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동해 연안

Search Result 621,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of the Cold Waters Occurring in the East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in Summer Season (하계 동해연안역에서 발생하는 냉수역의 시공간적 변동 특성)

  • SUH Young Sang;JANG Lee-Hyun;HWANG Jae Dong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v.34 no.5
    • /
    • pp.435-444
    • /
    • 2001
  • Daily time series of longshore wind at 8 stations, sea surface temperature (SST) at 11 stations in the east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during $1983\~1997$ and the NOAA/AVHRR satellite data during $1990\~1998$ were used in order to study the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of the upwelling cold water which occurred in the summer season. The cold water occurred frequently in the eastern coastal waters of Korea such as Soimal, Kijang, Ulgi, Kampo, Pohang, Youngduk, Chukbyun, Chumunjin and Sokcho, During the upwelling cold water phenomenon, SST came down more than $-5^{\circ}C$ in a day. The maximum of the averaged RMS amplitude of daily SST was $5.8^{\circ}C$ along the eastern coast of Korea on Julian day 212 from $1983\~1997$. The cross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higher than 0.5 between Sokcho and Chumunjin in the northern part of the East Sea, and along Soimal, Kijang, Ulgi, Kampo and Pohang in the southern part of the East Sea. In late July, 1995 the cold water occurred at Ulgi coastal area and extended to Ullung island which is located 250 km off the Ulgi coast. Even though the distance between Soimal and the Ulgi coast area is more than 120 km, the cross correlation coefficient related to the anomalies of SST due to upwelling cold water was the highest (0.7) in the southeastern coastal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This connection may be due to the cyclonic circulation of the Tsushima Current in this area and the topography of the ocean rather than the local south wind which induced the coastal upwelling.

  • PDF

동해 포항연안에서 채집된 어류의 종조성 및 양적변동

  • 손종철;김기태;한경호;황동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05a
    • /
    • pp.428-429
    • /
    • 2001
  • 어류상에 대한 연구는 연안 어족자원의 정량적 평가와 효율적인 자원관리를 위하여 필요하며. 또한 연안어장에 어획량의 지속적인 확보와 자원량 예측평가를 가하기 위하여 자료를 확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우리나라 동해안을 중심으로 지금까지 영일만 연안 정치망 어장에 출현한 어류군집의 종조성 및 양적변동(한 등, 1997), 삼중자망에 채집된 동해 홍해 연안어류의 종조성(황 등, 1997, 영일만 저어류 종조성의 계절 변동(이, 1999) 둥의 연구가 있다. (중략)

  • PDF

Coastal upwelling observed off the East coast of Korea and variability of passive sound detection environment (동해 연안에서 관측된 용승현상과 수동 음탐환경의 변화)

  • Sang-Shin, Byun;Chang-Bong, Cho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41 no.6
    • /
    • pp.601-609
    • /
    • 2022
  • In August 2007, coastal upwelling occurred off the east coast of Korea, and vertical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data were obtained from a real-time surface ocean buoy. Based on the time series observation data, a vertical sound velocity structure was calculated before, during, and after the occurrence of the coastal upwelling, and how the coastal upwelling affects the sound propagation and detection environment through acoustic modeling considering the horizontal scale and actual seabed topography. As a result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 low-frequency (500 Hz) sound transmission loss and the target detection range by depth using the parabolic equation model, it was analyzed that if coastal upwelling occurs, a detection gain of up to about 10 dB can be expected. In addition,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sound propagation can be greatly changed even in a short period of about 2 to 3 days before and after coastal upwelling.

Characteristics of Cold Water Appeared in the Southwestern East Sea (동해 남서부해역에 출현하는 냉수 특성)

  • Lee, Moon-Ock;Otake, Shinya;Kim, JongKyu
    •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 /
    • v.26 no.3
    • /
    • pp.455-473
    • /
    • 2014
  • 하계 동해의 남서부해역에 냉수가 왜 그리고 어떠한 해양환경하에 출현하는가를 밝히기 위하여 현장조사, 위성자료의 분석 및 수치실험을 실시하였다. 이 해역에서 냉수는 비정상년의 경우는 정상년에 비해 보다 더 연안 가까이에서 출현하였고, 수온도 낮았다. 이것은 냉수가 비정상년에는 정상년에 비해 크게 발달하여 연안역으로 확장함을 의미하였다. 흐름장의 계산결과는 지형류적인 관점에서 수온의 관측결과를 잘 재현하였다. 한편, 정상년의 경우는, 북한한류(NKCW)가 쓰시마난류(TC)와 균형을 유지하면서 동해의 북서쪽에 머물고 있었다. 이에 반해, 비정상년의 경우는, 북한한류가 점차 남쪽으로 남하하여 동해 서부역의 대부분이 북한한류의 세력하에 놓였다. 그래서, 하계 동해 서부 연안역에서의 냉수 출현은 남쪽으로의 북한한류의 확장에 의한 부산물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울산 연안역에 대한 유동계산결과는 하계 남풍이 불 경우, 표층과 저층 사이에 흐름의 역전현상이 나타났다. 따라서, 하계 동해의 남서부 연안역, 특히 수심의 변화가 급한 방어진 부근에서 냉수의 용승이 일어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Analysis of Seawater Intrusion Vulnerability for Administrative Districts in East Sea (동해 연안 행정구역 별 해수침투 취약성 분석)

  • Lee, Jae-Beom;Yang, Jeong-Seok;Kim, Il-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93-93
    • /
    • 2018
  • 최근 기후변화에 따라 우리나라 해수면 상승률은 평균 2.48mm/yr로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 동해의 해수면 상승률은 2.69mm/yr 로 전세계 평균 해수면 상승률인 2.0mm/yr 보다 높게 나타나 해수면 상승에 의한 해수침투 피해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해수침투로 인해 1차적으로 연안지역의 해수침투 영역이 증가하고, 지하수의 오염, 농작물의 염수 피해, 산업활동의 제약 등 피해 범위가 지역 사회 범위로 점차 증가한다. 한정된 자원에서 해수침투를 예방하고 피해지역을 줄이는 것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를 위해 동해 연안지역의 행정구역을 대상으로 정량적인 분석을 통하여 해수침투에 취약한 지역을 선정하고 대비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수침투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수집하고, 취약지역을 평가하여 분석하였다. 동해 연안의 11개 시 군 행정구역을 대상으로 해수침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자를 선택하고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Re-scale 방법을 이용하여 표준화 하고 엔트로피 방법을 이용하여 산정된 가중치를 각각의 인자에 적용하였다. 산정된 해수침투 취약성 지수는 동해안을 대상으로 하여 각 행정구역에 대한 상대적인 취약성을 나타낸다. 최종적으로 산정된 취약성 지수를 동해안의 행정구역이 도시되어 있는 지도에 나타내어 취약한 지역에 대하여 해수침투 방지 대책 및 시설 보강 계획을 세운다면 해수침투 피해에 효율적인 대처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 PDF

동해고유수가 내만 수괴의 연직구조에 미치는 영향

  • 윤한삼;류청로;이인철;김헌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3.05a
    • /
    • pp.164-165
    • /
    • 2003
  • 본 연구는 영일만 만내 수괴의 거동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는 가용 강우량, 증발량, 바람 등 기상조건의 영향을 검토ㆍ분석하고, 그림 1의 영일만 정선해양관측의 수온ㆍ염분 자료와 연안정지 수온관측자료를 수집ㆍ분석하여 영일만 해역에서의 동해 고유수와 만내 연안수와의 혼합과정을 규명하고자하였다. 이를 통해 영일만수괴의 만내 연안수와 동해 고유수와의 상호관련성과 만내 해수의 수평ㆍ연직순환류 발생 메카니즘에 대해서 고찰하고자 하였다. (중략)

  • PDF

Computation of Tsunamis in the East Sea using Dynamically Interfaced Nested Model (동적결합쓰나미모형에 의한 동해쓰나미 산정)

  • 최병호;홍성진;우승범;에핌페리높스키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Conference
    • /
    • 2000.09a
    • /
    • pp.47-54
    • /
    • 2000
  • 역사적으로 동해에서의 쓰나미는 자주 발생하지는 않았지만, 동해에서의 지진 진앙지가 유라시아와 북태평양 플레이트사이인 일본연안을 따라 위치하고 있어서 우리나라의 동해 연 안, 일본연안 및 러시아 연안에 큰 쓰나미에 의한 피해를 줄 수 있다. (중략)

  • PDF

Effect of El Niño and La Niña on the Coastal Upwelling in East Sea, South Korea (엘니뇨와 라니냐가 한국 동해 연안용승에 미치는 영향)

  • Seo, Ho-San;Kim, Dong-S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6 no.1
    • /
    • pp.75-83
    • /
    • 2020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El Niño and La Niña on coastal upwelling in the East Sea of Korea using long-term (1967-2017) water temperature observation data and Oceanic Niño Index (ONI). As a result of time series analysis of water temperature, the occurrence frequency of summer coastal upwelling was the highest in the southeastern (Ulgi ~ Gimpo) coast. In 1987-1988 and 1997-1998, when the annual fluctuations of ONI plunged more than 2.5, the water temperature in whole coast areas of the East Sea (Busan ~ Goseung) rose by 4 ~ 7 ℃. The temperature structure of the East Sea coastal water was different when El Niño was strong with ONI above 1.5 and La Niña with strong ONI below -0.8. When El Niño is strong, the water temperature anomaly in coastal waters is negative. This is due to the strong baroclinic tilting and the formation of shallow temperature stratification in the coastal waters. The strong La Niña season is opposite to the strong El Niño season, whereas the water temperature anomaly is positive. In addition, the baroclinic tilting is weaker than the time of strong El Niño and the temperature stratification is formed deeper than the time of strong El Niño. The formation of temperature stratification at shallow depths when El Niño is strong can increase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coastal upwelling caused by southerly winds in the summer season. On the contrary, when La Niña is strong, occurrence of coastal upwelling is less likely even if the southerly wind blows continuously. This is because the temperature stratification is formed at deeper than when El Niño is strong.

Transport Paths of Nearshore Surface Sediment on Coast of East Sea, Korea (동해 연안 표층퇴적물의 이동경로)

  • 유규철;오재경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11 no.1
    • /
    • pp.50-55
    • /
    • 1999
  • Gao and Collins method (two-dimensional sediment transport trend-vector model) using grain-size parameters (mean grain size, sorting coefficient, and skewness) calculated by the statistical moment method is introduced to understand semi-quantitatively the sandy and surficial sediment transport trends on a coast of the East Sea. The result is the sediment transport vectors which indicate transport paths of surficial sediment by wave-induced currents. The corresponding morphological feature is a spit developed at the mouth of the Nam¬dae stream, which is a resultant sediment transported by longshore current and is blocking the circulation of ocean. After this, it is thought that seasonal research and hydrodynamic measurements are needed for verification of the resul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