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두부 계측

검색결과 370건 처리시간 0.025초

성장기 3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악안면 형태에 대한 측모두부계측방사선학적 연구 (A Lateral Cephalometric Study of Maxillofacial Morphologic Features in Class III Malocclusion Children)

  • 손우일;장익준;송재철;진병로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8권2호
    • /
    • pp.208-214
    • /
    • 2001
  • 성장기 3급 부정 교합인 남아 20명의 두부계측방사선 사진을 Harvold 분석법을 중심으로 하여 정상 대조군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상하악간 상대적인 길이 차를 나타내는 악간 길이 차는 3급 부정교합자군에서 유의하게 더 크게 나타났다(p<0.05). 전하안면 고경은 3급 부정교합군에서 정상교합군보다 더 크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는 없었다.

  • PDF

부정교합 아동의 성장에 따른 연조직 측모의 변화 (A LONGITUDINAL STUDY ON THE SOFT TISSUE FACIAL PROFILE CHANGES - Study report from 9 to 13 years of age -)

  • 장병천;김정민;경희문;권오원;성재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87-97
    • /
    • 1989
  • 연조직 측모의 연령증가에 따른 변화양상을 정확히 규명하고자 정상적인 안모 및 교합을 가졌다고 생각되는 9세 아동 남자 29명, 여자 26명을 대상으로 2년 간격으로 3차례에 걸쳐 얻어진 두부방사선 규격사진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남녀별 각 계측항목의 연령에 따른 평균치 및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연조직 측모의 평가에서 soft tissue facial angle, total facial convexity angle은 연령증가에 따른 약간의 변화를 보여 주었으며 기타 항목에서는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연조직 후경은 연령증가에 따른 증가를 보여 주었으며 두안부의 하안면부(point B, pog) 보다는 구순부(point A, LS, LI)에서의 증가량이 더 크게 나타났다. 안면고경의 바율은 GL'-Sn/Sn-Me' 1:1, Sn-St/St-Me' 0.51:1, Sn-LI/LI-Me' 0.82 : 1 로 연령증가에 따른 큰 변화가 없었다.

  • PDF

악관절아탈구증에 대한 두부방사선계측학적 연구 (A Roentgenographic Cephalometric Study of Temporomandibular Joint Subluxation)

  • 김한평
    • 치과방사선
    • /
    • 제11권1호
    • /
    • pp.23-32
    • /
    • 198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emporomandibular joint subluxation by means of cephalometry using two lateral cephalograms from each person with in centric occlusion and wide-open mouth position, and to compare patient group with subluxation to normal control group in the measurements and correlation coefficient. The 200 cephalograms of 100 Korean adults, patient group consisted of 24 females and 26 males ranged from 17 to 63 years age and the normal control group consisted of 20 females and 30 males ranged from 18 to 56 years age, were studied and analyzed statisticall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the comparison of patient group vs normal control group in the measurement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C-C', C'-PTM, K-FH, K-PTM, Gn-Gn', C-S-C', Gn-S-Gn', Gn-K-Gn', GoGn-SN, and GoGn-Go'Gn'. K-point* of patient group was located antero - superiorly than of normal control group, and the significance level was higher in K-PTM than in K-FH.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ound in local relationship of C-point between patient group and normal control group. The values of correlation coefficient among all measurements were in 0.958≥r≥-0.760, and the highest value was in Gn-Gn' to GoGn-Go'Gn' and Gn-K-Gn' to Gn-Gn', and the lowest value was in C'-PTM to Gn-K-Gn' of normal control group. K was determined as a point of intersection by a perpendicular bisector of Gn-Gn' and a perpendicular bisector of C-C'.

  • PDF

생체-전기적 반응에 의한 한의학적 진단시스템의 설계 (Design of Oriental Medicine diagnosis system by Bio-Electric Response)

  • 이용흠;장근중;박창규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420-429
    • /
    • 2004
  • 인체 생리의 부조화에 의한 기능적 이상 진단이 가시화 장비나 임상병리 소견으로도 진단할 수 없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현대과학과 의공학의 특성을 접목한 EFG(Electro Functio Gram:기능전도) 측정 개념의 진단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기능적 진단기술을 이용하여 양ㆍ한방 모든 분야에서 기초 진단기로 사용할 수 있는 재현성과 신뢰성, 편리성을 갖춘 범용의 진단시스템으로 개발하였다. 또한, 한의학적진단 및 치료를 위한 기와 혈의 인체 순환을 진단할 수 있는 사지 8CH(양,음경락), 두부 2CH 동시계측 방법 및 일괄 부착식 전극을 개발하였다. 성인 남자 20명(정상인)을 대상으로 한 임상데이터 분석결과, 인체의 12경락의 상태 및 자율신경계통의 상태를 진단할 수 있어서, 진단장비로써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인체 12부위의 음경락 양경락을 측정할 수 있는 H/W 및 S/W을 구현하고, EFG 체계를 구축하여 생체-전기적 반응에 의한 한의학적 진단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보강토옹벽의 배부름현상 분석 및 보강 방법에 대한 실험적 연구 (A Study on Reinforcement Method of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Through Field Experiment)

  • 이원홍;문병조;이승열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3권4호
    • /
    • pp.103-112
    • /
    • 2019
  • 본 연구는 공용 중 보강토옹벽에 발생하는 배부름현상을 보강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하고 현장실험으로 보강방법의 신뢰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보강토옹벽의 배수시설을 미설치하여 강우에 의해 배부름현상이 유도되도록 하였으며, 시공 후 15일간 변위속도가 크게 발생한 후 점차적으로 감소하였다. 유도된 배부름현상의 변위는 미연방도로국(FHWA)의 시공 중 수평변위 기준을 적용하여 판단하였다. 배부름 현상을 보강하기 위해 보강토옹벽에 소일네일을 설치하고, 네일의 두부를 수평으로 서로 연결하여 보강토 옹벽의 블록들을 서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보강재들의 보호를 위해 숏크리트로 보강면을 마감하고 계측장치를 설치하였다. 배부름현상 보강방법의 신뢰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변위의 진행을 검측한 결과 보강 후 수평변위는 거의 발생하지 않았으며, 보강방법의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국내 하천 유사 특성 이해와 유사량 추정을 위한 경험적 모델 개발 (Understanding sediment characteristics and developing empirical model for specific degradation in South Korean river)

  • 강우철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3년도 학술발표회
    • /
    • pp.133-133
    • /
    • 2023
  • 풍화작용에 의해 생성된 유사는 자연 매체에 의해 이동하고 하천에 도달하기 이전이나 이후 퇴적되며, 해당 과정 중에서 하상변동, 홍수위 상승, 제방 안정성, 두부 침식, 생태환경 변화, 수질문제 등 다양한 침식과 퇴적 관련 문제들이 발생한다. 이러한 유사 문제의 해결과 지속적인 하천관리를 위해서는 유사의 생성, 이송, 그리고 퇴적 과정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정량적인 유사량을 파악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다양한 연구들을 통해서 유사량을 정량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여러 종류의 모델과 공식들이 제안 되어져 왔다. 그 중 경험적 모델의 경우 실제로 관측된 값을 기반으로 하며, 복잡한 계산이나 요구하는 자료가 다른 종류의 모델들 보다 적어 쉽게 접근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험적 모델은 유사에 영향을 주는 인자를 규명하거나 특정 유역이나 지역에서 이송 및 퇴적 되는 유사의 출처와 특성을 규명하는 초기 단계에서 유용하게 이용된다. 국내 하천의 경우 여름에 강우가 집중되고 대부분의 국토가 산지로 이루어져있어 상류에서 침식이 주로 발생한다. 또한, 본류 및 하류 지역의 하천은 유사의 퇴적이 주로 일어나서 하천의 형태와 물길이 형성된 충적 하천 형태로 발전 되어있기 때문에 국내 하천에서는 전반적으로 국부적이며 다양한 형태의 유사 관련 문제가 발생한다. 국내 하천에서 발생하는 유사 관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내 하천의 유사량을 추정하는 다양한 경험적 모델들이 지속적으로 개발되어왔다. 하지만 과거에 개발된 모델들의 경우 계측 자료가 충분하지 않은 시기에 개발 되었으며, 현재에는 활용하기 불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하천의 비유사량을 예측하는 동시에 국내 하천의 유사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과거에 국내 하천을 대상으로 비유사량을 추정하기 위해 개발되었던 경험적 모델을 개선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기존 경험 모델의 경우 주기적인 업데이트가 필요함을 확인하였으며, 개발된 모델의 경우 국내 하천 유사 관리를 위해 미래 유사량 예측하는 등 다양한 방면으로 활용 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 PDF

지반앵커로 지지된 강성 지하연속벽체의 상세계측 결과분석 및 역해석 평가 (Analysis of Monitoring Results and Back Analysis for Rigid Diaphragm Wall Supported by Ground Anchor)

  • 이종성;황의석;조성환;이준환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5권5호
    • /
    • pp.39-46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조립질의 퇴적층이 깊게 분포되어 있고 지하연속벽과 지반앵커로 구성된 굴착현장을 선정하여 흙막이 벽계와 배면지반의 수평변위 비교, 벽체 내부에 깊이별로 설치된 토압계와 앵커 두부에 설치된 축력계로 부터의 토압과 축력의 변화등을 정밀하게 평가분석 하였다. 분석결과 강성벽계의 수평변위는 벽체 내부에 설치된 지중경사계로 측정된 결과가 보다 합리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단계별 굴착에 따른 토압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굴착이 진행됨에 따라 지반앵커의 선행 긴장력으로 인해 배면 토압은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었으며, 지하연속벽이 강성 벽체지만 퇴적층이 깊고 굴착 깊이가 깊은 경우에는 연성벽체에서 경험적으로 평가된 경험토압과 유사한 결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8-10세 아동에서 III급 부정교합의 구성요소에 대한 측모 두부방사선계측학적 연구 (Cephalometric study of the components of Cl III malocclusion in children 8-10 years of age)

  • 김형돈;유대진;김일규;오성섭;최진호;오남식;김의성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59-174
    • /
    • 2000
  • III급 부정교합을 치료하기 위한 여러 치료 방법들이 소개되었고 치료 방법은 술자의 선호도와 경험, 그리고 치료 성공률과 같은 술자에 관한 것이 아니라 환자가 갖고 있는 문제에 따라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환자가 갖고 있는 문제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III급 부정교합의 구성요소에 대한 연구들이 보고된 바 있으나 그 결과는 인종과 연령에 따라 각기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성장 변형 치로의 대부분이 행해지는 시기인 8-10세의 우리나라 성장기 아동을 대상으로 III급 부정교합의 본질을 나타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알아보아 환자가 갖고 있는 문제를 파악함으로써 적절한 치료 방법의 선택에 도움을 주고자 III급 부정교합을 보이는 125명의 8-10세 환자들의 측모 두부방사선규격 사진을 이용하여 McNamara방법에 의해 4가지 수평요소와 1가지 수직요소를 계측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III급 부정교합은 한가지의 임상적 실체가 아닌 악골과 치아의 다양한 상태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2. 상악골의 후방 위치가 III급 부정교합자들의 가장 흔한 특징이었다. 3. 상악 전치는 대부분 후방 위치하였다. 4. 하악 전치는 대부분 전방 위치하였다. 5. 하악골은 정상적 위치인 경우가 많으나 전돌과 후퇴도 있었다. 5. 수직적으로는 과도한 성잘 양상을 보이는 경우가 많았다. 이상의 결과로 우리나라 성장기 아동의 III급 부정교합에서는 수직적 성장 억제와 상악골의 수평적 성장 촉진에 대한 치료 기법들의 적용이 많은 경우에서 더욱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성인에서의 수평적, 수직적 안면 골격 형태에 따른 하악 전치부 치조골 두께의 비교 (Comparison of mandibular anterior alveolar bone thickness in different facial skeletal types)

  • 김윤수;차정열;유형석;황충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314-324
    • /
    • 2010
  • 본 연구는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안면골의 수평적, 수직적 골격 형태에 따른 하악 전치부 치조골의 순설측 두께를 하악 전치 치축을 기준으로 계측하고, 하악 이부 치조골의 단면적을 비교해 형태학적 차이를 확인해 보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20세 이상 성인 환자들의 초진 시 측모두부 방사선 사진을 사용하여, 수평적, 수직적 분류 기준에 따라 9군으로 분류하여 무작위로 30명(남자 15명, 여자 15명)씩, 총 270명을 추출하였다. 수평적 골격 형태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ANB 각도가 사용되었으며, 수직적 골격 형태를 판단하는 기준으로는 하악평면각(SN-MP 각도)을 사용하였다. 측모두부 방사선 사진에서 하악 전치부 치조골의 협설측 두께와 하악 이부 치조골의 단면적을 계측하여 형태학적 차이를 확인해 보았다. 연구 결과로 high angle group은 low angle group과 average group에 비해 CEJ 하방 2 mm 부위 아래의 협설측 치조골과 모든 부위의 설측 치조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얇은 두께를 보였으며 ($p$ < 0.05), low angle group과 average group 중에서 Class I, II group은 모든 부위에서 Class I average group에 비해 유사하거나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두꺼운 치조골 두께를 보였다 ($p$ < 0.05). Average group 내에서 Class III group은 Class I, II group에 비해 치근 중간 부위의 협설측과 설측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얇은 치조골 두께를 보였으며 ($p$ < 0.05), high angle group 중에서도 특히 Class III인 high angle group에서 더 얇은 평균 치조골 두께를 보였다. 수직적 안면 골격 형태에 따라 하악 이부 치조골의 단면적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 > 0.05). 이상의 결과에서 성인의 교정 치료 시 Class III이면서도 high angle을 보이는 환자에서는 하악 전치부에서 얇은 치조골 두께를 가지게 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하악 전치의 위치를 결정할 때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한국인 6-17세 아동의 성장과 발육에 관한 준종단적 연구 제 2 세부과제 : 두개 및 안면 연조직의 성장변화 (SEMI-LONGITUDINAL STUDY ON GROWTH AND DEVELOPMENT OF CHILDREN AGED 6 TO 17 Part II : GROWTH CHANGE OF CRANIOFACIAL SOFT TISSUE)

  • 박영철;이기준;한희경;이장열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25-340
    • /
    • 1996
  • 현대의 교정치료에 있어 치열궁의 문제뿐 아니라 안모에 관한 비중이 높아지고 있고, 특히 안모형태를 결정하는 연조직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과거의 교정학 발달을 살펴볼 때 두부방사선 계측사진을 통한 경조직성장에 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 졌으나 연조직 성장변화에 관한 연구는 아직 미비하다고 볼 수 있다. 특히 국내에서의 이러한 연구는 연구대상자 수와 분석방법, 계측방법에 있어서 상당한 다양성을 보이고, 성장변화에 대한 연구는 태부족한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인 남.녀 6세에서 17세 사이의 악안면 성장과 발육에 관한 준종단적 연구의 일부로 시행되었으며 3년간에 걸쳐 전신질환이 없고 발육상태가 양호하며 정상교합을 갖는 6-17세의 남자 409명과 여자 436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아동의 성장에 따른 안면부 연조직의 변화양상을 연구하기 위해 두개안면계측사진을 촬영하여 안모의 형태, 입술의 위치 및 형태, 코의 형태 그리고 입술의 두께 등을 계측한 후 연령별, 성별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도표로 표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결 론 1. 일반적으로 안모의 형태(facial form)는 여자에서보다 남자에서 더 장기간 성장이 지속되었으며 안면의 상부에 비하여 안면 하부구조의 길이가 더욱 큰 증가율을 보였다. 2. 상순과 하순의 두께는 연령의 증가에 따라 큰 변화가 없었으나, 서양아동에 비하여 돌출된 입술의 양상을 보였다. 3. 코의 수평방향으로의 길이는 연령의 증가와 함께 증가하였다. 4. 하안면부의 수평적인 두께는 연령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상순의 비저부위의 두께[A-Sn(FH)]의 성장이 다른부위에 비하여 크게 증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