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돼지난포

검색결과 136건 처리시간 0.032초

배양액 종류, EGF, ${\beta}-ME$ 및 호르몬이 돼지 난자의 체외 성숙율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Study on Effects of Media, EGF, ${\beta}-ME$ and Hormones on IVM of Porcine Oocytes)

  • 장서희;이만희;김상근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47-253
    • /
    • 2006
  • 본 연구는 안정된 돼지 체외 성숙 난자를 얻을 목적으로 배양액의 종류 및 배양액에 EGF, ${\beta}-ME$, 호르몬 첨가가 돼지 난포란의 체외 성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난포란을 TCM-199, NCSU-23 및 PZM-3으로 48시간 배양했을 때 체외 성숙율은 각각 $22.1{\pm}0.70%,\;30.6{\pm}0.70%$$30.4{\pm}2.82%$였다. TCM-199로 48시간 배양했을 때 체외 성숙율은 NCSU-23 및 PZM-3 보다 약간 낮은 체외 발생율을 나타냈다. 난포란을 25 ng/ml의 EGF를 첨가한 TCM-199, NCSU-23 및 PZM-3로 48시간 배양했을 때 체외 성숙율은 각각 $46.3{\pm}2.8%,\;76.6{\pm}3.1%$$72.2{\pm}2.6%$로 나타났다. 난포란의 배양 시 배양액에 25 및 50 ng/ml의 EGF를 첨가 후 48시간 배양했을 때 첨가하지 않은 군에 비해 높은 체외 성숙율을 나타냈다(p<0.05). 난포란을 NCSU-23 및 PZM-3 배양액에 $25{\mu}M/ml$${\beta}-ME$를 첨가한 후 48시간 배양했을 때 체외성숙율은 각각 $43.9{\pm}1.41%,\;41.7{\pm}l.41%,\;44.4{\pm}0.70%,\;40.6{\pm}0.70%$로 나타났다. 난포란을 $25{\mu}M/ml$${\beta}-ME$를 첨가한 NCSU-23로 48시간 배양했을 때 첨가하지 않은 군에 비해 높은 체외 성숙율을 나타냈다(p<0.05). 난포란의 배양 시 NCSU-23에 PMSG, hCG, PMSG+hCG, hCG+${\beta}$-estradiol, PMSG+${\beta}$-estradiol을 첨가 후 배양하였을 때 체외 성숙율은 각각 75.6%, 77.8%, 80.0%, 86.4% 및 84.8%로서 무첨가 군(64.4%)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p<0.05).

Hyaluronic acid 및 Tocopherol 첨가가 돼지 난포란 체외 발달율에 미치는 영향

  • 이향혼;임기순;최선호;이창현;김광식;이연근;박진기;장원경;송해범
    • 한국동물번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물번식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27-27
    • /
    • 2001
  • 본 연구는 돼지 난포란의 체외 성숙시 hyaluronic acid (HA) 및 Tocopherol첨가가 돼지 수정란의 배발달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돼지 난포란은 0.1% PVA, 3.05mM D-Glucose, 0.91mM sodium pyruvate, 0.57mM cysteine, 0.5$\mu\textrm{g}$/$m\ell$ LH, 0.5$\mu\textrm{g}$/$m\ell$ FSH and 10ng/$m\ell$ EGF가 첨가된 TCM-199에서 HA와 Tocopherol을 농도별로 첨가하여 42~44시간 배양함으로써 체외성숙을 유도하였다. HA의 효과를 보기 위해 체외성숙시 0.1% HA가 첨가된 처리구에서 배발달율은 25.6%로 대조구 16.7% 보다 높았다.(Table Omitted). 또한 수정시 HA를 0, 0.02, 0.2, 2.0 로 처리한 결과 8.7%, 19.4%, 11.1%, 0%로 대조구(8.7%)에 비해 0.02% 처리구(19.4%)에서 배발달율이 가장 높았다. 수정후 control, TCM-199, TCM-199+0.1% HA가 첨가된 배양액에 washing해주었을 때 발달율은 TCM-199+0.1% HA 첨가구에서 배발달율(35.6%)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Tocopherol을 0, 50, 100, 200mM로 처리한 결과 수정된 난자중 배발달율은 32.1%, 40.0%, 35.7%, 39.6%로 처리구에서 높았으며, 성숙배양 후반기 22h. 동안 Tocopherol 첨가한 후 수정전 HA로 washing한 결과 Tocopherol 무첨가구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Tocopherol 첨가구에서는 HA처리구에서(19.0%)에서 무처리구보다(14.3%)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배양액내에 HA, Tocopherol를 첨가함으로써 미성숙 난포란의 수정율 및 발달율을 높일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돼지 난자에 있어서 제1극체 형성을 억제하는 난포액 성분

  • 오현주;이은주;양병철;장원경;박영식
    • 한국동물번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물번식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초록집
    • /
    • pp.12-12
    • /
    • 2002
  • 난포액은 난자의 성숙을 억제하는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나, 억제성분의 화학적 성질은 연구자에 따라 다르게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난자의 성축과 관련하여 제l극체의 형성을 억제하는 단백성 성분을 화학적으로 규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난포액 함유 난자성숙 억제 인자를 분리하기 위하여 난포액을 methanol로 추출한 다음 Superose 12 및 Superdex column 을 이 용하여 gel filtration 을 실시하였다. 회수한 Superdex 분절을 PITC로 처리한 다음, Amino Acid Analysis column을 이용, 억제 인자를 동정하였다. (중략)

  • PDF

돼지 폐쇄난포내 과립세포의 자연세포사 시 캐스파제-3의 활성화 (Caspase-3 Activation is Associated with Granulosa Cell Apoptosis during Follicular Atresia in Porcine Ovary)

  • 김종민;정진용;김지영;오승훈;송강원;도병록;김상수;정진;이창주;윤용달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0권1호
    • /
    • pp.1-7
    • /
    • 2006
  • 포유류 난포의 폐쇄 과정은 매우 정교한 내분비적 조절작용에 의해 일어나며, 이 과정중에 발생하는 난포 내 과립세포의 퇴화는 핵응축 현상을 동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핵응축 현상과 관련하여 돼지 난소 내 폐쇄난포의 과립세포가 퇴화 시 동반되는 세포 사멸이 아포토시스의 과정에 의해서 일어나는지의 여부와 아포토시스 관련 주요 단백질 분해 효소인 캐스파제-3과 연관된 세포 사멸 기전과 관련이 있는지에 대해서 조사하고자 하였다. 돼지 난소로부터 정상 및 폐쇄난포를 분리하고 이들을 대상으로 조직학적으로 아포토시스 발생 여부를 확인하였고 난포로부터 각각 얻어진 과립세포를 대상으로 하여 아포토시스 과정으로 사멸하는 세포의 형태 및 캐스파제-3의 활성을 관찰 및 측정하였다. 폐쇄 중 돼지 난포 내 과립세포에서 핵의 분절이 흔히 관찰되었고, 유세포 측정기를 이용하여 세포 사멸율을 측정해 본 결과 사멸하는 세포의 수가 폐쇄난포의 과립세포에서 정상난포보다 매우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난포 조직 내 아포토시스 세포는 과립세포에 국한되어 관찰되었으며 협막세포에서는 아포토시스가 관찰되지 않았다. 최종적으로 캐스파제-3의 활성을 정상 및 폐쇄 난포에서 분리한 세포에서 측정해 본 결과 폐쇄난포의 과립세포에서 정상난포보다 유의하게 높은 활성을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돼지 난포의 폐쇄 중 과립세포의 퇴화는 아포토시스 과정에 의해 일어나며, 캐스파제-3의 활성에 의존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돼지 체외성숙 난포란의 Intracytoplasmic Sperm Injection (ICSI)에 의한 후기배로의 발달에 관한 연구 (Production of Embryos by Intracytoplasmic Sperm Injection (ICSI) with In Vitro Matured Porcine Ooeytes)

  • 조성근;조황윤;박미령;이정규;김진회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81-189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ICSI에 의한 돼지 체외수정란의 생산효율을 높이고자, ICSI에 사용되는 돼지 체외성숙 난포란의 원심분리에 의한 효과, 세포질내에 주입하는 정자의 DTT전처리 효과, 체외성숙 난포란의 체외수정시 주로 사용되는 IVF방법과 ICSI방법 사용에 따른 수정율과 후기배로의 배발달율 조사 그리고 IVF방법과 ICSI방법에 의해 발달한 배반포기배의 할구수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ICSI에 사용되는 돼지 체외성숙 난포란을 이용하여 원심분리를 실시하지 않은 군과 실시한 군에 있어서 수정율과 후기배로의 발달율에 있어서는 두 처리군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또한 ICSI에 사용되는 정자를 주입전에 DTT를 처리한 군과 DTT를 처리하지 않은 군에서의 수정율과 배반포기배로의 발달율에 있어서도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체외성숙 후 IVF 또는 ISCI에 의한 체외수정 후 수정율과 후기배로의 발달율에 있어서도 두 처리군간의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IVF와 ICSI에 의해 체외수정된 수정란에 있어서 8일째까지 발달한 배반포기배의 할구수를 조사한 결과 각각 46.7$\pm$2.9개와 41.9$\pm$4.6개로 나타나 두 처리군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상의 실험 결과들을 종합해 보면, ICSI에 의한 체외수정란의 생산은 체외성숙후 난구세포가 제거된 난포란을 원심분리시키면 ICSI에 있어서의 편리를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입된 정자의 관찰을 용이하게 하여 정확성을 높일 수 있고, 주입시 사용하는 배양액의 난포란내 진입을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ICSI전 정자의 첨체반응 유도와 난포란의 활성화, 그리고 후기배로의 발달율 향상에 따른 할구수의 증가를 위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지금까지의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하여 ICSI에 의한 체외수정란의 생산을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해 나가야 할 것이며, 또한 계속적인 연구로 ICSI를 이용하여 외부유전자의 도입에 의한 형질전환동물의 생산이 가능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돼지 체외수정란의 발달에 미치는 Mouse Leukemia Inhibitory Factor의 영향 (Effect of Mouse Leukemia Inhibitory Factor on the Development of In Vitro Produced Pig Embryos)

  • 엄상준;정형민;박진기;이장형;이훈택;정길생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07-216
    • /
    • 1994
  • 본 연구는 돼지 난포란으로부터 생산된 수정란의 체외발달에 미치는 아미노산, 우태아혈청 (FBS)과 Leukemia Inhibitry Factor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돼지난포란은 도살된 돼지의 난소로부터 회수하여 39$^{\circ}C$, 5% CO2 배양조건하에서 1$\mu\textrm{g}$/ml FSH-p, 1$\mu\textrm{g}$/ml Estradiol-17$\beta$와 10%FBS가 첨가된 TCM-199 배양액내에서 42시간동안 성숙시켰다. 사출된 정자의 수정능 획득은 45와 90% Percoll density gradient법을 통한 원심분리에 의해 얻었으며, 이들 수정능획득된 정자를 성숙된 난포란이 함유된 배양액에 3$\times$105/ml의 농도로 주입하여 10$\pm$1시간동안 배양함으로서 체외수정을 유도하였다. 수정된 난포란은 ; 1) 10% FBS가 함유된 TCM-199, DMEM, mKRB 또는 CR1aa 배양액, 2) 아미노산 또는 10% FBS가 첨가된 CR1 배양액, 3) STO 세포 또는 mLIF (1,000 unit/ml) 첨가된 CR1aa(10%FBS) 배양액, 4) mLIF (1,000 unit/ml)를 수정 직후 또는 8-세포기 이후에 첨가된 CR1aa(10%FBS)의 네가지 배양조건에서 각각 분리 배양하였다. 그결과 체외수정란의 배반포까지 발달율은 아미노산과 10%FBS가 포함된 CR1 배양액에서 다른 배양액에서보다 양호하였고, 특히 8-세포기 이후에 mouse LIF를 첨가한 CR1aa(10% FBS) 배양액에서는 다른 배양조건보다 현저히 높은 결과를 보였으며, 부화 배반포까지도 배발달을 유도할 수 있었다. 따라서 돼지수정란의 발달에 있어서 배양액내에 아미노산과 FBS 및 mouse LIF의 첨가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8-세포기 이후에 있어서 mouse LIF의 첨가는 돼지의 수정란을 배반포 이후의 단계에까지 발달시킬 수 있었다.

  • PDF

Epidermal Growth Factor가 돼지 미성숙난포란의 체외성숙에 미치는 영향;II. GVBD에 미치는 Epidermal Growth Factor의 효과 (Effect of Epidermal Growth Factor on In Vitro Maturation in Pig Immature Oocytes;II. Effect of Epidermal Growth Factor on GVBD)

  • 엄상준;김선의;김은영;윤산현;박세필;정길생;임진호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3권1호
    • /
    • pp.33-39
    • /
    • 1996
  • 본 연구는 돼지 미성숙난포란의 체외배양시 EGF가 핵성숙의 GVBD와 M II 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실험 1에서는 EGF를 첨가하였을 때, 난포란의 배양경과 시간 (0, 16, 24, 42시간)에 따른 핵성숙도를 조사하였던바, EGF 10ng/ml이 첨가된 군이 무첨가된 군에 비해서 24시간 이후에 GVBD가 유의하게 높았다 (p < 0.001). 실험 2에서는 난포란의 배양시 EGF 노출시간에 따른 난포란의 핵성숙의 효과를 조사하였던바, 배양 초기 (0-24시간)와 배양 전시간 (0-42시간) 동안 EGF를 배양액내에 첨가한 군의 경우 최종 성숙단계인 M II까지의 핵성숙율은 72.8과 84.8%로써 배양 후기 (24-42시간)에 EGF가 첨가된 군의 53.5%와 배양 전시간 (0-42시간) 동안 무첨가한 군의 26.1%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p < 0.001). 그리고 실험 3에서는 난구세포 부착 난포란과 난구세포가 제거된 난포란에 있어서 EGF의 효과를 조사하였던바, EGF가 첨가된 난구세포 부착 난포란 군의 경우 핵성숙율 (M II)은 84.6%로써 EGF가 첨가된 난구세포 제거군의 53.0%와 무첨가 난구세포 부착군의 27.6%, 난구세포 제거군의 44.2%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p < 0.001). 따라서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보아 EGF 단독만으로도 돼지 미성숙난포란의 체외성숙의 핵성숙에 있어서 GVBD와 M II 을 유도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 PDF

체외수정 또는 처녀발생 유기된 돼지 난포란의 제한된 발달 (Limited Development of In Vitro Fertillization or Chemically Activated Porcine Follicular Oocytes)

  • 정용;이홍준;이상호;박성수;홍기창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39-144
    • /
    • 1995
  • 10% ethanol에 의한 처녀발생유가 및 체외수정된 돼지 난포란을 CZB와 CRlaa 에서 배양하여 배발달율을 조사하였다. 또한 CZB에 각기 다른 농도의 cholesterol (0$\mu$g/mL, 2$\mu$g/mL, 5$\mu$g/mL, 10$\mu$g/mL)을 첨가한 후 체외수정된 돼지 난포란을 배양하여 배발달률을 조사하였다. CZB 구는 BOEC와 공배양하였다. 처녀발생유가 48시간 후 2~8세포기로 발달한 난자의 비율은 CZB 구가 32.2%, CRlaa구가 16.8%였으며, 192시간후 상실배로 발달한 난자의 비율은 CZB구가 5.75%, CRlaa구가 0%였다. 체외수정 48시간 후 2~8세포기로 발달한 난자의 비율은 CZB 구가 42.4%, 81%, CRlaa 구가 17.6%였으며, 192시간 후 상실배로 발달한 난자의 비율은 CZB 구가 5.81%, CRlaa 구가 0%였다. 각기 다른 농도의 cholesterol이 첨가된 CZB구에서 상실배로 발달한 난자의 비율은 각각 0,10,0.45,0%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