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동정광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26초

차광과 유기물 시용이 더덕의 생육 및 향기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hading and Organic Matter Applications on Growth and Aromatic Constituents of Codonopsis lanceolata)

  • 이승필;김상국;남명숙;최부술;이상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496-504
    • /
    • 1996
  • 본 연구는 자생지 야생더덕이 가지는 고방향성의 특성을 노지재배시 재배더덕에서도 고방향성을 갖는 재배기술을 확립하기 위하여 차광과 유기물 시용량을 달리하여 시험하였는 바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차광조건에 따른 기상차이는 무차광구에 비해 차광(55%)에서 최고기온 6.1$^{\circ}C$, 최저기온 0.6$^{\circ}C$, 평균기온 3.4$^{\circ}C$ 낮았고 지온도 3.4$^{\circ}C$ 낮았으며 조도량도 무차광에 비해 44% 정도 적었다. 2. 더덕의 지상부 및 지하부 생육은 유기물 시용양이 많을수록 양호하였으나 그 효과는 차광(55%)에 비하여 무차광에서 현저하였다. 3. 더덕뿌리의 일반성분 조성에서 조단백질은 차광구에서 높았고 유기물 시용량이 많을수록 현저하게 높았으나 무차광구에서는 이와 반대로 유기물 시용량이 많을수록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며 조지방은 무차광 구에서 높았고 유기물 시용량이 많을수록 조성분은 상반되는 경향을 보였다 4. 무기성분중에서 다량원소인 K, Ca, Mg등은 차광구에 비해 무차광구에서 높았고, 유기물 시용량이 많을수록 현저하게 높았으나 미량원소는 차광조건과 유기물 시용량에 따른 조성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조사포닌 함량은 차광구에 비해 무차광구에서 높았으나 유기물 시용량간에는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5. 유리 아미노산의 함량은 차광구에 비해 무차광구에서 높았으며 유기물 시용량이 많을수록 높은 경향을 보였고 arginine이 가장 많은 함량을 보였다. 6. 식물정유 성분의 수율변화는 차광 55%에 비하여 무차광이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유기물 시용량이 많을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7. 향기성분은 총 44종이 동정되었는데 1-hexanol, cis-3-hexenol, trans-2-hexanal 등이 높은 조성을 보였고 무차광구에 비하여 차광구(55%)에서 높았으며 유기물 시용량이 많을수록 현저히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8. 종합적으로 볼 때 지상부 및 지하부 생육은 차광에 비해 무차광에서 양호하였으나 향기성분은 무차광에 비하여 차광에서 높았고 유기물 시용량간에도 시용량이 증가할수록 방향성이 높아 고품질의 더덕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차광과 유기물 다량시용을 병행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선체 상부구조물의 실험적 해석 (Experimental Method of a Super Structure)

  • 박석주;박성현;오창근;제해광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328-334
    • /
    • 2001
  • Up to now. vibration analysis and vibration engineering have been developed, encompassing the aspects of both experimental and analytical techniques. Using experimental modal analysis or modal testing, the mode shapes and frequencies of practical structure can be measured accurately. Curve-Fitting Method is realized through experimental modal identification. In the experimental modal parameter estimation, the estimation of modal damping factor is difficult for complicated and large structure. Also numbers of Selected mode are determined before the procedure. This paper describes the vibration shape of the super-structure model of ship through experimental modal analysis.

  • PDF

한국산 자낭균류기 (I) (Notes on the Korean Ascomycetes (I))

  • 조덕현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91-297
    • /
    • 1996
  • 많은 자낭균류 버서슬 1995년 3월부터 1996년 9월까지 지리산국립공원, 모악산도립공원, 전주근교의 위봉사계곡과 만덕산에서 채집하였다. 이들은 Dennis(1981)와 Breitenbach & Kranzlin(1984)의 분류 검색표를 이용하여 동정하였다. 그 결과 한국 미기록종은 다형방석꼬투리버섯(Hypoxylon multiforme), 루비방석꼬투리버섯(H. rubiginosum), 껍질방석꼬투리버섯(H. udum), 광방석꼬투리버섯(H. rutilum), 벼슬알보리수버섯(Nectria gallignea), 원추알보리수버섯(N. coccinea), 담황색알보리수버섯(N. pallidula), 그리고 연기알보리수버섯(N. fumicola)이었다.

  • PDF

분광광도계를 이용한 L-tyrosine과 L-DOPA 혼합물의 분석방법 (Assay Method of L-tyrosine and L-DOPA Mixture Using Spectrophotometer)

  • 김지현;유영제
    • KSBB Journal
    • /
    • 제5권2호
    • /
    • pp.191-194
    • /
    • 1990
  • Tytosine은 방향족 아미노산이고, L-DOPA는 orth위치에 수산화기를 하나 더 가지는 tyrosine유도체이다. L-DOPA는 효소에 의하여 tyrosine으로부터 전환되어 생성할 수 있는데 반응액에서 두 물질을 분리, 분석하는 것은 상당히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두 아미노산 혼합물을 UV/VIS spetrophotermeter를 이용하여 동정함으로써 두 물질이 구분되는 두 파장을 결정하였고 두 파장에서 혼합물의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농도를 정량하는 분석 system을 확립하였다. 이 방법은 사료에 아무런 전처리가 필요없으므로 손쉽고 간단하게 분석에 사용할 수 있다.

  • PDF

관상동정맥루의 외과적 수술 -1례 보고- (Operation of Coronary A-V Fistula - Report of a Case -)

  • 이성광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1권4호
    • /
    • pp.716-720
    • /
    • 1988
  • Since Krause first described coronary arteriovenous fistula in 1865, there have been nearly 300 additional patients with this malformation reported in the literature. Increasing numbers of patients with this anomaly are being recognized each year resulting from the widespread use of cardiac catheterization and selective coronary arteriography in the evaluation of a variety of cardiac problems. A 9 month old male was admitted with the chief complaint of cardiac murmur and frequent URI and diagnosed as coronary A-V fistula at the distal portion of left anterior descending coronary artery to the apex of the right ventricle by cardiac catheterization and aortography. On the operative field, the left anterior descending coronary was markedly dilated about 1.5 cm in diameter from the aorta to the apex of the heart. The fistula opening was closed with 5-0 Prolene continuously under cardiopulmonary bypass and moderate hypothermia[28*C]. Postoperative course was uneventful and the patient was discharged without problem.

  • PDF

19~20세기 무신도 등에 사용된 구리-비소 녹색 안료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Copper-Arsenic Green Pigments used on Shamanic Paintings in the 19~20th century)

  • 오준석;최정은;최윤희
    • 보존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93-214
    • /
    • 2015
  • 19~20세기 83점의 무신도 등의 녹색 안료를 형광X선분광기, 주사전자현미경, 적외선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형광X선분광기에 의한 성분 분석 결과 60점에서 구리와 비소가 검출되었다. 복개당 무신도와 삼국지연의도의 구리와 비소 강도 비 Cu $K{\alpha}$/As $K{\beta}$는 5.93~12.04로 표준 에메랄드 그린 5.67~6.26, 나머지 무신도 4.01~7.89에 비해 높아 셸레즈 그린으로 추정되었다. 형광X선분광기 분석에서 구리와 비소가 검출된 녹색 안료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결정이 관찰되었다. 대부분의 무신도에서는 판상의 결정이 성장한 타원형이나 원형 구정이 관찰되었지만, 복개당 무신도와 삼국지연의도에서는 판상의 결정이 빽빽하게 채워진 원형 구정만이 존재하였다. 적외선분광광도계로 구리-비소 녹색 안료를 분석한 결과, 복개당 무신도와 삼국지연의도는 셸레즈 그린이 동정되었고, 나머지 무신도에서는 에메랄드 그린이 동정되었다. 분석 결과로부터 복개당 무신도 및 삼국지연의도에는 녹색 안료로 셸레즈 그린이 사용되었고 제작 연대는 1850년대~1870년대로 추정되며, 에메랄드 그린은 19세기 후기 이후부터 1970년까지 제작된 무신도에서 녹색 안료로써 광범위하게 사용된 것이 확인되었다.

한국산 고지질 미세조류 Botryococcus의 분포 및 생장 특성 (Physiological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Lipid-Producing Botryococcus Isolated from the Korean Freshwaters)

  • 신상윤;조범호;이형관;오희목
    • 환경생물
    • /
    • 제31권4호
    • /
    • pp.288-294
    • /
    • 2013
  • 한국산 고지질 Botryococcus를 확보하기 위해 시료채취를 하였고, 실험실에서 Botryococcus sp.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Botryococcus sp.는 현미경으로 그 크기와 형태를 관찰하였고, 분자적 동정을 위해 18S rRNA gene과 ITS region의 염기서열을 분석함으로써 Botryococcus sudeticus J2로 명명하였으며, 생태학적 특성 연구를 위해 문헌조사를 통해 국내의 Botryococcus 속의 분포를 조사를 실시하였다. 동정된 B. sudeticus J2의 생리적 특성 분석을 위해 배양실험을 수행하였고, 생장률과 바이오매스 생산성 그리고 광합성효율을 측정하였다. 또한 바이오디젤 생산을 위한 조류주로서의 가치를 판단하기 위해 총 지질함유량과 지방산 조성을 분석하였다. B. sudeticus J2의 생태적, 생리적 연구 후 2배의 광량과 2% $CO_2$ 조건에서 배양을 수행함으로써 최적 배양조건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분리된 B. sudeticus J2는 비교를 위한 B. braunii UTEX 572보다 높은 바이오매스 생산성과 지질생산성을 보였으나 바이오매스 생산을 위한 다른 후보 미세조류에 비해서는 낮은 생장률을 보였다. 따라서 바이오디젤 생산을 위한 조류로 B. sudeticus J2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본 연구에서 밝혀진 광저해에 대한 내성에 초점을 맞추어 최적 배양을 위한 광조건을 탐색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Phellodendron amurense의 미백물질을 이용한 화장품 특성 (Characteristics of Cosmetic with Whitening Compounds from Phellodendron amurense)

  • 조영제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4권2호
    • /
    • pp.108-113
    • /
    • 2011
  • 황백 추출물의 tyrosinase 억제효과를 검토한 결과 60% 에탄올추출물에서 25% 정도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melanoma세포(B16F10)에서의 멜라닌 생합성을 측정한 결과 31.2%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어 멜라닌생성억제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황백추출물에서 tyrosinase저해 활성물질을 정제하고자 Sephadex LH-20과 MCI-gel CHP-20 open column을 이용하여 용출한 결과 순수하게 정제된 활성물질을 얻을 수 있었으며, 정제물질을 구조 동정한 결과 미백물질은 obacunone으로 동정되었다. 정제된 obacunone은 35.1%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어 미백 활성이 비교적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황백추출물로부터 분리한 미백물질을 이용한 미백 화장품을 제조하여 관능평가를 한 결과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미백화장품의 안정성 검사를 위해 pH, 점도 및 복소탄성률의 변화를 측정하였으나 저장기간 60일 동안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온도변화, 인공 및 자연광에 의한 변화, 온도순환에 의한 변화 및 냉 해동순환(Freeze & Thaw cycling)에 따른 변화들 살펴본 결과 저장 60일 동안 모든 조건에서 상의 분리와 변색, 변취 등의 변화 없이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Streptomyces sp. ME-13 균주가 생산하는 anisomycin계 AB3217 화합물의 제초활성 (AB3217-A and B, herbicidal compounds related to anisomycin from Streptomyces sp. ME-13)

  • 김원곤;김종평;박동진;김창진;곽상수;유익동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9권2호
    • /
    • pp.153-158
    • /
    • 1996
  • 광독립 영양세포를 이용하여 미생물유래 제초활성 물질을 탐색하던 중 강한 제초활성을 갖는 균주를 선발하고, 그 균주가 생산하는 활성 물질들을 분리 정제한 후 구조를 결정하였으며, 이들의 활성을 조사하였다. 선발된 ME-13 균주의 미생물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Streptomyces로 동정되어 본 균주를 Streptomyces sp. ME-13으로 명명하였다. 균배양 상등액으로부터 활성탄소흡착, sillca gel, MCI gel등의 column chromatography 및 HPLC를 통하여 2 가지 활성 물질을 순수 분리하였다. 이들 화합물은 기기분석결과, anisomycin계의 AB3217-A와 B로 각각 동정되었다. AB3217-A와 B는 25ppm 농도에서 무와 피의 종자 발아를 완전히 억제하였고, 종자 발아후 50% 생육저해농도는 약 6 ppm 정도로 서로 비슷하였으며 anisomycin보다 6배 정도 강한 제초활성을 보였다. 이와 같은 제초활성은 본 연구에 의하여 처음으로 밝혀졌다.

  • PDF

자리공(Phytolacca esculenta van Houtte) 모상근의 Betalain 및 Phytolaccosides 생성에 미치는 배지 및 Elicitor 영향 (Effects of Media and Elicitor on Betalain and Phytolaccosides Production in Hairy Root Cultures of Phytolacca esculenta van Houtte)

  • 양덕조;김용해;윤길영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507-514
    • /
    • 1998
  • 자리공 엽절편에 Agrobacterium tumefaciens $A_4$T을 접종하여 암상태에서 초기 접종량의 139배로 분지능이 높고 성장률이 우수한 모상근 세포주인 PEH2를 선발하였다. 선발된 모상근으로부터 생리활성 물질인 Phytolaccoside G 및 D2를 IR, Mass, NMR등으로 동정하였다. 모상근 PEH2의 성장은 SH배지에서 가장 양호하였으며, 암상태 보다 광상태에서 배양하였을 때 40% 성장이 억제되었으며, betalain의 생성은 white 배지에서 가장 양호하였다. 배지별 Phytolaccoside G와 D2의 생성은 MS배지에서 암상태로 배양하였을 때 가장 양호하였으며, SH 및 . White 배지에서는 암상태보다 광상태에서 높은 생성을 나타내어 phytolaccoside G와 D2의 생성은 광에너지에 의하여 조절됨을 확인하였다. 자리공 모상근에서 betalain 및 phytolaccoside G와 D2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처리한 elicitor 을 처리하였던 바, 모상근의 성장은 억제되었으나, chitosan 및, yeast extract에 의하여 betalain 및 Phytolaccoside G와 D2의 생성이 촉진되어 적절한 elicitor와 광의 조합처리는 자리공 모상근으로부터 betalain 및 Phytolaccoside G와 D2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