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동중국해

Search Result 190,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 Maritime Meteorological Research on the Ancient Sailing Route between Silla Korea and Tang China in the East China Sea (고대 동중국해 사단(斜斷)항로에 대한 해양기상학적 고찰)

  • Kim, Sung-Jun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19 no.2
    • /
    • pp.155-163
    • /
    • 2013
  • The ancient sailing routes between Silla Korea and Tang China have been a hot issue among the researchers. Some assert that the Korean seafarers under Chang Po-go sailed the East China Sea directly from China to the Korean Peninsula with the assistance of mariner's compass on boarding V-shaped vessels in the 9th century. As we all know, Chinese used the mariner's compass in the 11th century and Europeans in the 12th century. In this paper, the author analyzed the maritime meteorological condition for sailing ships to navigate in the East China Sea and retraced the rafting route by Yun in 1997. As the results of analysis, the author confirmed that the maritime meteorological condition might be favorable for the seafarers to be capable of navigating in the East China Sea from China to Korea in June and July. But even the sea condition might be favorable, it must be God's will for the ancient seafarers to reach the Korean Peninsula. On Yun's rafting account, the author found out 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sailing route drawn by Yun himself and the actual drifted route and the raft drifted at 1.7~2.0 knots. This was quite an extraordinary speed considering the unfavorable sea condition and raft itself without keel. In conclusion, the author reaffirms that it was after the year 1068 for the seafarers to navigate in the East China Sea directly from China to Korea without any historical proofs or evidences.

MODIS 해수색 위성 자료를 이용한 동중국해 turbid water의 변동 모니터링

  • 서영상;김복기;이나경;장이현;황재동;이용화;오현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2.10a
    • /
    • pp.156-157
    • /
    • 2002
  • 동중국해는 해양어족 자원의 보고이며, 한국, 중국, 일본 등 연안 국가가 많은 혜택을 받고 있는 해역이다. 이와 같은 동중국해는 중국대륙의 연안수와 쿠로시오가 만나는 곳으로, 그 경계역에서 해황 변동이 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Chikuni, 1985). 특히, 해양 광학적인 측면에서 동중국해수는 매우 복잡한 광특성을 지니고 있다. 동중국해 해역 중 중국대륙 연안측에서는 탁한 해수(Case II), 일본 연근해역에서는 밝은 해수(Case I)그리고 동중국해의 중심 해역인 제주도 연근해역에서는 밝은 해수와 탁한 해수가 합쳐진 혼합수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Ahn et al., 1998;Ahn, 2000; Suh et al., 2001). (중략)

  • PDF

1999년 하계 황해 어업자원의 분포특성

  • 연인자;고태승;황학진;최영민;조성환;임양재;임동현;홍승현;윤원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05a
    • /
    • pp.346-347
    • /
    • 2000
  • 황해에서의 어업생산은 우리나라 일반해면어업 생산량의 약 12%에 지나지 않으나, 우리나라 어선어업의 약 80%를 차지하는 황해-동중국해 어업자원 대부분이 계절에 따라 황해와 동중국해를 이동하는 회유성 자원임을 볼 때 황해는 동중국해 어업자원의 근간을 이루는 해역이라 할 수 있다(과학기술부, 1998). 그러나 육상오염원의 증가, 간척지 개발, 남획등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어획량의 감소 및 다양한 어종의 서식장 및 산란장으로서의 기능도 위협받고 있는 실정이다. (중략)

  • PDF

동중국해 대륙붕 상에서 형성된 Cold Cushion의 시공간적 변동

  • 서영상;이용화;오현주;장이현;황재동;김복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10a
    • /
    • pp.227-228
    • /
    • 2001
  • 배타적 경제수역(EEZ) 설정으로 인하여 한국 연근해 뿐만 아니라 공해 공동어장으로서 중요한 동중국해에서도 지속적인 생산성 유지를 위한 수산자원의 효율적 이용 및 관리가 요구되어, 이 해역에 대한 과학적 해양조사를 통해 해황의 시공간적 변동 특성을 적시에 구명해야 할 시기에 와 있다. 동중국해 북부해역은 대부분 대륙붕으로 구성되어 있다. (중략)

  • PDF

음향을 이용한 동중국해의 어족자원분포에 관한 연구

  • 손창환;황두진;김용주;신형호;윤양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10a
    • /
    • pp.63-64
    • /
    • 2001
  • 동중국해는 한국, 중국, 일본이 인접하여 경쟁적으로 조업을 하는 곳으로 이들 국가들에 의한 어족자원의 남획은 어족자원의 감소로 이어졌고 현재에는 어업의 생산성이 현저하게 저하되어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한ㆍ중ㆍ일간에는 어업 협정이 체결되었으며 이 협정에 근거하여 동중국해 연안국들에 있어서는 어족 생물 자원에 대한 효과적인 보존과 관리가 공동의 관심사로 떠오르게 되었다. (중략)

  • PDF

한국 연근해 황아귀의 분포특성

  • 박영철;안두해;차병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10a
    • /
    • pp.290-291
    • /
    • 2000
  • 우리나라 주변해역에 출현하는 아귀류는 아귀과(Lophiidae)에 속하는 저서성 어류로서 황아귀, Lophius litulon(Jordan)와 아귀 Lophiomus setigerus(Vahl) 두 종이 알려져 있다. 황아귀는 주로 중국의 하북성, 산동성 연안, 한국 서해 및 제주도 서방 등 동중국해 북부 및 황해에 분포하고 아귀는 주로 동중국해 남부 및 필리핀근해 등에 분포한다(Seikai Regional Fisheries Research Laboratory, 1986). (중략)

  • PDF

한국 연근해 황아귀의 자원 해석 및 관리

  • 박영철;차병열;최석관;안두해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05a
    • /
    • pp.330-331
    • /
    • 2000
  • 우리나라 주변해역에 출현하는 아귀류는 아귀과 (Lophiidae)에 속하는 저서성 어류로서 황아귀, Lophius litulon (Jordan)와 아귀, Lophiomus setigerus (Vahl) 두 종이 알려져 있다. 황아귀는 주로 중국의 하북성, 산동성 연안, 한국 서해 및 제주도 서방 등 동중국해 북부 및 황해에 분포하고, 아귀는 주로 동중국해 남부 및 필리핀 근해 등에 분포한다(Seikai Regional Fisheries Research Laboratory, 1986). (중략)

  • PDF

동중국해 북부해역 수온, 염분의 분포 변동 특성

  • Jang, Lee-Hyeon;Kim, Sang-U;Go, U-Jin;Geleekko, Yamada;Seo, Yeong-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7.05a
    • /
    • pp.331-335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장기간의 현장관측 수온, 염분자료를 분석하여 동중국해 북부해역에서 계절별 수온, 염분의 변동 특성을 조사하였다. 표층의 경우 춘계 수온상승에는 공간적인 차이가 있다. 또한 서부해역($125^{\circ}E$ 이서)에서는 32 psu 이하의 저염 분포가 나타나고 제주 남서해역에서 33psu 이하의 저염수가 춘계부터 제주 주변해역으로 확장한다. 하계 표층염분은 $28.0{\sim}32.4$ psu로 연중 최저값은 보이며, 전해역 표층 염분이 33psu 이하로 저염의 양자강 희석수가 하계에 동중국해 북부해역 표층 전체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추계의 표층수온과 염분은 동고서저형의 수평분포를 나타낸다. 수온 하강은 서부해역인 대륙 연안수역이 동부의 대마난류수역에 비해 크고, 서부해역에서 33psu 이하의 설상형 저염분포가 이시기에 남동쪽으로 관입되는 형태로 나타나 동계의 남북방향의 염분전선과 이어지게 된다. 연직해황의 경우 동계 수온과 염분은 활발한 대륙작용에 의해 전수층에서 균일한 분포를 나타내며, 대륙연안수역에서는 저온, 저염($12^{\circ}C$, 33psu 이하)의 분포를, 대마난류수역에서는 고온, 고염($16^{\circ}C$, 34.4psu 이상)분포의 지역적인 특성으로 구별된다. 춘계에는 수온약층이 형성되며, 저층에는 동계에 형성되어 대륙연안수와 외양수 사이에 고립된 $13^{\circ}C$ 이하의 냉수괴가 분포한다. 염분은 표층 저염화가 시작된다. 하계에는 양자강 유출수의 영향으로 전해역 표층에서는 30psu 이하로 전해역에서 저염화 양상이 나타나며, 표층에서 30m 층까지 매우 강한 염분약층이 형성된다. 추계 수온 엽문은 균일한 연직수온분포가 나타나며, 동부해역에서는 수심 $75{\sim}100m$사이에서 수온, 염분약층이 형성된다. 동중국해의 수괴는 뚜렷한 계절 변동을 보이며, 대마난류수역인 동부해역에서는 수괴 계절변동의 요인으로 계절 수온변동이 지배적이고, 수온변동은 춘계와 하계 사이에 가장 크다. 중앙부와 대륙연안역인 서부해역에서는 수괴 계절변동에 수온외에 염분 변화가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며, 염분은 하계와 추계 사이에 가장 변동이 크게 나타난다. 즉, 동중국해의 수괴변동에는 변동요인에 따른 공간적인 차이가 있으며, 수괴변화 특성으로 동중국해는 수온변화가 수괴변동에 직접요인이 되는 동부 대마난류수역과 염분변화가 수괴변동의 직접요인인 서부의 대륙연안수역으로 구분된다.

  • PDF

A Study on the Sanctuary of the Residence in East China Sea Skirts Area (동중국해권 민가의 성역(聖域)에 관한 연구)

  • Youn, Lily;Onomichi, Kenji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43 no.2
    • /
    • pp.60-81
    • /
    • 2010
  • Jeju Island, in Korea, shows many characteristics that are differentiated from the rest of Korea. Its culture is rooted in mythology which advocates a egalitarian, rather than hierarchical, social structure, the place of women in the home is relatively high, and the formation of buildings, the separation of cooking and heating facilities, and the living format of residential homes is dissimilar. These disparities in culture indicate that Jeju Island's heritage was not formed only from influences from the North, but also from other places as well. To fill in the blanks, residential homes in Jeju Island were compared with those scattered throughout the East China Sea, which connect the southern coastline of the Korean peninsula and Jeju Island. The regions encompassed by the East China Sea, sharing the Kuroshio current and a seasonal wind, can be considered as one cultural region integrating cultural aspects from the continental North and the oceanbound South.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southern culture as seen in southern residences was examined through an investigation of the sacred places in which gods were considered to dwell. First, the myths of these areas usually concerned with the ocean, and a sterile environment made sustenance impossible without a dual livelihood, usually taking on the forms of half-farming and half-fishing, or half-farming, half-gardening. Although family compositions were strongly matricentric or collateral thanks to southern influence, a patriarchical system like those found in the North were present in the upper classes and in the cities. Therefore, residential spaces were not divided based on age or gender, as in hierarchical societies, but according to family and function. Second, these areas had local belief systems based on animism and ancestor worship, and household deities were closely related to women, agriculture and fire. The deities of the kitchen, the granary and the toilet were mostly female, and the role of priest was often filled by a woman. After Buddhism and Confucianism were introduced from mainland Korea, China and Japan, the sacred areas of the household took on a dual form, integrating the female-focused local rites with male-centered Buddhist and Confucian rites. Third, in accordance with worship of a kitchen deity, a granary deity, and a toilet deity led to these areas of the home being separated into disparate buildings. Eventually, these areas became absorbed into the home as architectural technology was further developed and lifestyles were changed. There was also integration of northern and southern cultures, with rites concerning granary and toilet deities coming from China, and the personality of the kitchen deity being related to the southern sea. In addition, the use of stone in separate kitchens, granaries, and toilets is a distinguishing characteristic of the East China Sea. This research is a part of the results gained from a project funded by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 in 2006.

Movement of Cold Water Mass in the Northern East China Sea in Summer (하계 동중국해 북부 해역에서 저층 냉수괴의 거동)

  • Jang, Sung-Tae;Lee, Jae-Hak;Kim, Cheol-Ho;Jang, Chan-Joo;Jang, Young-Suk
    • The Sea: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v.16 no.1
    • /
    • pp.1-13
    • /
    • 2011
  • The Yellow Sea Cold Water (YSCW) is formed by cold and dry wind in the previous winter, and is known to spread southward along the central trough of the Yellow Sea in summer. Water characteristics of the YSCW and its movement in the northern East China Sea (ECS) are investigated by analyzing CTD (conductivity-Temperature-Depth) data collected from summertime hydrographic surveys between 2003 and 2009. By water mass analysis, we newly define the North Western Cold Water (NWCW) as a cold water mass observed in the study area. It is characterized by temperature below $13.2^{\circ}C$, salinity of 32.6~33.7 psu, and density (${\sigma}_t$) of 24.7~25.5. The NWCW appears to flow southward at about a speed less than 2 cm/s according to the geostrophic calculation. The newly defined NWCW shows an interannual variation in the range of temperature and occupied area, which is in close relation with the sea surface temperature (SST) over the Yellow Sea and the East China Sea in the previous winter season. The winter SST is determined by winter air temperature, which shows a high correlation with the winter-mean Arctic Oscillation (AO) index. The negative winter-mean AO causes the low winter SST over the Yellow Sea and the East China Sea, resulting in the summertime expansion and lower temperature of the NWCW in the study area. This study shows a dynamic relation among the winter-mean AO index, SST, and NWCW, which helps to predict the movement of NWCW in the northern ECS in summ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