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두부방사선계측

검색결과 295건 처리시간 0.026초

두부규격방사선사진과 측두하악관절 단층방사선사진 계측치간의 상관관계 (Relation of the measuring values in cephalometric radiographs and TMJ tomographs)

  • 한진우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37권1호
    • /
    • pp.19-26
    • /
    • 2007
  • Purpose : To examine whether the maxillofacial skeletal morphology correlates with the condylar position and the anatomic characteristics of articular eminence using measurements of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s and individualized sagittal temporomandibular joint (TMJ) tomographs. Materials and Methods : I compared measurements of 202 TMJs of 101 orthodontic patients of Kangnung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1 used Pearson's correlation for comparison of the measuring values in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s and individualized sagittal TMJ tomographs. Results : Large occlusal plane angle tendency showed decreased width of posterior eminence slope, decreased depth of articular fossa and decreased posterior slope angle of eminence. Large mandibular plane angle tendency showed decreased superior joint space, decreased depth of articular fossa and decreased posterior slope angle of eminence. Large genial angle tendency showed decreased depth of articular fossa, decreased posterior slope angle of eminence and anterior position of condylar head. Large anterior facial height and large posterior facial height tendency showed increased width of posterior slope of eminence, increased depth of articular fossa, increased posterior slope angle of eminence and posterior position of condylar head. Conclusion : Maxillofacial skeletal morphology has correlation with the anatomic characteristics of TMJ. Individualized sagittal TMJ tomographs can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anatomical analysis of TMJ.

  • PDF

측모 두부방사선 계측법에 의한 혼합 치열기 아동의 연조직에 관한 연구 (A ROENTGENOCEPHALOMETRIC STUDY ON THE SOFT TISSUE OF THE CHILDREN IN MIXED DENTITION)

  • 김선해;서정훈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29-237
    • /
    • 198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soft tissu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dental or skeletal dysplasia. For this purpose, lateral cephalogram of 153 children (Hellman dental age IIIB: control group 32, Angle CIII. div. 1 malocclusion group 55, Angle Cl III group 66) were traced and measured. For these measurements, following conclusions were made. 1. FH A, FH Sn, FH UL, AA' of the Class III group were thicker than those of the normal and Class II group, but FH B, FH LL, BB' of the Class III group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the normal group. 2. FH B, FH LL, BB' of the Class II group were thicker than those of the normal and Class III group, but FH A, FH Sn, FH UL, AA' of the Class II group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the noraml group. 3. Ans-Sn, FH P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ree groups, while PP' of the Class III group was thicker than those of the other groups. 4. The lower lips of the Class II group were more anterioly everted with respect to the lower incisor inclination than those of the other groups. 5. The severity of skeletal dysplasia was partly camouflaged by the soft tissue.

  • PDF

하악중절치 위치에 관한 두부방사선계측학적 연구 (A ROENTGENOCEPHALOMETRIC STUDY ON THE POSITION OF THE LOWER CENTRAL INCISOR)

  • 이강희;서정훈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75-84
    • /
    • 1985
  • By observing the correlationships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facial pattern and the methods of establishing the position of the lower central incisor to the five reference lines on the lateral roentgenocephalograms, the author tried to find the most useful method of them, the criteria of which were the independence of a variation according to facial patterns, the close relationships with soft tissue and lip balance, and the simple and consistent usefulness in clinical practice. The subject consisted of forty normal occlusions, forty class II div I malocclusions, forty class III malocclusions, ten treated claas II div 1 cases and ten treated class III cases, all were in 14-17 yrs of age.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position of the lower central incisor to EP, OP, MP and NB showed variations according to ANB, FMA, facial convexity and Holdaway angle. 2. The position of the lower central incise. to AP line (A-Pog) was not co..elated with ANB, FMA, facial convexity and Holdaway angle, so it can be used consistently, regardlesss of the facial pattern. 9. The lineal position of the incisal edge of the lower central incisor to AP line has a profound influence on harmonious soft tissue and lip balance.

  • PDF

악안면 두개골격의 수직${\cdot}$수평적 부조화에 관한 두부방사선 계측학적 연구 (A CEPHALOMETRIC STUDY ON THE VERTICAL AND ANTEROPOSTERIOR DYSPLASIA OF THE CRANIOFACIAL SKELETON)

  • 배근욱;유영규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75-188
    • /
    • 1988
  • The purpose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describe the vortical and anteroposterior facial dysplasia, and to identify morphologic differences associated with various facial patterns. Anteroposterior dysplasia was classified by traditional Angle's malocclusion classification and according to vertical relationships based on the SN-MP angle, facial pattern was subclassified to 3 vertical groups in each malocclusion group. Each vertical group composed of 20 samples and total 180 samples aged from 9 to 14 year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skeletal differences that lead to disportionate lower facial height in vortical and anteroposterior facial dysplasia were closely related to mandibular morphology. 2. Hyperdivergent group, compared with hypodivergent group, demonstrated decrease of SNA and SNB and linguoversion of maxillary and mandibular central incisors in all malocclusion groups. 3. Irrespective of rotation of the jaws, Wits appraisal was a useful measurement in evaluation of relative anteroposterior relationship of maxilla and mandible. 4. As SN-MP angle increased, anterior facial height, especially lower anterior facial height, demonstrated significant increase and intermaxillary space also tended to increase. 5.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of SN-MP angle and PTFH/ATFH demonstrated the highest value in all malocclusion groups.

  • PDF

유아 두개골 방사선촬영에서 피폭선량 감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ose Reduction in Infant Skull Radiography)

  • 안병주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387-392
    • /
    • 2017
  • 영 유아는 사건, 사고 및 교통사고 또는 질병으로 인해 머리에 골절 및 혈관파열, 피부에 상처를 받아 병원에 내원하여 영상의학과에서 머리 검사인 전 후(Skull AP) 및 측면(Skull LAT) 촬영을 받게 된다. 머리검사에서 성인 머리(Skull) 촬영은 격자를 이용하여 촬영에 적용하면 방사선 2차선을 제거하여 영상의 대조도를 높인다. 그러나 방사선 노출조건 중 관전압을 8~10 kVp 높게 주어야 하며 환자피폭이 증가한다. 본 연구는 영 유아 머리촬영시 격자(grid)를 이용하지 않고 동등한 영상을 얻을 수 있다면 피폭선량 감소 및 Grid Cut off에 의한 아티팩트를 방지할 수 있어 연구해 보았다. 연구자는 방사선계측기 이용 방사선선량을 측정 하고 의료영상평가 방법 중에서 주관적 평가(ROC,receiver operationg characteristic)을 해 보았다. 결과에서 격자를 이용하지 않고 촬영하면 환자 피폭선량 감소와 영상 평가에서도 영 유아의 머리 촬영시 격자를 이용하지 않고 촬영을 하게 되면 머리 전 후촬영에서 0.019 mGy 와 측면촬영 0.02 mGy 피폭선량 감소가 있었고 영상평가에서도 4점을 높게 받았다. 결론으로 병원에 내원한 영 유아 머리촬영은 격자를 이용하지 않고 촬영하면 피폭 선량 감소 및 영상 아티팩트인 Grid Cut off을 방지 할 수 있고 엑스선관 수명이 연장되리라 사료된다.

한국인 성인의 교근 두께에 관한 초음파검사적 연구 (Ultrasonographic study on the masseter muscle thickness of adult Korean)

  • 차봉근;박인우;이연희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1권2호통권85호
    • /
    • pp.225-236
    • /
    • 2001
  • 일반적으로 골의 형태와 구조는 부착 근육의 활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특히 악안면 형태와 저작근 기능과의 관계는 많은 임상 및 동물 실험을 통해 연구되어 왔다. 초음파검사는 임상적 적용이 용이하고 비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환자에 대한 유해성이 적어 의학분야의 여러 영역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교근의 두께와 악안면 골격 형태와의 상관성을 평가하는 것으로, 강릉대학교 치과대학 남학생 35명과 여학생 1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교근의 두께 측정에는 7.5MHz의 고해상도 직선 탐촉자에 의한 초음파진단장치가 사용되었고, 악안면 골격 형태의 결정은 측방 두부계측방사선사진 분석을 통해 이루어졌다. 이상의 계측치로부터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남자에서 교근의 평균 두께는 안정 상태에서는 13.8${\pm}$1.71mm, 최대 교합 상태에서 14.8${\pm}$1.77mm였으며 여자에서는 안정 상태에서 11.6${\pm}$1.58mm, 최대 교합 상태에서 12.4${\pm}$1.47mm로 나타났다. 2. 교근의 두께는 남녀모두 안정 상태보다 최대 교합 상태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3. 교근의 두께는 안정 상태와 최대 교합 상태 모두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유의하게 두꺼웠다(P<0.05). 4. 교근의 두께는 남자에서 안정 상태와 최대 교합 상태 모두 하악평면각과는 음의 상관 관계가 있고 하악지 고경, 전두개저 길이와는 양의 상관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P<0.05). 5. 여자에서는 교근 두께와 유의한 상관 관계가 있는 두부계측방사선사진 분석 항목을 찾을 수 없었다(P<0.05). 이로써초음파검사는 악골 근육의 기능을 평가하는 전통적인 방법에 대해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골 상실 증가에 따른 압하시 pure intrusion을 위한 후방견인력 변화는 다음과 같다. 1) 2 전치군과 4 전치군의 후방 견인력은 6 전치군의 후방 견인력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2) 치조골이 상실됨에 따라 각 치아군 후방견인력은 증가됨을 보였다. 4. 상악 전치부 치아군과 치조골 높이에 따른 저항중심의 수평적, 수직적 위치간 상관관계는 다음과 같다. 1) 2 전치군일 때, 치조골 상실에 따른 저항중심의 수직적 위치변화에 대한 수평적 위치 변화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치아 수가 증가할수록 치조골 상실에 따른 저항중심의 수직적 위치 변화에 대한 수평적 위치변화는 작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2) 치조골 상실량이 커짐에 따라서는, 치아 수에 관계 저항중심의 수직적 위치변화에 대해 수평적 위치변화가 커졌다.라 일관성 있게 감소하였고, 제거속도는 Cu가 다른 원소에 비해 빨랐다. 제거속도는 FW 3개 수조 중 FW5&6에서 세 원소 모두 가장 느렸고, SW 3개 수조 중에서는 SW1&2에서 가장 빨랐다. SW와 FW간 제거속도 차이는 세 원소 모두 명확치 않았다 Cr은 FW에서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SW에서는 실험 초기에 감소하다 24시간 이후에는 증가 후 일정한 양상을 보였다. Pb은 FW에서 전반적으로 감소했지만 SW에서는 초기에 급격히 증가 후 다시 급격히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Pb 또한 Cu, Cd, As와 마찬가지로 SW1&2에서 제거속도가 가장 빠르게 나타났다. FW 상층수 중 Hg는 시간에 따라 급격히 감소했고, 제거속도는 Fw5&6에서 가장 느렸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할 때 벼가 자라고 있고 이분해성 유기물이 풍부한 FW1&2, FW3&4 토양과 상층수에서는 유기물의 분해 활동이 활발하였지만, 벼가 경작되지 않는 FW5&6과 SW 에서는 유기물이 상대적으로 결핍되어 유기물의 분해활동이 적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부정교합이 성인 여자대학생의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alocclusion on the self-esteem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 정민호;허욱;백승학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388-396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성장이 끝난 성인 여대생들에 있어 가장 흔한 부정교합의 하나인 전치부의 crowding과 입술주위 돌출감이 자존감(self-esteem)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를 위하여 대학에 재학중인 여자대학생 67명을 대상으로 구강검진과 두부계측방사선 사진촬영, 모형계측을 실시하여 상악전치부의 치아배열과 입술의 돌출도를 평가하였다. 또한 Rosenberg의 자존감 평가 설문조사문항을 이용하여 이들의 자존감을 평가한 후 전치부의 치아배열, 입술주위 돌출도와 자존감 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통계처리 하였다. 실험결과, 입술의 돌출을 가졌거나 전치부의 치아배열이 고르지 못한 학생들은 치아배열이 고르고 돌출되지 않은 안모를 가진 학생들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은 자존감을 보여주었다. 부정교합이 심리적으로 미치는 부정적 영향력에 관하여 더욱 체계적인 연구와 교육, 홍보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삼차원 전산화단층촬영사진과 측모두부 방사선규격사진의 계측자에 따른 계측오차에 대한 비교분석 (Comparison of the observer reliability of cranial anatomic landmarks based on cephalometric radiograph and three-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scans)

  • 김재영;이동근;이상한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6권4호
    • /
    • pp.262-269
    • /
    • 2010
  • Introduction: Accurate diagnosis and treatment planning are very important for orthognathic surgery. A small error in diagnosis can cause postoperative functional and esthetic problems. Pre-existing 2-dimensional (D) chephalogram analysis has a high likelihood of error due to its intrinsic and extrinsic problems. A cephalogram can also be inaccurate due to the limited anatomic points, superimposition of the image, and the considerable time and effort required. Recently, an improvement in technology and popularization of computed tomography (CT) provides patients with 3-D computer based cephalometric analysis, which complements traditional analysis in many ways. However, the results are affected by the experience and the subject of the investigator. Materials and Methods: The effects of the sources human error in 2-D cephalogram analysis and 3-D computerized tomography cephalometric analysis were compared using Simplant CMF program. From 2008 Jan to 2009 June, patients who had undergone CT, cephalo AP, lat were investigated. Results: 1. In the 3 D and 2 D images, 10 out of 93 variables (10.4%) and 11 out 44 variables (25%), respectivel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2. Landmarks tha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2 D image were the points frequently superimposed anatomically. 3. Go Po Orb landmarks, which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3 D images, were found to be the artificial points for analysis in the 2 D image, and in the current definition, these points cannot be used for reproducibility in the 3 D image. Conclusion: Generally, 3-D CT images provide more precise identification of the traditional cephalometric landmark. Greater variability of certain landmarks in the mediolateral direction is probably related to the inadequate definition of the landmarks in the third dimension.

Snorer의 앙와위와 직립위에서의 상기도 크기 (THE SIZE OF UPPER AIRWAY OF THE SNORER IN UPRIGHT AND SUPINE POSITION)

  • 김종철;조홍규;이계형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43-52
    • /
    • 1996
  • Snorer와 정상인의 상기도 부위 연조직의 차이를 비교하며, 자세의 변화에 따른 snorer와 정상인의 상기도 부위 연조직 크기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여성에서 snorer군 25명과 정상군 20명을 대상으로 직립위와 앙와위에서 측모 두부방사선 계측 사진을 촬영한 후 연구개, 혀 및 상기도에 관한 거리와 면적을 계측하고 통계학적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곁과를 얻었다. 1. 직립위와 앙와위에서 snorer군은 정상군에 비해 혀의 길이가 길고 높이가 높았으며 기도가 좁고 길며 설골은 하방에 위치하였고 넓은 연구개와 좁은hypopharynx를 가졌다. 앙와위에서 snorer군은 이와 더불어 정상군보다 더 넓은 혀와 더 좁은 oropharynx를 가졌다. 2. 직립위에서 앙와위로 자세의 변화에 따라 정상군과 snorer군 모두에서 기도의 길이가 감소하였고 설골이 더 상방위치 되었다. snorer군에서는 이와 더불어 혀의 길이와 높이, 기도의 두께와 oropharynx 면적은 감소하였으며 혀와 연구개 면적은 증가하였다.

  • PDF

부정교합 분류에 따른 두경부 위치의 두부방사선 계측학적 연구 (Cephalometric study on head posture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Malocclusion)

  • 황충주;김석현;길재경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21-230
    • /
    • 1997
  • 두경부 자세는 생리적 활동의 기능적 요구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두개 안면 골격의 형태학적 발육에 직접 혹은 간접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부분의 연구에서 안모형태와 설골의 위치,두경부 자세는 서로 매우 높은 상관 관계를 나타내며, 특히 하악골의 전후방 위치가 두경부 자세와 가장 큰 상관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같은 연구에서는 대부분 연구대상을 Natural Head Position(NHP)으로 유도하였으며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NHP의 재현성이 매우 높다고 알려져있으나, 교정환자를 위해 통법의 두부방사선 사진을 찍은 경우에는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에 대해선 연구가 적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여러 안모 유형의 성인 여자 환자를 대상으로 수직기 준선을 나타내는 수직선 추를 이용하여 통법에 따라 채득한 치료전 측모 두부방사선 사진을 이용하여 Wits와 ANB을 기준으로 골격성 부정교합군을 I, II, III로 분류하였으며 각 군별 20명씩 선택하여 두경부 위치와 설골 위치의 부정교합 분류에 따른 상관성 여부를 알아보아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두개저에 대한 설골의 수직적 위치 비교시 Cl II에 비해 C1 III 에서 설골이 더 하방 위치하였다 2. 경추에 대한 설골의 전후방 위치 비교시 Cl II 에 비해 Cl III 에서 설골이 더 전방 위치 하였다. 3. 하악에 대한 설골의 수직적 위치는 Cl I, II, III 간에 통계학적 유의차가 없었다. 4. 악골의 전후방 관계를 나타내는 A N B, Wits 와 설골의 위치 사이에는 통계학적 상관관계를 관찰할 수 없었다. 5. Cl II 에서 나타나는 상대적인 두부 신전 (extension)은 Bjork Sum, ANB와 역상관관계를 나타냈다 6. Cl II 와 Cl III 에서 Post to Ant Facial Height 과 NSL/VER은 순상관관계를 나타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