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동전단계수($G_d$)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8초

화강암 암반의 암질에 따른 동탄성 특성치에 관한 연구(경기, 경남지역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Dynamic Elastic Modulus in Granite)

  • 이벽규;이수곤;임백만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18권5호
    • /
    • pp.386-392
    • /
    • 2008
  • 최근 국내에서도 일정 규모이상의 구조물과 건축물에 대한 내진설계가 필수적으로 되어 가고 있지만, 연구자료의 부족으로 외국문헌에서 인용 또는 참고하고 있어 실제 측정한 자료와 비교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외국문헌의 값은 우리나라의 지질특성과는 상당한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우리나라 화강암지대의 암질별 탄성파속도($V_p,\;V_s$)의 특성 및 동적특성치($E_d,\;G_d\;K_d$)와의 상관관계를 규명하여 국내 지질특성에 적합한 동적특성치의 특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하향식 탄성파를 통한 경기 편마암의 동탄성 특성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Dynamic Elastic Modulus in GyeongGi Gneiss Complex by Down Hole Test)

  • 이벽규;이수곤
    • 지질공학
    • /
    • 제18권4호
    • /
    • pp.371-379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일대의 편마암지역 11곳에서 다운홀(down-hole) 탄성파탐사를 이용하여 획득한 탄성파속도를 이용, 편마암지역에서의 탄성파 속도와 동탄성계수와의 상관성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편마암에서의 탄성파속도의 특성은 $V_s=0.5589{\times}V_p$ 상관관계를 보여준다. 탄성파 속도와 동탄성계수와의 상관관계는 두 개의 군으로 분리된다. 풍화가 진행됨에 따라 첫 번째 군은 암석의 비중에 큰 영향을 받지만 두 번째 군에서는 절리면의 간격에 영향을 받는다. 풍화가 진행됨에 따라 첫 번째 군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경암반에서의 압축파속도($V_p$) 동탄성계수($E_d$, $G_d$, $K_d$)의 상관관계는 선형으로 분석되었지만, 보통암반에서의 압축파속도($V_p$)와 동탄성계수($E_d$, $G_d$, $K_d$)의 상관관계는 2차 함수 포물선 곡선의 형태를 띠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전단파속도($V_s$)와 동탄성계수($E_d$, $G_d$, $K_d$)의 상관관계 또한 압축파속도($V_p$)와 유사한 결과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국내에서 분리한 미생물이 생산하는 항종양 물질에 관한 연구

  • 염곤;신영학;최병돈;박홍철;김충만;이근영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4년도 춘계학술대회 and 제3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 /
    • pp.174-174
    • /
    • 1994
  • 항종양 물질의 탐색 및 연구 작업이 미생물을 대상으로 행해져 온것은 이미 오래전부터 이며, 기존의 연구 발표된 것들을 볼때 미생물 스크리닝의 증요성은 점차 증대되어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토양에서 방선균 약 1000여주를 분리하여 항종양 물질을 생산하는 방선군의 분리, 동전하고, 그 생산물질의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방선균의 분리는 전국 각지에선 채집한 토양시료 각 1 g 씩을 80 $^{\circ}C$에서 90분간 건조처리한후 멸균된 증류수를 이용하여 각 단계별로 희석하여 Starch nitrate casein agar와 Glycerol asparagine agar를 사용하여 방선균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방선균을 Yeast extract-malt extract 액체 배지에서 7일간(160 rpm/28 $^{\circ}C$) 배양하였다. 여기에서 얻어진 배양액을 이용하여 항종양능을 확인한기 위해서 암세포주인 L1210주와 P388 D$_1$주, 정상 세포주로는 Vero 세포주를 이용한 MTT colorimetric assay를 이용하였다. 이들 실현에 대한 결과로써 S-104, 117, 409의 세 균주의 항종양물질 생산 균주를 분리하였다. 이들 균주가 생산하는 물질들은 기존의 시판 항암제인 Adriamycin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이들 균주의 동정은 ISP의 기준에 의하여 행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