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동조질량감쇠기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2초

바닥판 구조물의 진동제어를 위한 MR 감쇠기의 적용 (Application of MR Damper for Vibration Control of Floor Slab)

  • 김기철;곽철승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6권3호
    • /
    • pp.59-67
    • /
    • 2006
  • 수동동조질량감쇠기의 진동제어 효과는 질량감쇠기와 구조물과의 동조로 인하여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바닥판 구조물의 질량과 강성의 변화로 인하여 실제 구조물에 있어서 비동조 현상이 일어나기도 한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수동동조질량감쇠기의 성능이 비효율적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구조물의 진동을 증가시키기도 한다. 본 논문에서는 기계나 사람에 의한 바닥판 구조물의 진동을 줄이기 위하여 자기유체감쇠기의 적용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준 능동제어와 groundhook 제어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준능동감쇠기의 성능과 수동질량감쇠기의 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비동조 상황에서의 준능동감쇠가와 수동질량감쇠기의 견인성을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자기유체감쇠기는 동조상황에서 우수한 제어 성능을 가지고 있으며 비동조 상황에서도 우수한 견인성을 보여주고 있다.

  • PDF

동조질량 감쇠기에 의한 건물 바닥판의 연직진동제어 (The Control of Vertical Vibration of Building Slabs using Tuned Mass Dampers)

  • 이동근;김진구;안상경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2권4호
    • /
    • pp.103-114
    • /
    • 1998
  • 기계설비가 설치되어 있는 건축구조물의 바닥판은 기계설비의 진동이 미소하다 하더라도 공진이나 맥놀이(beating) 현상에 의하여 큰 진동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진동은 감쇠장치의 일종인 동조질량감쇠기를 이용하여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그러나 진동저검 효과를 동조질량감쇠기의 설치위치 및 진동수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특히 하중의 위치에 EK라서 건축구조물의 바닥판에 대하여 하중의 위치에 따른 동조질량감쇠기의 위치와 동조진동수 결정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으며 가진층뿐만이 아니라 비가진층의 진동저감에 대해서도 연구하였다 정상상태 응답을 효율적으로 구하기 위하여 벡터합성법 및 대형 요소를 사용하였으며 구조물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수 있는 동조질량감쇠기의 위치 및 동조진동수를 찾을수 있었다.

  • PDF

비틀림 강성을 가지는 동조질량감쇠기를 이용한 편심건물의 제어 (Control of the Eccentric Building Using a TMD with Torsional Rigidity)

  • 박용구;김현수;이동근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12권2호
    • /
    • pp.65-72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비틀림 거동을 일으키는 편심구조물의 효율적인 제어를 위한 비틀림 강성을 가지는 동조질량감쇠기의 제어성능을 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지진하중을 받는 편심구조물에 동조질량감쇠기의 설치위치와 비틀림강성에 따른 제어성능을 평가한다. 반복되는 시간이력해석시 소요되는 해석시간을 줄이기 위하여 등가해석 모델을 사용하였고 비비례감쇠시스템인 동조질량감쇠가 설치된 구조물의 해석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일반적인 동조질량감쇠기에서 무시되어온 동조질량감쇠기의 비틀림 속성이 비틀림 거동이 발생하는 편심구조물에서는 효과적일 수 있음을 검증하였다. 그리고 편심구조물의 경우에는 동조질량감쇠기의 최적 설치 위치가 구조물 평면의 중심이 아닐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지반특성에 따른 동조질량감쇠기의 지진응답특성 및 최적설계변수 (Investigation on Seismic-Response Characteristics and Optimal Design Parameters of Tuned Mass Damper Considering Site Effects)

  • 강경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5306-5313
    • /
    • 2011
  • 기존 동조질량감쇠기의 최적설계변수에 관한 연구는 풍하중과 같은 조화하중을 받는 구조물을 대상으로 연구가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수치해석을 통하여 지진하중이 작용하는 건축물에 설치되는 동조질량감쇠기의 최적 감쇠비와 동조진동수비를 구하였다. 지반특성을 단단한 지반, 연약지반, 단층 근처 지반으로 분류하고, 이들 지반특성을 고려한 수치해석을 통해 구한 동조질량감쇠기의 설계변수를 기존 연구 결과와 비교하였다. 수치해석결과 본 연구로부터 구해진 동조질량감쇠기의 설계변수값을 적용한 경우 지진하중에 의한 응답제어에 기존 연구를 통해 얻어진 변수값을 적용한 경우에 비해 더 나은 제어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비대칭 동조질량감쇠기를 활용한 바닥진동제어의 강건성 향상 방안 (Enhancing Robustness of Floor Vibration Control by Using Asymmetric Tuned Mass Damper)

  • 고아라;이철호;김성용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6권3호
    • /
    • pp.177-189
    • /
    • 2014
  • 최근 강재의 고강도화를 통한 부재 단면 사이즈의 절감은 종종 강성의 부족으로 이어져 과도한 처짐이나 진동문제를 야기한다. 따라서 적절한 설계나 예방을 통해 구조물의 바닥진동에 대한 보완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바닥진동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동조질량감쇠기가 종종 쓰이고 있다. 동조질량감쇠기는 바닥의 진동수에 대해 정확히 설계되었을 때에는 효율적으로 바닥진동을 제어할 수 있다. 하지만 바닥질량의 크기와 외부하중의 특성에 따라 바닥의 진동수가 수시로 변하는 경우에는 그 효율이 급격히 낮아질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현상을 동조이탈이라고 한다. 본 연구는 실제 바닥에 가해지는 하중의 변화에 따라 바닥의 진동수가 달라지는 양상을 실험을 통해 고찰한다. 실험 바닥에 기존의 단일동조질량감쇠기를 적용하여 단일동조질량 감쇠기의 한계인 동조이탈현상을 확인한다. 또한, 바닥진동제어의 강건성을 확보하기 위해 진동수의 불확실성을 반영한 비대칭 동조질량감쇠기의 활용을 제안한다. TMD의 강건성이란 진동수가 변화하는 상황에서 바닥진동제어 성능이 얼마나 지속되느냐를 뜻한다. 제안된 비대칭 TMD는 두 개의 비대칭 강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병진운동과 회전운동을 하면서 진동에너지를 소산한다. 제안된 비대칭TMD의 최적화 결과, 비대칭TMD는 기존 STMD에 비해 28%이상의 진동제어성능을 확보하였으며, 외부의 환경 변화에 대한 강건성은 약 1.4배 개선되었다.

실물크기 구조물에 설치된 동조액체질량감쇠기의 성능실험 (Performance Test of a Tuned Liquid Mass Damper installed in a Real-Scaled Structure)

  • 허재성;박은천;이성경;이상현;김홍진;조지성;조봉호;주석준;민경원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1권2호
    • /
    • pp.161-168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하나의 제어장치로 서로 직교하는 2방향의 건물응답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는 동조액체질량감쇠기(Tuned Liquid Mass Damper; TLMD)를 제안하고 제어성능을 실험적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TLMD는 한 방향으로는 동조액체기둥감쇠기(Tuned Liquid Column Damper; TLCD) 내부에 채워진 액체의 운동에너지를 이용하여 구조물의 응답을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다른 한 방향 즉 TLCD의 직각 방향으로는 LM guide(linear motion guide) 위에 놓인 TLCD 수조와 내부의 액체의 질량을 이용하여 동조질량감쇠기(Tuned Mass Damper; TMD)로 거동하게 함으로써 구조물의 응답을 감소시킨다. 이와 같은 TLMD의 양방향 독립거동 특성을 증명하기 위해 실물크기의 구조물에 설치하여 강제진동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양방향 모두 대상 구조물의 응답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여 제안된 TLMD의 효용성을 검증하였다.

지반 기진력을 받는 구조물의 진도제어를 위한 Hybrid Mass Damper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bility of Hybrid Mass Damper for the Vibration Control of the Structure under Base Excitation)

  • 문석준;임채욱;정태영;한성용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5권4호
    • /
    • pp.1-8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지반 기진력을 받는 5층의 시험 구조물의 전동 레벨을 줄이기 위해 AC 서보모터를 이용한 복합 질량 감쇠기를 설계 및 제작하여, 5층의 시험구조물을 랜덤 및 지진 파형으로 가진하였을 때의 복합 질량 감소기와 동조 질량 감쇠기의 효과 및 제어 성능을 실험을 통해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복합질량 감쇠기는 동조 질량 감쇠기에 비하여 특히 과도 상태의 지진이 구조물의 2개 모드 이상을 동시에 가진할 경우에 구조물의 진동을 줄임에 훨씬 더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 PDF

유압 배관 진동 감쇠를 위한 동조질량감쇠기 최적 설계 (Design optimization of tuned mass damper for the vibration of hydraulic pipeline)

  • 김찬경;백승훈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64-72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유체의 이동에 의한 배관의 진동을 저감시키기 위해 동조질량감쇠기(Tuned Mass Damper, TMD)의 최적 설계를 수행하였다. 배관 설비의 정확한 진원과 배관의 사양을 알지 못하는 상황에서 TMD 설계를 하기 위해 MATLAB을 이용하여 배관시스템 모델을 설계하고, 이를 바탕으로 최적 설계 방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최적화 방법은 ANSYS Workbench에서 유한요소 모델을 이용해 최적 설계 방법을 검증했다. 그리고 실제 배관 시스템의 측정값을 바탕으로 진동수를 보정할 수 있도록 TMD를 설계 및 제작하고 실제 배관 시스템에 설치해 감쇠 진폭이 95% 수준으로 줄어든 것을 확인했다.

TMD와 TLCD를 이용한 2방향 감쇠기의 동적특성 (Dynamic Characteristic of A Bi-dirctional Damper Using A Tuned Mass Damper and A Tuned Liquid Column Damper)

  • 이성경;민경원;박은천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1권6호
    • /
    • pp.589-596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동조질량감쇠기(TMD)와 동조액체 기둥감쇠기(TLCD)로 구성된 2방향 감쇠기의 제어성능을 실험적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감쇠기는 한방향으로는 TMD로 거동하고, 다른 직교하는 방향에서는 TLCD로 거동하여 제어력이 발생하는 감쇠기이다. 우선, 제작된 감쇠기의 동적특성과 TMD와 TLCD에 의해 발생하는 제어력들의 연계효과를 조사하기 위한 진동대 실험을 수행하였다. 다음으로 이러한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감쇠기의 동적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파라미터를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감쇠기가 입사각을 갖는 진동에 의해 가진될 때 TMD와 TLCD에 의해 연계된 제어력이 발생하는 것을 진동대 실험결과로부터 확인하였다. 또한, 감쇠기가 건축물의 2방향 응답제어에도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동조질량감쇠기를 장착한 강합성형 고속철도교의 피로신뢰성 평가 (Fatigue Reliability Evaluation of Steel-Composite High-Speed Railway Bridge with Tuned Mass Damper)

  • 강수창;서정관;고현무;박관순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9권5호
    • /
    • pp.1-10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고속철도 강합성형 교통비 동적해석에 기반한 피로신뢰성평가 기법을 제시하고 동조질량감쇠기의 효과를 피로수명연장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피로 신뢰성 평가를 수행하기 위하여 S-N 곡선 및 선형누적손상이론을 이용하여 한계상태식을 설정하였다. 열차 속도와 교량 감쇠비의 불확실성을 고려하여 교량에 대한 반복적인 동적해석을 수행하고, 이 결과로부터 전체 교량수명동안에 교량이 받는 피로 손상도와 연관된 확률변수의 특성을 통계적으로 추정하였다. 최종적으로 결정된 확률변수와 한계상태식에 개선된 일계이차모멘트법(AFOSM)을 적용하여 피로 신뢰도 지수를 산정하였다. 40m 지간 강합성교량의 수치모사로부터 동조질량감쇠기 장착여부에 따라 피로 신뢰도 지수를 평가하고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