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동조적 상표선택행동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7초

청소년 소비자의 동조적 상표선택행동에 관한 연구 - 캐주얼 의류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dolescent Consumers' Behavior Conformity in Brand Choice -Focused on Casual Wear-)

  • 김나연;이기춘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9권12호
    • /
    • pp.253-269
    • /
    • 2001
  •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evel of disposition conformity in everyday life and behavior conformity in clothes brand choice, and analyze the effects of disposition conformity and influential variables on behavior conformity in brand choice. For this analysi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478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through surveys.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OVA, t-test,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have been used to analyze the research objectives. Main findings are following; First, the 62.8% of the students showed high level of disposition conformity, and the 60.7% of them showed relatively low level of behavior conformity in brand choice. The adolescent consumers'disposition conformity to the reference groups in everyday life is in the order of parents, peer group, and mass media star. Second, the group differences in disposition conformity are diversified by independent variables. Among socio-demographic variables, disposition conformity to peer group differ by grade and disposition conformity to parents differ by the parents'education. Sex causes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all disposition conformity except parents. In economic variables, the perceived level of living raises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disposition conformity to the parent and whole disposition conformity. As the degree of disposable money gets higher in buying clothes, adolescent consumers conform more to the mass media star. Disposition conformity to parents and peer group were also differed by self-esteem. Third, significant variables, which affect the adolescent consumers'behavior conformity in brand choice, are grade, their mother's education, degree of disposable money in buying clothes, and disposition conformity to peer group and mass media star.

  • PDF

청소년의 의복행동과 교복만족도 및 교복변형행동 (The Clothing Behavior, School Uniform Satisfactions and School Uniform Modification Behavior of Adolescent)

  • 이애경;한영숙;이혜자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33-148
    • /
    • 2006
  • 청소년들이 보다 만족할 수 있는 교복에 관한 자료를 얻고자 경기도 안양시 소재 중 고등학교 남녀 472명을 대상으로 의복행동, 교복만족도 그리고 교복변형행동을 설문 조사하였으며 SPSS/WIN (ver.11.0) program으로 통계 처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청소년들은 용돈의 대부분을 의복구입비로 사용하고 있으며 외모관심도, 동조성, 개성, 상표지향성에 대한 의복행동이 높았다. 청소년의 교복만족도는 낮으며. 특히 교복의 신분상징성, 유행성, 세탁관리성, 신체적 안락감, 경제성에 대한 만족도가 낮았다. 청소년의 약 74.8%가 개성과 유행추구를 이유로 교복변형을 찬성하였고 약 58.1%가 교복의 일부 혹은 여러부분을 변형하였으며 교복을 부위별로 줄여서 몸에 밀착된 형태로 변형시키는 경향이 나타났다. 외모관심도, 동조성, 정숙성, 상표지향성에 대한 의복행동이 높은 청소년일수록 교복의 신분상징성, 세탁관리성 둥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외모관심도, 유행, 상표지향성에 대한 의복행동이 높을수록 교복변형행동에 영향을 미쳤으나 교복만족도와 교복변형행동과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앞으로 교복 연구는 외모, 개성, 유행 등의 의복행동을 표현하려는 청소년들의 의복 욕구와 학생다운 이미지, 정숙성, 경제성을 추구하는 기성 세대 간의 요구를 절충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야하며 그 결과는 청소년들의 교복 선택과 결정에 실질적으로 반영되며 학교와 교복제작업체는 이를 반영한 교복디자인과 제작을 시행해야 한다고 제언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