내에서 682개이고 야외에서 663개이었다. 7) 배분의 크기는 유충의 영기에 따라 길이가 0.11mm에서 2.46mn, 직경이 0.05mm에서 2,92mm로 변하였다. 8) 암놈 한 마리당 포난수는 400개이며 산란율은 평균 $80\%$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