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동적 준비운동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17초

남자 노인의 골프 수행력 향상을 위한 연구 : 동적 준비운동을 중심으로 (A Study for Improving the Golf Performance of Senior Male Golfers : a focus on Dynamic Warm-up Exercise)

  • 곽규훈;정채원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69-77
    • /
    • 2020
  • 우리나라 골프 열기는 미국, 유럽, 일본 등의 골프 강국에 못지않다. 55세 이상의 시니어 골프 인구도 250만 명을 넘어섰으며, 이들은 골프참여 보다 골프 경기력 향상에 관심이 높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남자 노인의 골프 수행력에 도움을 주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동적 준비운동이 골프 체력과 골프타구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여 동적 준비운동의 중요성을 강조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실험집단(n=13)과 통제집단(n=14)으로 구분하여 사전-사후설계로 이원변량분석에 의한 반복측정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골프 체력에서는 유연성 요인이 상호작용 효과를 보였으며, 골프타구에서는 헤드 스피드, 비거리, 어택 앵글이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 동적 준비운동이 남자 노인의 골프 수행력에 도움을 준다는 결론을 얻었다. 따라서 지속적인 동적 준비운동을 통해 신체의 유연성 가동범위 증가로 헤드 스피드, 어택 앵글에 긍정적 전이로 이어지게 되면서 비거리 향상과 함께 경기력 수준이 높아진다는 정보를 도출하게 되었다.

동적 및 정적스트레칭이 점프높이와 근활성도에 미치는 급성효과 (The Acute Effects of Dynamic and Static Stretching on Jump Height and Muscle Activity)

  • 양대중;정용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8호
    • /
    • pp.265-272
    • /
    • 2013
  • 본 연구는 정상 성인들을 대상으로 동적, 정적 스트레칭을 적용하여 점프 높이와 점프동안의 근활성도를 측정하여 비교 분석함으로써 스포츠 활동에서의 스트레칭 방법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20명의 대상자를 무작위 추출하여 2 group으로 각각 10명씩 나누었다. 각 각 다른 그룹에 동적, 정적 스트레칭을 적용하였다. 스트레칭 적용 전후에 점프 높이와 점프동안의 외측광근과 비복근의 근활성도를 측정하였다. 통계학적 처리는 공분산 분석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결과는 동적 스트레칭이 정적 스트레칭보다 점프높이(p<.05)와 점프 동안의 외측광근의 근 활성도(p<.05)에서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강한 근력을 필요로 하는 운동선수들에게 동적스트레칭을 준비운동으로 적용할 필요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효과적인 스트레칭 방법의 연구 고찰 (EFFICIENT STRETCHING METHODS : A Review)

  • 한상완;김용남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675-689
    • /
    • 1998
  • 많은 연구자들이 스트레칭 운동에 대한 연구를 다양하게 시도했었다. 다음은 많은 연구자들이 제시한 스트레칭 운동의 기본적인 방법을 제의한다. 1) 운동종목에 알맞는 스트레칭 프로그램과 개인별에 따른 스트레칭 방법을 적용해야 한다. 2) 스트레칭 프로그램은 운동전 준비운동 일부분에 포함되어야 하며, 이것은 조직의 유연성을 증가시킨다. 3) 정적 스트레칭과 PNF 스트레칭을 권장하고 있으며, 동적 스트레칭은 권장하지 않고 있다. 4) 통증을 느낄 만큼의 과신장(overstretching)을 피하고 주관적으로 통증을 견딜 수 있을 만큼 천천히 신장시킨다. 5) 스트레칭의 지속시간은 15-30초를 유지한다. 6) 스트레칭 시키는 각각의 근육군을 3-5번 반복한다. 7) 유연성 증진을 위해서는 적어도 4주 이상 스트레칭 프로그램을 시행한다. 8) 항상 스트레칭을 실시할 때 주동근과 길항근을 교대로 실시한다.

  • PDF

12주간의 순환운동이 노인비만여성의 비만, 체력 및 대사증후군 지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12 Weeks of Circuit Exercise on Obesity, Physical Fitness and Metabolic Syndrome Index in Elderly Obese Women)

  • 김상훈
    • 한국노년학
    • /
    • 제29권3호
    • /
    • pp.823-835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12주간의 순환운동이 노인비만여성의 비만, 체력 및 대사증후군 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시도되었다. 65세 이상 체질량지수 25이상의 여성 자원자 총19명을 대상으로 12주간의 순환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운동 프로그램은 가벼운 유산소 운동과 스트레칭으로 준비운동을 실시 한 후 주 3회의 빈도로 매회 30분씩 12주 동안 순환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12주간의 순환운동 프로그램 실시 후, 참가 전에 비해 참가 후의 체중과 체질량지수(p<.001)가 감소되었으며, 체력측정항목에서 하지근력(p<.001)과 상지 근력(p<.05), 상지 유연성(p<.05)과 하지연성(p<.05), 민첩성/동적평형성(p<.001), 전신지구력(p<.05)의 총 6개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향상이 있었고, 대사증후군 지표인 복부비만(p<.01), 수축기혈압(p<.05), 중성지방(p<.001), 고밀도 지단백(p<.01), 혈당(p<.05) 등 이완기 혈압을 제외한 모든 측정항목에서도 12주간의 순환운동 후 운동 참가 전에 비해 유의한 향상이 있었다. 결론적으로 12주간의 순환운동이 노인비만여성에 있어 체중감소와 체력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대사증후군 지표의 개선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비디오 게임을 이용한 가상현실 운동 프로그램이 노인의 근력, 균형 및 보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 Virtual Reality-based Exercise Program Using a Video Game on the Muscle Strength, Balance and Gait Abilities in the Elderly)

  • 송창호;신원섭;이경진;이승원
    • 한국노년학
    • /
    • 제29권4호
    • /
    • pp.1261-1275
    • /
    • 2009
  • 노화로 인한 근력, 균형 및 보행능력의 감소가 노인의 신체활동 저하를 일으킨다. 가상현실운동은 노인의 기능적 균형과 움직임을 회복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비디오게임을 이용한 가상현실운동프로그램(VR)이 노인의 근력, 균형 및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48명의 노인을 대상으로 VR군(남자 11명, 여자 14명, 나이 68.4세)과 대조군(남자 10명, 여자 13명, 나이 67.6세)으로 무작위 추출하였다. VR군은 가상현실 운동을 8주 동안 주 2회 실시하였으며 대조군은 특별한 운동을 실시하지 않았다. 가상현실운동프로그램은 준비운동(10분), 가상현실프로그램(40분), 정리운동(10분)으로 구성되었으며 가상현실프로그램은 상하지의 움직임뿐만 아니라 시청각피드백을 제공하는 플레이스테이션 아이토이플레이로 수행되었다. 운동 전·후의 변화를 비교하기 위하여 하지의 근력, 힘판을 이용한 정적균형능력, 기능적 팔 뻗기와 일어나 걸어가기 검사로 구성된 동적균형능력과 10m 보행검사와 6분 보행검사로 이루어진 보행능력을 사전, 사후로 측정하였다. VR군은 하지 근력과 정적균형능력, 동적균형능력, 보행능력에서 모두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05). 결론적으로 가상현실운동프로그램이 노인의 근력, 균형 및 보행능력의 개선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드롭랜딩 시 국소부위 온열처치와 동적 준비운동이 하지의 운동역학적 변인에 미치는 영향 (Thermotherapy and Dynamic Warm-up on the Kinetic Parameters during Drop-landing)

  • Kim, Sungmin;Song, Jooho;Han, Sanghyuk;Moon, Jeheon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297-307
    • /
    • 2021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kinetic variables between thermotherapy and dynamic warm-up during drop-landing. Method: Twenty male healthy subjects (Age: 21.85 ± 1.90 years, Height: 1.81 ± 0.06 cm, Weight: 68.5 ± 7.06 kg) underwent three treatments applied on the thermotherapy of femoral muscles and a dynamic warm-up. The thermotherapy was performed for 15 minutes while sitting in a chair using an electric heating pad equipped with a temperature control device. Dynamic warm-up performed 14 exercise, a non-treatment was sitting in a chair for 15 minutes. Core temperature measurements of all subjects were performed before landing at a height of 50 cm. During drop-landing, core temperature, joint angle, moment, work of the sagittal plane was collected and analyzed. All analyses were performed with SPSS 21.0 and for repeated measured ANOVA and Post-hoc was Bonferroni. Results: Results indicated that Thermotherapy was increased temperature than other treatments (p = .000). During drop-landing, hip joint of dynamic warm-up was slower for angular velocity (p < .005), and left ankle joint was fastest than other treatments (p = .004). Maximum joint moment of dynamic warm-up was smaller for three joints (hip extension: p = .000; knee flexion/extension: p = .001/.000; ankle plantarflexion: p = .000). Negative work of dynamic warm-up was smaller than other treatments (p = .000). Conclusion: In conclusion, the thermotherapy in the local area doesn't affect the eccentric contraction of the thigh. The dynamic warm-up treatment minimized the joint moment and negative work of the lower joint during an eccentric contraction, it was confirmed that more active movement was performed than other treatment methods.

정현파 중 운동모형시험에 대한 불확실성 해석 (Uncertainty Analysis for Seakeeping Model Tests)

  • 염덕준;이호영;이정묵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30권3호
    • /
    • pp.75-89
    • /
    • 1993
  • 본 논문은 기본적으로 미국 기계학회의 성능시험 코드에 준하여 운동 모형시험에 불확실성 해석을 적용하였다. 총 불확실성은 시험준비 과정, 계기의 검증, 데이타 취득 과정 및 분석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차요인들과 오차 전파 방정식에 의해 구하여진 민감도와 결합하여 구해진다. 저항추진 시험과 같은 정적시험과 운동시험과 같은 동적시험의 차이들이 불확실성 해석의 모든 과정동안 분명하게 구별되며 또한 비대칭 고정오차항목이 고려되었다. 본 불확실성 해석이 수행된 운동 응답 항목은 무차원화된 주파수의 함수로 나타낸 상하동요와 종동요의 RAO이다. 운동시험에 대한 불확실성 해석은 측정 정도를 향상시키고 오차들을 정량화하는데 유용할 뿐만아니라 여러가지 운동 해석 프로그램에 대한 검증의 기준으로 제시될 수 있다.

  • PDF

장기간의 복합운동이 골다공증 노인의 신체부위별 골밀도와 심혈관질환 위험요인에 미치는 영향 (Long-term Combined Exercise has Effect on Regional Bone Mineral Density an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of the Elderly with Osteoporosis)

  • 최필병
    • 한국노년학
    • /
    • 제31권2호
    • /
    • pp.355-369
    • /
    • 2011
  • 본 연구는 장기간의 복합운동이 골다공증 노인의 신체부위별 골밀도와 심혈관질환 위험요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함으로써 골다공증 노인의 골밀도 개선과 심혈관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운동 지침을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 S·K타워 실버타운에 입주하여 거주하는 골다공증 노인 여성 31명으로 규칙적인 복합운동군(n=16)과 통제군(n=15)으로 무선배정 하였다. 복합운동프로그램으로 동적 및 정적 스트레칭으로 이루어진 준비운동과 정리운동을 각각 10분씩 실시하고, 본 운동에서 유산소운동으로 자전거와 트레드밀을 이용하여 30~45분(예비 심박수; HRR 40%~60%) 동안 실시하였으며, 무산소운동으로는 대근육 단련을 위한 7가지 웨이트트레이닝(1RM * 50-70%; 8-10회 * 2세트 ~ 10-15회 * 1세트)을 주당 5일 1년간 시행하였다. 통제군은 실험이 진행되는 기간 동안 S·K타워에서 규칙적인 운동 및 신체활동에 참여하지 않고 TV 시청이나 회원과의 담소를 나누는 정도의 좌업생활을 하였다. 또한 이들은 실험 전, 중, 후에 신체 부위별 골밀도(상지, 하지, 골반, 척추, 체간 및 T-score)와 심혈관질환 위험요인(혈압, 혈중지질)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첫째, 신체 부위별 골밀도에서는 골반, 척추, 체간 및 T-score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둘째, 심혈관질환 위험요인 중 혈압(SBP, DBP)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혈중지질의 변인 중 TC, TG, LDL-C 및 HDL-C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장기간 실시하는 복합운동은 골다공증 노인에게 있어 골반, 척추, 체간의 골밀도 및 T-score 개선과 함께 심혈관 질환 위험요인을 감소시킴에 따라 심혈관 질환으로 인한 사망률과 골절의 위험성을 감소시키고, 삶의 질을 향상 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향후 연구에서는 골다공증과 만성질환의 다각적인 연구를 통하여 만성질환으로 인한 조기 사망률 감소와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논의 되어야 할 것이다.