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동춘고택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7초

동춘고택(同春古宅)의 시기별 건축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Changes Over Time in Dongchun gotaek(同春古宅))

  • 안준호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5권4호
    • /
    • pp.72-94
    • /
    • 2022
  • 본 연구는 호서사림(湖西士林)을 대표하는 인물 중 한 명인 동춘당 송준길의 향거(鄕居)이자 대전지역을 대표하는 건축문화재인 동춘고택 내의 시기별 건축 변화에 관한 것이다. 2012년과 2013년, 동춘당과 동춘당 종택을 각각 수리하는 과정에서 발견된 상량(上樑) 관련 자료들과 대전광역시에서 작성한 『국가지정문화재 신청 자료보고서』, 은진송씨 동춘당 문정공파에서 가전(家傳)되어 온 『덕은가승(德恩家乘)』과 2010년 및 2020년에 각각 실시되었던 부분 발굴조사 결과들을 연구 기초자료로 활용했고 이들을 비교 분석하여 동춘당과 정침(正寢) 및 사당 건물의 위치 변화를 살펴보았다. 동춘당은 송준길에 의해 건립되었는데 신축이라기보다는 아버지가 건립했던 청좌와(淸坐窩)가 퇴락하자 현재의 지역으로 옮겨지은, 이축(移築)에 가까운 건물이며 상량문(上樑文)을 통해 그 건립시기를 명확히 밝힐 수 있었다. 다만 청좌와가 있던 자리는 2차례에 걸친 매장문화재 조사에서도 정확한 터가 확인되지 않았다. 정침의 경우 두 번의 이건(移建)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그 중 첫 번째 이건지가 현재의 담장 외부였음을 확인한 것은 본 연구의 가장 큰 의미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행랑채 확인을 위한 발굴조사에 확인된 건물지 중 하나는 동춘고택 터에서의 최초의 건축으로 추정해 보았다. 사당 영역은 처음 건립되었던 가묘(家廟)를 비롯해 불천위(不遷位)를 모신 별묘(別廟)와 체천(遞遷) 사당인 조묘(祧廟)가 있었으며, 시간이 흐르면서 신축과 멸실 또는 상호 간의 위치 교환 등의 많은 변화가 발생했던 공간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동춘일곽(同春一郭)복원을 통한 동춘당공원 경관 재건 제안 (A Proposition for Restructuring the Dongchundang Park's Landscape by Rehabilitating the Dongchun Enclosure)

  • 김영주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7권1호
    • /
    • pp.31-40
    • /
    • 2016
  • In 1995 the land development was executed in Songchon-dong, Daejeon-si, and the region lost the strong geographical and historical character as an old clan village of the Song family who has great influence over the country in the Josun Dynasty. Though many cultural assets related to the Song family are preserved during the land development, the region fails to keep the authentic sense of place because the preservation was fulfilled only based on the boundary of each specific buildings. The Dongchundang park is an example to reveal the issue. Besides the fact that it is the Designated Treasure, the Dongchundang has an important meaning for having been the center of the clan and its local community in Songchon-dong. While the Dongchundang park built during the land development contains the Dongchundang with closely related buildings, the Dongchungoteak and Youngurk Song's House for the purpose of preserving the historical assets, the park was planned in an irrelevant way to the plac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iscrepancy between the past and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park and proposes a guideline to alleviate the discrepancy as to retrieve the park's genuine sense of pl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