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두부

검색결과 2,009건 처리시간 0.042초

해조류 첨가가 두부의 이화학적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aweeds Addition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oybean Curd)

  • 김동한;임미선;김영옥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49-254
    • /
    • 1996
  • 두유에 해조류 마쇄물을 10% 혼합하여 두부를 제조하고 일반두부와 품질특성을 비교하였다. 모자반, 미역, 다시마를 첨가한 두부는 일반두부에 비하여 수율과 단백질, 회분 함량이 각각 19.6~20.6%, 3.1~7.1%, 10.8~21.4% 증가하였고 두유청의 탁도는 감소하였다. 해조류 첨가 두부의 견고성은 0.36~0.52kg으로 일반두부의 0.70kg에 비하여 낮았으나 탄력성, 응집성, 부서짐성은 현저히 증가하였고 껌성도 증가하였다. 해조류 첨가로 두부의 색도중 L값은 낮아졌고 a값은 미역과 다시마 첨가구에서, b값은 톳 첨가구에서 가장 낮았다. 해조류 첨가 두부는 응고제 첨가량의 증가로 Ca 함량이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Fe, Zn, Mn은 감소하였다. 두부의 조직감은 다시마와 꼬시래기, 톳을 첨가한 두부가, 맛은 꼬시래기를 첨가한 두부가 양호하였다.

  • PDF

Lipoxygenase 결여 콩 두부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 활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ofu made from lipoxygenase-free genotypes)

  • 김인성;이수정;이혜진;오수정;정종일;성낙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15-223
    • /
    • 2014
  • LOX 결여 콩(개척#1, 개척#2 및 진양)과 일반콩(태광)으로 만든 두부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였다. 두부의 무기물 함량은 대조구에 비해 진양 두부에서 훨씬 높은 함량이었다. 경도 및 검성은 대조구에 비해 LOX 결여 콩 두부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두부의 맛, 풍미를 포함한 전체적인 기호도는 개척#2 두부가 다소 높게 평가되었다. 두부의 이소플라본 함량은 대조구에 비해 LOX 결여 콩 두부에서 높았다. 두부의 총 페놀 함량은 대조구와 개척#1 및 개척#2 두부에서 비슷한 수준이었으며,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대조구에 비해 개척#1 두부는 2.6배, 개척#2 두부는 1.4배 높았다. 두부의 항산화 활성은 개척#1 두부에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개척#2 두부였다. $4^{\circ}C$에서 15일 저장하는 동안 두부 침지액의 탁도는 점차 증가하였는데, 저장 15일 경과 후 개척#1 및 #2 두부는 태광 두부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LOX가 결여된 개척#1 및 #2 두부는 이소플라본 및 총 페놀 함량이 태광 두부에 비해 높아 항산화 활성 및 저장 안정성에 효과적이었으며, 특히 개척#2 두부는 전체적인 기호도가 높아 LOX 결여 콩 품종이 두부 가공에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응고제에 따른 오징어 먹물 두부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Cuttlefish Inky Tofu Prepared with Various Coagulants)

  • 박어진;안상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653-660
    • /
    • 2006
  • 오징어 먹물두부의 응고제 종류에 따른 품질 특성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먹물두부의 수율을 GDL 먹물두부가 가장 높았으며, $MgCl_2$, $CaCl_2$ 먹물두부가 낮은 수율을 나타내었다(p<0.001). 그러나 두부 순물의 양은 두부 수율고 반대였다. 먹물두부의 pH는 $MgCl_2$ 두부가 가장 높았고, $CaCl_2$ 두부가 pH가 가장 낮았다(p<0.001). 먹물 두부 순물의 pH도 두부의 pH와 같은 결과였다(p0.001). 먹물두부의 산도는 $CaCl_2$ 두부가 가장 높았고, 글루콘산 칼슘 먹물두부의 산도가 가장 낮아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0.001). 먹물두부 순물의 탁도는 $CaSO_4$, 글루콘산 칼슘, $CaCl_2$ 먹물두부 순으로 높았고, GDL 두부의 탁도가 가장 낮았다(p<0.001). 수분함량 측정 결과 $MgCl_2$ 두부의 수분이 가장 많았고, $CaCl_2$ 두부의 수분이 가장 작게 나타났다(p<0.001). SEM을 이용한 미세구조 관찰에서 GDL 두부와 글루콘산 칼슘 두부의 망상구조가 다른 응고제를 사용한 두부보다 크기가 작고 균일했다. 먹물두부의 관능검사 결과 외관의 기호도, 맛의 기호도에서 GDL 먹물두보가 가장 높은 점수를 얻었으며, 질감의 기호도 역시 GDL 먹물두부가 가장 높았다. 전반적인 기호도는 GDL, 글루콘산 칼슘 먹물 두부 순으로 높게 나타나 수용도가 높았다. 먹물두부의 색도 측정 결과 명도 L값과 적색도 a값은 GDL 먹물두부가 가장 높았고, 황색도 b값은 $CaCl_2$ 두부가 가장 높았다(p<0.001). 먹물 두부의 texture 측정에서 견고성, 껌성, 파쇄성은 글루콘산 칼슘 두부가 가장 높았다. GDL 두부는 견고성은 가장 낮았으나, 응집성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화학적 평가간의 상관관계 결과 두부 순물의 pH가 높을수록 산도는 높아지고, 탁도는 낮아졌다. 산도는 탁도, 수분함량과 부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관능검사와 기계적 검사간의 상관관계에서 수분함량은 다른 관능검사 항목과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기호도와 관능항목간의 상관관계 결과 전반적으로 구수한 향이 강하고, 응집성, 탄력성이 높을수록 기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GDL 두부의 품질 평가 (Nutritive Quality Evaluation of GDL Soybean Curds)

  • 김상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9-14
    • /
    • 1984
  • 본 실험은 국내산대두와 수입대두를 GDL로 응고 시킨 두부의 화학성분, 무기성분, 구성아미노산, 객관적 평가 및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두부제품의 영양적인 면과 기호면을 분석 평가하여 단백질 급원식품으로서 그 이용도를 높이고자 한 것이다.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두부의 수율은 D-GDL두부가 I-GDL 두부보다 높아 대두품종에 따른 차가 있었다. 2. 단백질함량은 D-GDL 두부가, 회분함량은 I-GDL 두부가 더 높았다. 3. 구성아미노산 함량은 보통두부의 아미노산 함량보다 높았으며 D-GDL 두부는 I-GDL 두부보다 높았다. 4. Hardness, toughness, springiness, chewiness는 D-GDL 두부가 I-GDL 두부에 비하여 그 값이 높았으며 elasticity, cohesiveness는 거의 차가 없었다. 5. 색상은 D-GDL두부가 I-GDL 두부보다 더 희었으며 a, b값은 거의 차가 없었다. 6. 기호면에서 볼 때 GDL 두부는 우리의 식성에 맞지 않았다.

  • PDF

검정콩 종피 첨가 제조한 두부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Tofu Added with Black Soybean Hull Powder)

  • 김진;전정례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633-637
    • /
    • 2005
  • 검정콩 종피를 첨가하여 제조한 두부의 품질특성을 검토하였다. 황색콩과 검정콩 전체를 분쇄하여 가공한 두부의 수득량과 두부순물의 수득량은 거의 동일한 양상을 나타내었으나, 0.5% 및 5%의 검정콩 껍질을 첨가하여 두부를 제조한 경우 첨가된 껍질로 인해 황색 및 검정 두부에 비해 두부의 수득량이 뚜렷이 증가하였다. 특히, 5% 검정콩 껍질의 첨가 시에 황색과 검정 두부에 비해 1/2수준의 두부순물이 감소하였다. 두부의 물성검사에서는 검정콩 종피를 5% 첨가한 두부에서 응집성, 점착성, 씹힘성이 높은 양상을 나타내었으며, 황색콩과 0.5% 검정콩 껍질 첨가 두부 간의 물성을 비교한 결과는 점착성과 씹힘성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기존 두부의 가공비율 대비 0.5% 수준으로 검정콩 종피를 첨가하여도 가공된 두부의 견고성과 씹힘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결과를 추정할 수 있다. 또한 관능평가에서는 조직감(texture), 견고성(firmness)에서는 황색콩, 검정콩, 0.5% 검정콩 껍질 첨가 및 5% 검정콩 껍질 첨가 두부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두부 특유의 고소한 맛은 0.5% 검정콩 껍질을 첨가한 두부에서 가장 좋은 풍미를 나타내었으며, 5%검정콩 껍질 첨가 두부에서 가장 낮았다. 두부 저장기간에 따른 일반 세균수와 진균수를 측정한 결과는 5% 검정콩 껍질 첨가 두부에서 황색콩, 검정콩, 0.5% 검정콩 껍질 첨가 두부에 비해 균의 증가가 억제되는 양상을 보였다.

응고제를 달리하여 제조한 두부의 텍스쳐 특성과 두부순물의 성분 (Texture Characteristics of Soybean-Curds Prepared with Different Coagulants and Compositions of Soybean-Curd Whey)

  • 이선미;황인경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78-85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응고제의 종류를 달리하여 제조한 두부의 텍스쳐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기계적 측진과 관능검사를 실시하였고, 두부 제조시 부산물로 생기는 두부순물의 일반성분, 올리고당, 아미노산을 분석하여 비교하였으며, 콩분말, 두유, 두부순물의 단백질 pattern을 전기 영동을 실시하여 알아보았다. 1. 두부의 기계적 견고성, 응집성, 탄력성, 검성은 수분함량이 적었던 염화칼슘두부와 염화마그네슘두부가 황산칼슘두부, 글루코노델타락톤두부보다 컸다. 2. 두부의 관능검사 결과 텍스쳐는 황산칼슘두부, 글루코노델타락톤두부가 수분함량이 많아 부드럽고 매끈하다고 평가되었으나 글루코노델타락톤두부는 신맛을 강하게 나타내었다. 3. 동결건조한 글루코노델타락톤두부에서 나온 두부순물에는 상데적으로 arginine이 가장 많았으나, 나머지 3종류의 주부순물의 아미노산 중에는 glutamic acid가 가장 많았다. 4. 두부 순물에 함유된 주요 당은 fructose, glucose, sucrose, raffinose, stachyose였으며 당의 총 함량은 12-13 g/l 내외로 순물간에 차이가 별로 없었다. 5. 전기영동결과 콩분말과 두유에서는 콩단백진의 주요 획분인 glycinin과 $\beta$-conglycinin이 나타났으나 두부 순물에서는 저분자량의 band 만이 나타났다.

  • PDF

시판 건조 쌀가루를 활용한 두부설기의 물리적.관능적 특성 (Phys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Bean-Curd Sulgidduk with Dried Nonglutinous Rice Flour)

  • 김옥선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649-656
    • /
    • 2011
  • 본 연구는 소비자들이 가정에서 쉽게 떡을 제조할 수 있도록 제조방법의 단순화 및 표준화를 위해 시판되는 건조 쌀가루에 두부 첨가량을 달리하여 설기떡을 제조하고, 물리적 관능적 품질특성을 알아보고 최적 배합비를 찾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두부 첨가량을 달리하고 제조한 두부설기의 수분함량은 설기떡을 찌기 전과 찐 후 모두 두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설기의 수분함량도 유의적으로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색도에서 설기의 명도 L값과 적색도 a값은 두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황색도를 나타내는 b값의 경우 설기 1에서 증가하였다가 설기 2부터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기계적 텍스쳐 측정 결과, 견고성의 경우, 두부를 첨가하지 않는 대조구에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두부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견고성이 유의적으로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부착성의 경우, 두부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가 가장 낮은 값을 나타냈으며, 두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깨짐성의 경우 두부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에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두부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관능검사에서는 색, 맛, 향미,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건조 쌀가루 500 g에 두부 420 g을 첨가하여 제조한 설기 3에서 기호도가 좋다고 평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부터 건조 쌀가루와 두부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설기떡의 영양과 소화율을 증진시키고, 물리적 및 관능적 특성을 만족시키는 가장 좋은 두부설기의 배합비는 건조 쌀가루 500 g에 두부 420 g을 첨가하여 제조한 설기 3임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균형 잡힌 영양과 수분결합력이 큰 두부를 부재료로 첨가하여 설기떡의 영양균형을 맞추고, 칼로리를 낮추면서 유통기한이 짧은 두부의 저장과 보존성을 연장한 상품 개발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시중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는 건조 쌀가루는 보관과 사용이 간편하며 변성이 적어 종래의 설기떡 제조방법보다 쉽게 가정에서도 떡을 만들어 먹을 수 있어 쌀의 소비촉진과 떡의 대중화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탈지 대두분을 이용하여 제조한 두부의 품질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A Study on the Soybean Curd(Tofu) made from Defatted Soybean Flour)

  • 김진희;우은열;김강성;김명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22-27
    • /
    • 2006
  • 탈지 대두분을 이용하여 두부를 제조함에 있어 각 공정의 최적조건을 알아보았다. 탈지 대두분을 물과 1:9 (wt/wt)의 비율로 혼합하고 용액을 교반하면서 가열하였다. 탈지 대두분 두유를 $80^{\circ}C$ 이상으로 가열해야 응고제를 가할 경우 단백질이 응고현상을 보였으며 두부의 형태로 만들 수 있었다. 한편 탈지 대두분 두유의 가열 온도 $80^{\circ}C$에서 가장 높은 수율로 두부가 제조되었다. 두부의 수분 함량 역시 탈지 대두분 두유 가열 온도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85{\sim}90^{\circ}C$에서 77%로 가장 높은 수분 함량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80^{\circ}C$이상으로 탈지 대두분 두유를 가열하는 과정이 두부 제조에 필수적인 과정인 것으로 판단된다. 탈지 대두분 두유의 가열시간의 경우, 5분 미만일 때 응고현상을 나타내지 않았고 가열시간이 $5{\sim}10$분일때 두부의 무게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수분함량은 $1{\sim}10$분 사이일 경우 80% 정도로 유지되었으나 10분을 초과할 경우 수분함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두부를 $5{\sim}10$분 가량 가열하는 것이 대두 단백질의 변성이 충분하게 일어나고 두부의 수분 함랑도 적절하게 유지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지방질을 20 g 첨가하였을 때 두부의 무게와 수분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그 이상으로 첨가하였을 때는 두부의 무게와 수분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이는 높은 지방 함량이 두부 조직과 물 분자 사이의 결합을 방해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글루코노 델타 락톤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제조된 두부의 무게는 비례하게 증가되었고 12 g 이상 첨가된 두부의 무게는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글루코노 델타 락톤 첨가량은 견고성에 영향을 끼치는데 첨가량이 5 g일 때 가장 단단한 두부가 만들어졌으며 그 이상을 첨가하면 견고성은 감소하다 추가적인 글루코노 델타 락톤 첨가에도 거의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응고제 첨가온도에 따른 두부의 무게는 $75^{\circ}C$일 때 가장 많은 두부가 제조되었으며 $65^{\circ}C$의 낮은 온도나, $85^{\circ}C$의 높은 온도에서는 무게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수분함량 역시 $75^{\circ}C$에서 가장 높은 수분함량을 나타내었고 낮은 온도와 높은 온도에서는 비교적 수분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두부의 저장성은 실온과 $4^{\circ}C$ 모두 저장시간이 경과할수록 colony 수가 증가하였다.

전두부와 일반두부의 품질 특성 비교 (Comparison of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ybean Curd and Whole Soybean Curd)

  • 이형재;신홍철;이유석;김진영;문영학;박근형;문제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17-121
    • /
    • 2009
  • 일반두부는 제조과정에 있어 비지가 제거되어지며, 압착에 의한 성형을 행한다. 그러나 전두부는 대두 그 자체의 분말을 여과나 압착 과정없이 용기 내에서 응고시켜 제조된다. 그래서 일반두부와 전두부 간에는 영양성 및 기능성 측면에서 차이가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어 그들 각각을 대상으로 일반성분, 일부 특수성분 분석과 물리적 및 형태학적 특징을 분석 비교하였다. 그 결과 일반두부에 비해 전두부의 경우 회분, 탄수화물, 식이섬유, 비타민 $K_1$, 나이아신의 함량이 높게 검출되었다. 전반적으로 일반두부에 비해 전두부에 있어 우수성이 관찰되었으며, 수용성 성분과 식이섬유 공급원으로서 전두부가 일반두부에 비해 보다 우수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특히 일반두부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던 식이섬유가 전두부(3.41${\pm}$0.75 g/100 g)에 높게 함유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흥미롭게도 전두부의 경도가 낮음을 알 수 있었다. 또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된 형태학적 특성에 있어서는 일반두부 보다 전두부 쪽의 조직이 현저히 미세한 망상구조를 취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물성 및 형태학적 특성은 전두부의 경도 및 식감에 있어 우수성을 제공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시사된다.

해양 암반 심층수를 응고제로 한 두부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tofu coagulated by deep ground sea-like water)

  • 황초롱;윤환식;강민정;심혜진;신정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636-642
    • /
    • 2013
  • 해양 암반 심층수의 두부 응고제로서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시판 두부 응고제 3종($MgCl_2$, $CaSO_4$ 및 glucono-${\delta}$-lactone)으로 제조한 두부와 농축하여 8 $^{\circ}Brix$로 농도 조절한 해양 암반 심층수를 두유 L당 20, 25 및 30g씩(SW-20, 25, 30) 첨가하여 제조한 두부의 품질특성을 분석하였다. 두부의 제조 수율은 SW-30에서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순물의 탁도는 해양 암반 심층수를 응고제로 사용한 실험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두부의 수분은 72.72~74.86%, pH는 6.09~7.01이었는데, glucono-${\delta}$-lactone을 응고제로 사용한 두부에서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여타 시료간에는 유의차가 없었다. 두부의 무기물 함량은 응고제에 함유되어 있는 무기물의 영향을 많이 받아 응고제의 주요 무기물이 두부에서도 다량 검출되었으나, 25 mg/kg 미만의 미량 무기질은 응고제의 영향이 적었다. 두부의 명도와 황색도는 해양 암반 심층수로 응고한 실험군간에는 유의차가 없었다. 두부의 물성 중 경도는 시판 응고제를 사용한 두부에 비해 해양 암반 심층수를 사용한 두부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 관능평가 결과 두부의 응고제는 질감과 맛에 영향을 미쳤는데, 경도가 낮거나 높을 경우 질감에 대한 기호도도 감소하였으며, 응고제로부터 유래한 쓴맛이나 신맛도 관능적 특성을 크게 저해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해양 암반 심층수는 두부의 이화학적 특성에 있어 시판 응고제로 제조한 두부와 유사한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관능적 특성은 오히려 우수하여 두부 응고제로 활용 가능성이 충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